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가정폭력 유발요인과 폭력행동 간의 관계에 대한 조절변수 효과

A study on the Effects of Moderator Variable on the Relation between Domestic Violence Inducing Factor and Violent Behavior

초록

본 연구는 부부간 가정폭력에서 발생하는 분노가 폭력행동에 이르는 과정에서 통제 가능한 조절변수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대구 및 경북․부산 지역의 법적 처분을 받은 행위자들과 그 배우자가 되는 피해자와 일반인 부부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자는 총 1,754명이었고, 법적처분 집단은 269명으로 가해자가 143명(53.16%), 피해자가 126명(46.84%), 일반인 총 1,476명으로 남편이 753명(51.02%), 아내가 723명(48.98%)이었다. 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법적 처분 집단보다 일반인 집단 남편이, 부부간에는 남편이 아내보다 더 많은 대처방식 행동을 보이고 있었다. 둘째, 남편의 경우 일반인 집단이 법적 처분 집단보다 아내가 대처방식 행동을 많이 한다고 평가하였고, 폭력 집단의 경우 아내는 자신의 대처방식 행동을 높게 평가하였다. 셋째, 남편 분노가 높으면 폭력 수준도 높았지만, 남편의 심리적 긴장완화 대처방식 행동이 폭력 수준을 낮추고 있었다. 넷째, 아내의 법적 호소 대처방식 행동과 호소행동 또는 강력한 대처 방식 행동은 남편 폭력 수준을 높이는 역작용을 보여주었다.

keywords
Domestic violence, Domestic violence inducing factor, violent behavior, moderator variable. behavior of a coping scale, 가정폭력, 가정폭력유발요인, 폭력행동, 조절변수, 대처방식 행동, Domestic violence, Domestic violence inducing factor, violent behavior, moderator variable. behavior of a coping scale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examine moderator variable for domestic violence by presenting controllable moderator variable in domestic violence occurring between married couples. This study attempted to understand the ‘moderating’ effect in the course in which rage develops to violent behavior. The questionnaire research was conducted to the subjects being consisted of legal group(n=269) including assaulter(n=143; 53.16%) who had been subjected to legal measure and victims(n=126; 46.84%) who were their spouse, and control group(n=1,476) including general married men(n=753; 51.02%) and women(n=723; 48.98%), and being recruited from Seoul, Daegu, Kyungbuk, and Pusan using convenient sampling method. A total of 1,476 subjects participa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control group showed higher percentage of behavior of a coping scale of husband than legal group. The husbands showed higher percentage of behavior of a coping scaler than wives. As for husbands, husbands of control group showed higher percentage of wife behavior of a coping scale than them of legal group. As for legal group, wife showed more behavior of a coping scale than husband. Although the intensity of violence increased as the anger of husband is higher, as the mind control behavior of a coping scale of husband increased the intensity of violence of husband decreased. It was also showed that the intensity of violence of husband remained increasing even wife deployed behavior of a coping scale of legal appeal, appealing behavior, and strong dealing method.

keywords
Domestic violence, Domestic violence inducing factor, violent behavior, moderator variable. behavior of a coping scale, 가정폭력, 가정폭력유발요인, 폭력행동, 조절변수, 대처방식 행동, Domestic violence, Domestic violence inducing factor, violent behavior, moderator variable. behavior of a coping scale

참고문헌

1.

강신덕 (1997). 비행청소년 분노조절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

김미애 (2006). 가정폭력 행위자 집단 개입 프로그램 효과: 집단 구성방식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8(3), 519-546.

3.

김미애 (2008). 가정폭력 유발요인과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4.

김수율 (2006). 가정폭력의 실태와 경찰의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아내폭력을 중심으로. 호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5.

김예정 (2001). 성장기 폭력경험, 심리적 특성 및 부부간 상호작용이 아내폭력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6.

김재엽 (1996). 가정폭력의 피해자와 행위자를 위한 개입 방안 연구: 임상 치료 프로그램 및 정책적 제언을 중심으로. 동광, 93, 19-35.

7.

김재엽, 이서원 (1997). 열등의식과 성 역할 태도가 아내구타에 미치는 영향과 치료모형에 관한 연구: 영세 빈곤가족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회지, 33, 71-93.

8.

김정옥, 송정아, 김득성 (1999). 의사소통관점에서의 가족폭력. 한국가족관계학회 춘계학대회 발표자료집, 67-72. (1999. 10. 23. 숙명여자대학교.)

9.

김정옥, 정현미, 이현혜 (1992). 자아존중감 부부간 의사소통 및 결합력이 아내학대에 미치는 영향. 여성문제연구, 20, 21-44.

10.

김지영 (2003). 아내폭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통합모형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11.

박경규 (1994). 기혼남성의 스트레스와 폭력과의 인과관계. 효성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 위 청구논문.

12.

박민수 (2005). 가정폭력 행위자를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상담학연구, 6(1), 137-154.

13.

손현주 (1997). 구타당하는 아내들의 심리적 특성 연구: Satir 가족치료 모델의 의사소통유형과 자아존중감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4.

송미경 (2004). 알콜의존 환자의 분노유발요인과 분노처리과정에 대한 체험분석.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15.

서수균 (2004). 분노와 관련된 인지적 요인과 그 치료적 함의.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16.

심혜숙, 손연주 (1997). 구타당하는 여성들의 심리적 특성연구. 여성학연구, 7(1), 65-89.

17.

이규미 (1999). 청소년의 분노와 분노처리과정에서의 공격행동에 대한 체험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8.

이서원 (2003). 가정폭력 행위자 집단 치료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19.

이영주 (2007).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정신건강과 사회적응에 관한 연구: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경로탐색. 한영신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0.

이용미 (2003). 중년여성의 분노경험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1.

최상진, 이장주 (1999). 친밀 대인관계에서 민감하게 작용하는 자아관여적 정서: 무시(無視).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 발표초록집, 58-61. 8월 19일. 서울: 연세대학교 제2인문관.

22.

최선령 (2001). 한국 아내학대자의 학대행동 감소를 위한 인지행동모델 적용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7, 275-311.

23.

최선화 (1994). 아내구타와 여성 쉼터활동에 관한 일고. 여성연구논집, 5, 143-153.

24.

최유경 (2001). 청소년 분노표현방식의 모델 및 조절효과 검증.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25.

Adams, D. (1988). Treatment models of men who batter: A profeminist analysis. In K. Yllo, & M. Bograd (Eds.), Feminist perspectives on wife abuse (pp.176-199). Newbury Pard, CA: Sage Publications.

26.

Averill, J. R. (1982). Studies on anger and aggression: Implication for theories of emotion, American Psychologist, 38, 1982, pp.1145-1158.

27.

Bandura, A. (1973). Aggression: A social learning analysis. Englewood Cliff, NJ: Prentice-Hall.

28.

Berkowitz, L. (1990). Some determinants of impulsive aggression: Role of mediated associations with reinforcements for aggression. Psychological Review, 81, 165-176.

29.

Deffenbacuer, J. L., Oetting, E. R., Huff, M. E. Cornell, G. R., & Dallager, C. J., (1996). Evaluation of two cognitive-behavioral approaches to generla anger reduction.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pp.551-573.

30.

Dobash, R. E., & Dobash, R. (1979). Violence against wives: A case against the patriarchy. NY: Free Press.

31.

Haj-Yahia, M. M. (2001). The incidence of witnessing interparental violence and some of its psychological consequences among arab adolescents. Child Abuse & Neglect, 25(7), 885-907.

32.

Johnson, M. P. (1995). Patriarchal terrorism and common couple violence: Two forms of violence against women.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7, 283-294.

33.

Kassinove, H., & Eckhardt, C. I. (1995). An anger model and a look to the future. In H. Kassinove (Ed.), Anger disorders: Definition, diagnosis, and treatment (pp.197-204). London: Taylor and Francis.

34.

Kinney, T., & Segrin, C. (1998). Cognitive moderators of negative reactions to verbal aggression. Communication Studies, 49, 49-72.

35.

Larson, J. D., (1992). Anger and Aggression Management Techniques through the think frirst curriculum. Jour of offender Rehabili 18(1), 1992, pp.101-107.

36.

Morgolin, G., John, R. S., & Foo, L. (1998). Interactive and unique risk factors for husband's emotional and physical abuse of their wives. Journal of Family Violence, 13(4), 315-344

37.

Novaco, R, W. (1979). The cognitive regulation of anger and stress. In P. C. Kendall, & S. D. Hollon (Eds), Cognitive behavioral interventions: Theory, research and procedures (pp.203-206). NY: Academic Press.

38.

Pelham, B. W. (1991). On the confidence and consequence: The certainty and importance of self-knowledg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0(4), 518-530.

39.

Rounsaville, B. J. (1978). Theories in marital violence: Evidence from a study of battered women. Victimology, 3(1-2), 11-31.

40.

Rosenberg, A. (1971). On anger.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28(4), 454-460.

41.

Spielberger, C. D. (1988). 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 Orlando, Fl: Psychological Assessment Pesources.

42.

Steinmetz, S. K. (1987). Family violence: Past, present, and future. In M. B. Sussman, & S. K. Steinmetz (Eds.), Handbook of marriage and the family (pp.725-765). New York: Plenum.

43.

Straus, M. A. (1979, February). Measuring intrafamily conflict and violence: The conflict tactics(CT) scale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41, 75-81.

44.

Straus, M. A., & Gelles, R. J. (1990). Physical violence in american families: Risk factors and adaptation to violence in 8,145 families. New Brunswick, NJ: Transaction Publishers.

45.

Tolman, R. M., & Bennett, L. W. (1990). A review of quantitative research on men who batter. Journal of Interpersonal Violence, 5(1), 87-118.

46.

Wallace, H., & Seymour, A. (2001). Domestic violence. In G. Coleman, M. Gaboury, M. Murray, & A. Seymour (Eds.), 1999 National Victim Assistance Academy. Washington, DC: U. S. Department of justice.

47.

Zamble, E., & Quinsey, V. K. (1996). The criminal recidivism process.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