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 women drinking culture, not as problematic approach but as normal culture approach.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800(man:495, women:305) adult people who have experience of drinking more than once in the last month.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women who preferred beer, and were mainly drink with friends and family situation. Women drinking frequency were usually less than 1 time per week. Women alcohol consumption amount at a time was little more than half a bottle(converted into soju-Korean traditional distilled liquer). Second, the age of most women in their 20s drinking alcohol properties, are decreased and 30s tended to be rising again in 40. Third, the reason for the selection of beer is flavor, while the main factor why the choice of soju mainly acted as an economic factor. And the main image of the beer ‘youth’, ‘fashionable / stylish’, whereas the ‘original / legitimacy’, ‘economic’ image was strong on soju. Selecting the type of alcohol, women is exposing their ‘semiotic meaning’. Fourth, ‘friends/seniror and junior’ context in alcohol consumption is different in gender: women's context is similar to the context of ‘family’, whereas man's context of ‘colleagues’ were similar to those of the context.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김계하 (2004). 미혼 여성의 음주양상과 흡연정도 및 우울에 관한 연구. 간호과학, 16(1), 18~25.
김광기 (1996). 음주양태 및 음주관련문제에 대한 공중보건학적 연구. 대한보건협회지, 22(1), 152~187.
김통원 (2001). 도시직장인의 음주 및 음주운전에 관한 실태조사. 가족복지학, 7, 35~ 57.
김지미, 이정애, 김성희 (2002). 중년전업주부의 음주경험. 지역사회간호학회지, 13(4), 732~742.
박희랑, 이장주(2004). 여성음주문화 실태 연구: 여성이 술을 마실 때. 한국심리학회: 여성, 9(2), 39~52.
배성일 (1993). 입원한 여성 알콜중독환자에 대한 임상적 고찰. 신경정신의학, 32(3), 407~41.
신연희 (2003). 여성 음주자의 특성과 음주원인. ‘여성음주에 대한 특별세미나, 한국가정법률상담소.
신영주, 김유숙 (2009). 여성 알코올 의존자의 중독 과정: 근거이론 접근방법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4(4), 683~710.
신행우 (1999). 음주동기와 음주문제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5(1), 93~109.
심문숙 (2007). 저소득 독거노인의 생활경험. 한국보건간호학회지, 21(2), 171~181.
양승희 (2006). 일지역 여성의 음주인식, 음주행태, 문제음주에 관한 연구. 여성건강, 7(2), 23~45.
오상우 (2009). 음주가 비만 및 대사증후군에 미치는 영향. 대한비만학회지, 18(1), 1~7.
임선영, 조현섭, 이영호 (2006). 여성 알코올중독자의 중독과정에 대한 사례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4(4), 869~886.
장수미 (2008).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음주문제와 영향요인.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28, 152~174.
정성후, 김성부, 장기용, 손진욱, 박철수 (1997). 입원한 남성 및 여성 알코올리즘 환자의 인구학적, 임상적 및 인격적 특성비교. 신경정신의학, 36(4), 688~704.
정슬기(2007). 여자 대학생의 문제음주 영향요인 분석.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27, 176~ 198.
최은영 (1993). 자서전 연구방법에 의한 알코올 중독과정의 분석.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하지선 (2009). 여성직장인의 음주행동 영향요인 연구: 성역할, 직장음주문화를 중심으로. 카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한금선, 양승희, 전겸구 (2003). 스트레스 지각과 대처가 여대생의 스트레스 증상과 음주관련 문제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8(3), 565~579.
한태선 (2000). 적정음주에 대한 사회․문화적 접근, 대한보건협회학술지, 26(4), 383~392.
한국음주문화연구센터 (2010). 음주실태 및 음주문제에 대한 국민인식 조사연구. 한국음주문화연구센터(http://www.karf.or.kr/ information/alcoholDB_list_9.asp에서 2011년 4월 28일 추출).
Barbor, T. F., Higgins-Biddle, J. C., Saunders, J. B., & Monteiro, M. G. (2001). AUDIT: The Alcohol Use Disorders Identification Test- Guidelines for Use in Primary Care(Second Edition). WHO: Department of Mental Health and Substance Dependence.
Copeland, J. & Hall, W. (1992) A comparison of predictors of treatment dropouts of women seeking drug and alcohol treatment in a specialist women's and two traditional mixed sex treatment service. British Journal of Addiction, 87, 883-890.
Kinney, J. (2000). Loosening the grip: A Handbook of Alcohol Information, Boston: McGraw-Hill.
Wilsnack, S. C., & Wilsnack, R. W. (1990). Women and substance abuse: Research directions for the 1990s. Psychology of Addictive Behaviors, 4, 46-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