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가부장적 원가족 분위기가 신혼부부의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부정적 의사소통 패턴의 매개효과

Effect of the origin family's patriarch atmosphere on marital satisfaction of the newlywed couples: mediating effect of negative communication patterns

초록

본 연구는 원가족의 가부장적 분위기가 신혼부부의 결혼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부부간 의사소통 패턴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고, 부부와 같이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가 구분되는 커플자료의 분석으로 APIM 방식을 채택했다. 원가족의 가부장적 분위기가 신혼부부의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자기효과와 상대방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결혼기간이 3년 미만이며 자녀가 없는 신혼부부 98쌍(186명)을 임의표집방법으로 모집하고, 개별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원가족의 가부장적 분위기는 결혼만족도에 있어 남편과 아내 모두에서 유의한 자기효과를 보였으나, 상대방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즉, 원가족의 가부장적 경험은 자기의 결혼만족도에는 영향을 미치지만, 상대 배우자의 결혼만족도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한편 원가족의 가부장적 경험은 부부의 부정적인 의사소통 패턴을 매개하여 간접적으로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데, 특히 남편 원가족의 가부장 경험은 부정적인 의사소통 패턴을 통해 남편 본인의 결혼만족도 뿐 아니라 아내의 결혼만족에도 유의하게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치료적 개입에 있어 신혼부부 중 특히 남편의 원가족 경험이 부부의 결혼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고, 신혼부부의 건강하고 균형 잡힌 적응을 위해서는 부부 의사소통을 위한 개입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keywords
patriarchism, origin family, dyadic data, APIM, newlywed couple, marital satisfaction, communication patterns, 가부장, 원가족, 짝자료, APIM, 신혼부부, 결혼만족도, 의사소통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ole of the patriarch atmosphere of origin family on marital satisfactions. Ninety-eight newlywed coupl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they spent less than three years in married having no children. The study examined the way how the patriarch atmosphere of the origin family of couples affected on their marital satisfaction. The result showed that the patriarch atmosphere of the husband's and wife's origin family had a significant actor effect his/her marital satisfactions, whereas they presented a non-significant partner effect on it. It indicated that the patriarch atmosphere of origin family had an actor effect on marital satisfaction whereas it didn't have a partner effect. In addition the patriarch experience of the origin family indirectly affected on marital satisfaction by mediating the negative communication pattern of the couples. In particular, the husband's experience from the patriarch family affected not only on his own marital satisfaction but also negatively on wife's satisfaction through their negative communication patterns. These findings suggested that the marital intervention should be implemented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effect of a husband's patriarch experience of his origin family on marital satisfactions, and limitation and suggestion of this present study are discussed.

keywords
patriarchism, origin family, dyadic data, APIM, newlywed couple, marital satisfaction, communication patterns, 가부장, 원가족, 짝자료, APIM, 신혼부부, 결혼만족도, 의사소통

참고문헌

1.

고미혜 (2011). 가부장적 태도와 노년기 결혼만족도와의 관계: 효율적 의사소통의 매개효과.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

권정혜, 채규만 (1999). 한국판 결혼만족도 검사의 타당화 연구 Ⅱ: 이혼상담집단과 자녀상담집단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8(2), 139-150.

3.

김경자 (2003). 기혼남녀의 원가족 경험과 자기 분화가 가족체계기능에 미치는 영향.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

김현정 (1999). 원가족 경험이 결혼적응에 미치는 영향: 청주시 결혼초기부부를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남순현, 한성열 (2003). 신혼기 부부의 부모로부터의 심리적 독립과 결혼 후 친밀감에 미치는 원가족의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2(3). 505-523.

6.

박봉순, 김영희 (2010). 원가족 분화경험이 기혼남녀의 부부친밀감에 미치는 영향: 자아정체감과 자녀에 대한 태도를 매개로. 대한가정학회지, 48(9), 1-11.

7.

박영화, 고재홍 (2005). 부부의 자존감, 의사소통 방식, 및 갈등대처행동과 결혼만족도간의 관계: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9(1), 65-83.

8.

유연지, 조현주, 권정혜 (2008). 부부의 원가족 특성과 고부,옹서 갈등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3(4), 433-451.

9.

이재림, 김영희 (2011). 원가족 분화경험이 기혼남녀의 결혼적응에 미치는 영향: 불안과 행복감을 매개로. 대한가정학회지, 49(7), 13-24.

10.

이지은, 윤호균 (2007). 기혼여성의 마음챙김과 부부의사소통패턴, 결혼만족도의 관련성.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2(3), 331-345.

11.

임승락 (1998). 부부간 의사소통 행동과 결혼생활 만족: 성차, 요구입장 차이 및 성격 특성의 영향.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장문선, 김영환 (2003). 기혼여성 우울증 환자의 결혼만족도에서 역기능적 태도와 부부의사소통패턴의 특성.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2(2), 399-414.

13.

전영주 (1998). 삼세대 가족의 정서체계 역동성과 성인 자녀의 우울증. 한국가족관계학회지, 3(1), 22-45

14.

전춘애 (1994). 부부의 자아분화수준과 출생가족에 대한 정서적 건강 지각이 결혼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박사학위논문.

15.

최규련 (1987). 한국 도시 부부의 결혼만족도 요인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6.

최규련 (1993). 맞벌이 부부의 결혼만족도와 우울증에 관한 연구-학동기 자녀를 둔 맞벌이 부부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31(1), 62-84.

17.

하상희 (2008). 기본남녀가 지각한 원가족 경험이 결혼만족도 및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6(2), 129- 141.

18.

홍세희 (2007). 구조방정식 모형을 적용한 다집단 분석 및 매개효과 검증. 미발간 워크샵 교재.

19.

Amato, P. R. & Booth, A. (1995). Changes in gender role attitudes and perceived marital quality.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60(2), 58-66.

20.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1- 1182.

21.

Bradbury, T. N., Cohan, C. L., & Karney, B. R. (1998). Optimizing Longitudinal research for understanding preventing marital dysfunction. In T. N. Bradbury (Ed.), The developmental course of marital dysfunction. (pp.279-311).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22.

Burleson, B. R., & Denton, W. H. (1997).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cation skill and marital satisfaction: Some moderating effect.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9(4), 884-902.

23.

Christensen, A., & Sullaway, M. (1984). Communication patterns questionnaire. Unpublished questionnaire,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24.

Duvall, E. M. (1957). Family Development. Philadelphia: J. B. Lippincott.

25.

Faulkner, R. A., Davey, M., & Dasvey, A. (2005). Gender-Related Predictors of Change in Marital Satisfaction and Marital Conflict. The American Journal of Family Therapy, 33(1), 61- 83.

26.

Fine, M. (1988). Sexuality, schooling and adolescent females: The missing discourse of desire. Harvard Educational Review, 58(1), 29- 53.

27.

Gottman, J. M. (1989). Marital Interaction and Satisfaction: A Longitudinal View.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57(1), 47-52.

28.

Gottman, J. M. (1993). A theory of marital dissolution and stability.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7(1), 57-75.

29.

Gottman, J. M. (1994). What predict divorce?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30.

Jacobson, N. S., & Margolin, G. (1979). Marital Therapy: Strategies based on social learning and behavioral exchange principles. New York: Brunner/Mazel.

31.

Karney, B. R., & Bradbury, T. N. (1995). The longitudinal course of marital quality and stability: A review of theory, method, and research, Psychological Bulletin, 118(1), 3-34.

32.

Kashy, D. A., & Kenny, D. A. (2000). The analysis of data from dyads and groups. In H. T. Reis & C. M. Judd (Eds.), Handbook of research methods in social psychology. Cambridge University Press.

33.

Kenny, D. A. (1996). Models of non- independence in dyadic research.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 Relationships, 13(2), 279-294.

34.

Kenny, D. A., Kashy, D. A., & Cook, W. L. (2006). Dyadic data analysis. New York: The Guilford Press.

35.

Kieclt-Glaser, J. K., & Newton, T, L. (2001). Marriage & health: His and hers. Psychological Bulletin, 127(4), 472-503.

36.

Larson, J. H., & Holman, T. B. (1994). Premarital prediction of marital quality and stability. Family Relations, 43(2), 228-237.

37.

Nock, S. L. (1998). Marriage in men‘s lives.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38.

Sabatelli, R. M., & Bartle-Haring, S. E. (2003). Family of origin experiences and adjustment in married couples.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5(1), 159-169.

39.

Snyder, D. K. (1979). Marital satisfaction inventory. Los Angeles, CA: Western Psychological Services.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