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권호 목록

애착이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 자존감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김순영(이화여자대학교) ; 김환(서울사이버대학교) pp.339-363 https://doi.org/10.18205/kpa.2013.18.3.00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애착이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존감의 매개역할을 살펴보았다. 서울 소재 온라인대학에서 상담심리학 과목을 수강하는 학생 중 자녀가 있는 461명을 대상으로 하여 애착유형, 자존감, 양육태도를 측정하였다. 양육태도점수에서 애착유형에 따른 주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변량분석을 시도하였는데, 애정적 태도, 적대적 태도, 통제적 태도 점수에서 주효과가 나타났다. 안정애착은 회피애착이나 불안애착에 비해 애정적 태도 점수가 유의미하게 높았고 적대적 태도 점수는 유의미하게 낮았다. 통제적 태도 점수에서는 불안애착이 가장 높은 점수를 얻었다. 애착의 하위차원과 양육태도 차원의 상관분석 결과, 애착의 의존 차원은 주로 애정-적대 차원 양육태도와 상관을 나타냈다. 애착의 친밀 차원과 불안 차원은 양육태도의 애정-적대 차원과 자율-통제 차원에 동시에 상관을 나타냈는데 상관 패턴은 반대였다. 그리고 애착이 양육태도로 이어지는 경로에서 자존감의 매개역할을 살펴보았다. 매개분석에 따르면, 애정-적대 양육태도 차원을 종속변인으로 하였을 때는 독립변인인 애착의 영향을 자존감이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율-통제 양육태도 차원을 종속변인으로 하였을 때는 독립변인인 애착의 영향을 자존감이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한계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attachment ability and self-esteem on hostile parenting attitude and repressive parenting attitude. 461 online university students who were at parents status and took counseling psychology class participated this study and filled out Adult Attachment Scale(AAS), Rosenberg Self-Esteem Scale(RSES), Maternal Behavior Research Instrument(MBRI) and Repressive attitude subscale of Parental Meta-Emotion Scale(PMES). ANOVA analysis were accomplished to identify main effect of attachment style over parenting attitude. The result was that parents with secure attachment style showed higher affective parenting attitude score and lower hostile attitude score than avoidant attachment style and anxious attachment style. Parents with anxious attachment style got higher repressive attitude score than any other attachment style.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only the affect-hostile dimension of parenting attitude was related with depend dimension of attachment. As for close and anxiety dimension of attachment, both the affect-hostile dimension and autonomy-control dimension of parenting attitude were related, but with opposite direction. Regression analysis was accomplished to find out mediating roles of self-esteem along the path from attachment ability to parenting attitude. As a result, there was partial mediation role of self-esteem when dependent variable was the affect-hostile parenting attitude. When dependent variable was the autonomy-control parenting attitude, there was full mediation effect of self-esteem. Finally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한국인의 성역할고정관념과 성차별의식 및 군복무에 대한 태도
심미혜(간사이대학) ; ENDO YUMI(간사이대학) pp.365-385 https://doi.org/10.18205/kpa.2013.18.3.002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일반 성인 남녀 615명을 대상으로 남성다움과 여성다움에 대한 고정관념과 성차별의식, 군복무에 대한 태도에 성별과 세대 및 군복무경험의 유무에 따른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하고 군복무경험과 군복무에 대한 인식이 성차별의식과 어떻게 연관되어 있는지를 검토하여 한국사회의 성차별문제를 논의하였다. 먼저, 남성다움과 여성다움에 해당하는 20개의 문항을 제시하고 각각 3개의 항목씩 선택하게 한 결과, 강한 책임감과 인생의 목표, 결단력과 성실함이 남성다움에 대한 남녀의 공통된 답변으로 선택되었다. 여성다움에 있어서는 따뜻함, 넓은 마음, 애교와 더불어 남성은 아름다운 용모, 헌신, 순종과 같은 항목들을, 여성은 인생의 목표를 여성다움의 중요한 항목으로 선택하였다. 타인에 대한 배려는 남성다움과 여성다움에 요구되는 공통된 답변이었다. 둘째, 성별에 따른 성차별의식은 적대적 성차별의식과 온정적 성차별의식 모두 남성이 여성보다 더 높았다. 세대 간 비교에 있어서는 온정적 성차별의식은 차이가 없었지만 적대적 성차별의식은 20대만 다른 연령대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셋째, 적대적 성차별의식과 온정적 성차별의식의 상관은 여성 집단과 군대를 경험하지 않은 남성 집단에서 두 변수 간 유의한 상관이 존재한 것에 반하여, 군대를 경험한 남성 집단에서는 두 변수의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군복무에 대한 태도는 성별과 세대, 군복무경험의 유무에 따른 집단 간 차이가 없었다. 다섯째, 온정적 성차별의식과 군복무에 대한 태도는 모든 집단에서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여섯째, 적대적 성차별의식에는 성별과 연령이, 온정적 성차별의식에는 군복무에 대한 태도와 성별이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우리 사회는 여전히 남성다움과 여성다움에 대한 고정관념이 유지되고 있으며 젊은 세대의 여성에 대한 적대적 성차별의식은 점차 사라지고 있지만 온정적 성차별의식은 여전하며 군복무에 대한 긍정적 태도는 성별과 세대를 아울러 온정적 성차별의식과 깊은 관련을 맺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The present study surveyed 615 adult males and females to find out differences by gender and generation in stereotypes toward gender roles in terms of masculinity and feminity and sexism against women and to discuss any relevance with the ideology of military service, which has been pointed out as a background for sexism. First, asked to choose three items from each of 20 questions about masculinity and feminity, both male and female respondents selected responsibility, goals in life, determination and sincerity as common aspects of masculinity. In terms of feminity, male respondents chose warmth, generosity and charm as well as beautiful appearance, devotion and docility, whereas female respondents selected goals in life. Consideration for others was found common to feminity and masculinity. Second, in view of sexism by gender, male respondents proved more discriminative in terms of both benevolent and hostile sexism. No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different generations in benevolent sexism. By contrast, only those who were in their 20s had lower hostile sexism compared to other age groups. Third, attitudes toward military service, used to measure any influence of the ideology of military service did not differ by gender and generation. Fourth, benevolent sexism and attitudes toward military service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in all age groups and increased in proportion to age.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distinct gender-based perspectives still exist about masculinity and feminity in our society, that hostile sexism against women gradually disappears in younger generations and that the ideology of military service is deeply associated with sexism across gender and generation.

기혼남녀의 긍정적 감정 유발과 결혼만족도와의 관계-Gottman 이론을 중심으로
노은미(신촌세브란스) ; 이민규(아주대학교) pp.387-405 https://doi.org/10.18205/kpa.2013.18.3.00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Gottman의 이론을 중심으로 긍정적 감정 유발과 결혼만족도와의 관계를 확인하고자 한다. 경기도에 거주하는 기혼남녀 179명을 대상으로 상관분석을 살펴본 결과 긍정적 감정과 결혼만족간에 정적상관이 관찰되었고, 긍정적 감정 유발의 5가지 하위 요소 중 좋아하고 존중하는 마음과 다가가기 변인이 결혼만족도를 유의미하게 예측해 주었다. 또한 긍정적 감정 유발에 대한 자기평가와 배우자에 대한 평가를 각각 분리하여 측정하였는데, 분석결과 배우자가 긍정적 감정 유발을 어느 정도 사용하고 있는지에 대한 지각이 자기의 긍정적 감정 유발의 정도보다 결혼만족도에 대한 예측력을 높여주었다. 즉, 배우자의 긍정적 감정 유발이 높다고 지각하는 집단일수록 결혼만족도가 더 높게 보고되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중심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안을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Study was conduct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ducing Positive Affect and Marital Satisfaction based on Gottman theory. The result of the correlation analysis of 179 men and women in Gyeonggi-do was positive correlation at the .01 level of significance between Inducing Positive Affect and Marital Satisfaction and Fondness and Admiration system and Turning Toward of 5 subfactor in Inducing Positive Affect was anticipated in Marital Satisfaction. The Positive Affect separated self evaluation and partner evaluation. The result of Marital Satisfaction was anticipated in Inducing Positive Affect by perceive partner evaluation than by self evaluation. Marital Satisfaction was increased that individual is perceived greater of partner about Inducing Positive Affect. The result of greater in Inducing Positive Affect was increasing Marital Satisfaction.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were discussed.

아버지가 알코올 중독자인 ACOA의 이성관계 경험 : 미혼성인여성을 중심으로
강향숙(이화여자대학교) ; 한인영(이화여자대학교) pp.407-439 https://doi.org/10.18205/kpa.2013.18.3.004
초록보기
초록

Alcohol addiction is known as a “family disease” that could not only damage the alcoholics themselves physically, mentally, psychologically and socially, but is also severly detrimental to the family. In particular, it has negative effects on their children, and thus hindering the children from maintaining close relationships with the opposite sex when they become adults. This study examined the romantic relationships of the unmarried women of paternal alcoholics, in order to further understand their relation experience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social welfare interventions. The research question is this: what are the romantic relationships of the unmarried women of paternal alcoholics like? Through the qualitative study, the phenomenological method designed by Giorgi which seems to be more suitable for comprehending the complicated and intricate nature of developing romantic relationship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lve into this relatively unknown area of research interest. From a counseling centerarea and a therapeutic communities, and the 알아넌, among the unmarried female ACOA who among the 20 to 39-year-old female ACOA whose father had participated in a therapeutic program or received medical treatments for their alcohol addiction. The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May, 2011 to February, 2012. The data was collected by the method of in-depth interview. According to the interview results, 824 units of meaning were extracted. By transferring the units of meaning consisted of colloquial expressions that the subjects spoke into the academic terminology, these units of meaning were integrated into five categories and twelve theme clusters. These components are as follows. 1) I see ME: the personal identity of the daughter of an alcoholic, 2) I see YOU: You who are overshadowed by my father, 3) I meet YOU: the Hedgehog Dilemma, 4) WE also stand up: the tuning of relationships, 5) New WE: go on a trip again.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for the field of social welfare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provided profound insights into the ACOA who received scarce attention in the field and practice of addiction. Second, this study provides the foundations of discussion for the concept of “separation” that have been empirically emphasized in self-help group as well as the concrete rationale behind the intervention for the “separation.” Third, the opportunities of self-correction, educational opportunities, and specific strategies on developing intimidate relationships should be provided. Fourth, thorough investigation and active intervention about sexual issue should be provided and conducted for the ACOA.

Abstract

한국판 부모자녀관계 척도(Korean-Parenting Relationship Questionnaire-Preschool; K-PRQ-P)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이경숙(한신대학교) ; 박진아(한신대학교) ; 이미리(한국체육대학교) ; 신유림(가톨릭대학교) pp.441-458 https://doi.org/10.18205/kpa.2013.18.3.00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2-5세 유아를 대상으로 한 한국판 부모자녀관계 척도(Korean version of Parenting Relationship Questionnaire-Preschool; K-PRQ-P)의 표준화 연구로, 미국판 PRQ-P를 토대로 표준화에 사용할 한국판 K-PRQ-P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우선 3단계에 걸쳐 PRQ-P 도구를 번안한 뒤, 서울, 경기, 전주, 청주 및 부산의 5개 도시 어린이집과 유치원 2-5세 유아의 어머니 388명(남아 53.2%, 여아 46.8%)을 대상으로 K-PRQ-P 도구를 실시하였다. 도구의 신뢰도 검증을 위하여 내적합치도 계수와 검사-재검사 신뢰도 계수(N=20)를 산출하였다. 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정서 및 행동장애 집단(N=75)과 K-PRQ-P 점수의 차이검증, 각 하위척도 간 상관관계, 그리고 K-PRQ-P와 K-PSI 간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미국판 PRQ-P의 요인구조와 K-PRQ-P 도구의 요인구조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K-PRQ-P는 부모자녀관계를 측정하기에 신뢰롭고 타당한 도구임이 증명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도구의 유용성 및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Parenting Relationship Questionnaire-Preschool(K-PRQ-P). K-PRQ-P was administered to the parents of 388 preschoolers from 2 to 5 years of age. The reliability was tested through internal consistency and test-retest reliability(N=20). For validity test, scale intercorrelation, discriminant validity through administration to the parents of clinical preschoolers with emotional and behavior disorders(N=75), and construct validity through K-PSI and K-PSI-SF were examined. Results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indicated that the similar factor structures exist in both PRQ-P and K-PRQ-P. Overall, results showed high level of internal consistency(.74 to .81), test-retest reliability(.75 to .90), construct(K-PSI .20-.61; K-PSI-SF .19-.40) and discriminant validity, suggesting valid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K-PRQ-P. Implications of using the K-PRQ-P both as a clinical tool and a research instrument are discussed.

기혼여성이 느끼는 배우자에 대한 정서적 신뢰가 부부관계의 질에 미치는 영향 : 기본 심리적 욕구 충족의 매개효과
박상희(가톨릭대학교) ; 유금란(가톨릭대학교) pp.459-475 https://doi.org/10.18205/kpa.2013.18.3.006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기혼여성이 배우자에게 가지는 정서적 신뢰와 부부관계의 질적 만족 간의 관계에서 기본 심리적 욕구 충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257명의 기혼여성을 대상으로 배우자에 대한 정서적 신뢰, 기혼여성이 관계 내에서 경험하는 기본 심리적 욕구 충족, 부부관계의 질을 알아보는 부부 적응 척도를 측정하였으며 부부관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인구통계학적 변인을 함께 측정,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기혼여성이 배우자에게 갖는 정서적 신뢰, 기본 심리적 욕구 충족, 부부관계의 질 간에는 정적인 상관이 있었으며, 하위변인 간에도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기혼여성이 갖는 기본 심리적 욕구 충족은 자녀유무, 연령대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취업유무로 본 결과 취업주부의 유능성 욕구 충족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혼여성이 배우자에게 갖는 정서적 신뢰와 부부관계의 질 간의 관계에서 기본 심리적 욕구 충족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부분매개로 영향을 미쳤으며, 기본 심리적 욕구의 하위변인에서는 관계성 욕구 충족이 기본 심리적 욕구 충족을 매개로 하는 것보다 더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부부관계의 질, 즉 관계만족과 적응을 위해서 기혼여성이 배우자에게 가지는 정서적 신뢰와 관계 내에서 경험하는 관계성, 유능성, 자율성의 기본 심리적 욕구의 충족이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 및 미래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the fulfillment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reliance on their spouses and the quality of marital relationships. A total of 257 married women completed a questionnaire packet including demographic information, emotional reliance, basic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and quality of marital relationship. The results indicated that all the variables were positively correlated. The results also indicated that the fulfillment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y demographic variables (i.e. age and with or without children). However, employed women were highly satisfied with competence which is one of sub-construct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Lastly, the results revealed that basic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reliance and the quality of marital relationship for married women. The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