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대학생의 자기애, 우울과 정신병질 성향과의 관계: 성차를 중심으로

The relation among narcissistic personality, depression, and psychopathy: Focus on gender differences

초록

본 연구는 남녀 대학생들의 자기애 성향이 우울이나 정신병질 성향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자기애, 우울, 정신병질의 각 변인들을 남녀 별로 비교하고, 부적응적 자기애 수준에 따라서 우울, 정신병질과 외현적 자기애 성향이 달라지는지 살펴봄으로써 부적응적 자기애가 다양한 변인들과 가지는 관계를 알아보았다. 자기애와 정신병질 측정을 위한 다양한 척도를 사용하여, 동일변인을 측정하는 두 척도들 간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경기도 지역의 대학생 여자 502명과 남자 501명(총 1003명)을 대상으로 자기애 성격 척도인 NPI와 NPDS, 우울척도인 BDI과 정신병질 척도인 PPI-R과 SRPS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척도별 평균비교에서 대학생들은 외현적 자기애(NPI), 우울(BDI)과 정신병질 척도인 PPI-R에서 남녀에 따라 유의하게 차이나는 양상을 보였다. 그리고 부적응적 자기애 수준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우울, 정신병질 성향과 외현적 자기애 성향이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을 성차와 자기애 수준과 연관 지어 논의하고 추후 연구 방향에 대해 제언하였다.

keywords
pathological narcissistic personality, overt narcissistic personality, depression, psychopathy, gender differences., 부적응적 자기애, 외현적 자기애, 우울, 정신병질, 성차

Abstract

The current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relations among college students' narcissistic personality, depression, and psychopathy. This study investigated how narcissistic personality and depression variables relate to psychopathy variables. For this purpose, an assessment battery consisting of Narcissistic Personality Inventory(NPI), 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 Scale: NPDS), BDI, Self-Reported Psychopathy Scale(SRPS), and Psychopathic Personality Inventory-Revised. PPI-R was administered to 1003 college students (501 males and 502 females). For comparison with the levels of pathological narcissism, the participants were devided two groups( above 33%, below 33% ) based on their scores of the NPDS, According to the results, males had more overt narcissistic personality, and females felt more depressive and psychopathic. The higher level group on the NPDS had higher scores on the NPI, BDI, SRPS and PPI-R. The students' narcissistic personality had relations to depression and psychopathy, but the result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kind of inventories(PPI-R or SRPS, NPI or NPD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s well as some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suggested.

keywords
pathological narcissistic personality, overt narcissistic personality, depression, psychopathy, gender differences., 부적응적 자기애, 외현적 자기애, 우울, 정신병질, 성차

참고문헌

1.

강선희, 정남운 (2002). 내현적 자기애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4(4), 969-990.

2.

경찰청 (2010). 경찰백서.

3.

권은미, 신민섭, 김은정 (2009). 내현적 자기애가 사회공포증에 미치는 영향-사회적 자기 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8(3), 627-642.

4.

권희영, 홍혜영 (2010). 중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와 우울의 관계: 자기비난과 수치심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과 심리치료, 22(4), 1023-1048.

5.

길주현, 오경자 (2008). 자기애의 세부특성과 자기개념 명확성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7(4), 911-924.

6.

김민주 (2007). 중학생의 성별과 공격성 유형에 따른 자기애 및 지배성의 차이.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7.

김범준, 이은진, 김영윤 (2009). 대학생들의 정신병질에 대한 반사회성과 정서적 공감의 영향: 성차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4(2), 219-239.

8.

김재경 (2006). 정신병질 자기보고검사(SRPS)의 타당도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9.

김지연 (1998). 자기애적 성격특성과 대인관계 유형 및 대인관계 적절성과의 관계. 전북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0.

박세란 (2000). 외현적 내현적 자기애의 자기평가와 귀인양식.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1.

백승혜, 현명호 (2008). 내현적, 외현적 자기애성향자의 적대감, 분노경험 수준 및 분노표현양식.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7(4), 1001-1017.

12.

서수균, 권석만 (2002). 자존감 및 자기애 성향과 공격성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1(4), 809-426

13.

윤성민, 신희천 (2007). 내현적 자기애가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에 미치는 영향: 경험회피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9(4), 967-982.

14.

이수정, 박혜경 (2009). 한국판 정신병질 성격평가 검사: 전문가 지침서. 학지사 심리검사 연구소.

15.

이수정, 박혜영, 공정식 (2007). KCPI와 PPI-R을 통한 수용자들의 출소 후 재범여부의 예측. 한국경찰학회보, 14, 161-187.

16.

이수정, 이혜선 (2006). 비행청소년의 비행특성과 자기애적 성격성향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0(2), 1-18.

17.

이영호, 송종용 (1991). BDI, SDS, MMPI-D 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에 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0(1), 99-113.

18.

이은진, 김영윤, 김범준 (2010). 대학생의 자기애 성향이 정신병질에 미치는 영향: 공격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5(3), 447-468.

19.

장유진 (2007). 중학생의 성별과 공격성 유형에 따른 자기애 및 지배성의 차이.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

정남운 (2001). 자기애적 성격검사의 요인구조와 아이젱크 성격차원 및 자존감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3(2), 221-237.

21.

한수정 (1999). 자기애적 성격성향자의 외현적‧내현적 자기관련 인지특성.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2.

한수정, 권석만 (2010). 자기애자의 자기관련 정보에 대한 지각적 민감성.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9(4), 1135-1143.

23.

황순택 (1995). 전형성 평정에 의한 성격장애 진단 준거 개발. 연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4.

Akhar, S., & Thomson, J. A. (1982). Overview 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39, 12-20.

25.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1994).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Fourth Ed.). Washington, D.C.: Amerincan Psychiatric Association.

26.

Beck, A. T. (1967). Depression: denial, experimental, and theoretical aspects. New York: Harper & Row.

27.

Bushman, B. J., & Baumeister, R. F. (1998). Threatened egoism, narcissism, self-esteem, and direct and displaced aggression: does self-love or self-hate lead to violenc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75, 219-229.

28.

Cann, J., & Biaggio, M. K. (1989). Narcissistic personality features and self-reported anger. Psychological Reports, 64, 55-58.

29.

Cleckley, H. (1976). The Mask of Sanity(5th Ed.), St. Louis, MO: Mosby.

30.

Cooper, A. (2000). Further development in the clinical diagnosis of 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 In F. Elsa, & E. Ronnisntam (Eds.), Disorders of narcissism: Diagnostic, clinical and empirical implications, London: Jason Aronson Inc.

31.

Emmons, R. A. (1984). Factor analysis and construct validity of Narcissistic Personality Inventory.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48, 291-300.

32.

Forouzan, E., & Cooke, D. J. (2005). Figuring out la femme fatale: Conceptual and assessment issues concerning psychopathy in females. Behavioral Sciences and the Law, 23, 765-778.

33.

Hare, R. D. (1986). The Hare Psychopathy Checklist. Toronto Multi-Health Systems.

34.

Hare, R. D. (1991). The Hare Psychopathy Checklist-Revised. Toronto Multi-Health Systems.

35.

Harpur, T. J., Hare, R. D., & Hakstian, A. R. (1989). Two-factor conceptualization of psychopathy: construct validity and assessment implications. Psychological A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1, 6-17.

36.

Hart, P. H., & Joubert, C. E. (1996). Narcissism and hostility. Psychological Reports,79, 161-162.

37.

Hendin, H. M., Cheek, J. M. (1997). Assessing hypersensitivity narcissism: A reexamination of Murray's Narcism Scale.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31, 588-599.

38.

Hickman, H. M., & Cheek, J. M. (1996). Assessing hypersensitive narcissism: A reexamination of narcissism.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20(4), 521-525.

39.

Kernberg, O. F. (1975). Borderline conditions and Pathological Narcissism. New York: Jason Aronson.

40.

Kohut, H. (1971). The analysis of the self. New York: International University Press.

41.

Levenson, R. M., Kiehl, A. K., & Fitzpatrick, M. C. (1995). Assessing Psychopathic Attributes in a Noninstitutionalized Popul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8(1), 151-158.

42.

Lilienfeld, S. O. (2005). Psychopathic Psychological Assessment Resources Inc, Florida, U.S.A.

43.

Lilienfeld, S. O., & Andrews, B. P. (1996). Develop and Preliminary Validation of a Self-Report Measure of Psychopathic Personality Traits in Noncriminal Populations, The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1996; 66(3), 488-524.

44.

Lilienfeld, S. O. & Widows, M. R. (2005). Psychopathic Personality Inventory-Revised Professional Manual. Psychological Assessment Resources, Inc, Florida, U.S.A.

45.

Mahmut, M. K., Homewood, J., & Stevenson, R.J. (2007). The characteristics of non-criminals with high psychopathy traits: Are they similar to criminal psychopath?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42(3), 479-692.

46.

Mullins, L. S., & Kopelman, R. E. (1988). Toward an assessment of the construct validity of four measures of narcissism.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52, 610-625.

47.

Nicholls, T. L. & Petrila, J. (2005). Gender and Psychopathy: An Overview of important issues and introduction to the special issue. Behavioral Sciences and the Law. 23, 729-741.

48.

Papps, B. P., & O'carrol, R. E. (1998). Extremes of self-esteem and narcissism and the experience and expression of anger and aggression. Aggressive Behavior, 24, 421-438.

49.

Raskin, R., & Hall, C. S. (1979). A narcissistic personality inventory: Alternative form reliability and further evidence for construct validity.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45, 159-162.

50.

Raskin, R., & Terry, H. (1988). A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of the Narcissistic Personality Inventory and further evidence of its construct validit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4, 890-902

51.

Rhodewalt, F., & Morf, C. C. (1995). Self interpersonal correlates of the Narcissistic Personality Inventory: A review and new finding.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29, 1-23.

52.

Robins, S. B. & Dupont, P. (1992). Narcissistic needs of the self and perceptions of interpersonal behavior.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9, 462-467.

53.

Rostard, J. E. & Rogers, R. (2008). Gender differences in contributions of emotion to psychopathy and 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 Clinical Psychology Review, 28. 1472-1484.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