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권호 목록

중학생이 지각한 부와 모의 양육행동이 인터넷 중독 성향에 미치는 영향: 우울과 불안의 매개효과
김소연(부산대학교) ; 이동훈(성균관대학교 교육학과) pp.257-277 https://doi.org/10.18205/kpa.2013.18.2.00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이 지각한 부와 모의 양육행동과 인터넷 중독 성향 간의 관계에서 우울과 불안이 매개역할을 하는지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P광역시에 소재한 18개의 중학교 1, 2, 3학년 총 1092명이었으며, 부모 양육행동, 우울, 불안, 인터넷 중독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부와 모의 양육행동, 우울, 불안, 인터넷 중독 성향 간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우울과 불안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구조방정식을 사용하여 매개모형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 양육행동의 부 돌봄과 인터넷 중독 성향과의 관계에서는 하위요인에서 부적 상관을 보였고, 부 통제와 인터넷 중독 성향과의 관계에서는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모 양육행동의 모 돌봄과 인터넷 중독 성향과의 관계, 모 통제와 인터넷 중독 성향과의 관계에서는 하위요인에서 부적 상관을 보였다. 부 양육행동과 우울 및 불안의 관계, 모 양육행동과 우울 및 불안의 관계에서도 부적 상관이 나타났으며, 우울과 불안 모두 인터넷 중독 성향과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부의 양육행동과 모의 양육행동은 인터넷 중독 성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고, 우울과 불안을 매개로 하여 인터넷 중독 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모의 양육행동이 부의 양육행동보다 우울과 불안을 매개로 인터넷 중독 성향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논의 및 시사점이 제시되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depression and anxie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father and mother bonding behaviors and internet addiction symptoms in middle school students. For this study, self-reports data were collected from 1092 students in P metro city for parenting behaviors, internet addiction, depression, and anxiety.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were employed to examine the hypotheses.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father and mother bonding behaviors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most of subscales of internet addiction symptoms although no correlation was seen in father control, a subscale of father bonding behaviors. Second, father and mother bonding behaviors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depression, and anxiety. Third, depression and anxiety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internet addiction. Third, the result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 showed that father and mother bonding behaviors did not directly affect to internet addiction symptoms, while depression and anxiety displayed mediating effects between father and mother bonding behaviors and internet addiction symptoms. Additionally, the effect size of mediating in mother bonding behaviors was larger than those of father bonding behaviors. Based on the results, findings and implications were discussed.

대인관계갈등에서의 회피적 갈등대처방식이 우울에 미치는 조절효과:온오프라인 환경과 성차를 중심으로
김가을(고려대학교) ; 양은주(고려대학교) ; 권정혜(고려대학교) pp.279-294 https://doi.org/10.18205/kpa.2013.18.2.002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회피적 갈등대처가 온라인 및 오프라인 공간에서의 조절효과와 함께 성별과 대인관계 갈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총 622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설문 형식을 통하여 대인관계 갈등과 우울, 온라인 및 오프라인에서의 회피적 대처방식의 사용을 각각 평가하였고, 성별을 포함하는 인구 통계학적 정보를 조사하였다. 이 중 결측치와 단일변인 극단치, 다변인 극단치를 제외한 사례는 총 589명으로 남성 263명, 여성 326명이었다. 이들을 대상으로 위계적 회귀 분석을 통해 대인갈등, 온라인 및 오프라인에서의 회피적 갈등대처, 성별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대인관계갈등과 온라인 회피적 갈등대처의 사용, 성별이 삼원 상호작용을 보였으며, 이는 오프라인에서도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어 기울기 차이검증을 이용하여 조절효과를 보다 명확히 살피고자 하였다. 그 결과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의 회피적 갈등대처는 남성에게서만 조절효과가 나타남을 보다 명확히 알 수 있었다. 남성이 온라인 환경에서 높은 대인갈등을 경험할 때, 회피적 갈등대처는 보다 낮은 우울로 이어졌으며, 반면 남성이 오프라인 환경에서 높은 대인갈등을 경험할 때, 회피적 갈등대처의 사용은 상대적으로 더 높은 우울로 이어졌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oderating roles of avoidant coping strategies in online and offline space and gende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personal conflict and depression. A total of 622 adults completed a survey packet including the measures of interpersonal conflict, use of avoidant coping strategy in online space and offline space, respectively, depression, and demographic information including gender. After deleting cases with missing values, univariate and multivariate outliers, 589 cases (263 men and 326 women) were included in analyses.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test the interaction effect of interpersonal conflict, avoidant coping in online space, avoidant coping in offline space, and gender on depress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three-way interaction effects of interpersonal conflict, online avoidant coping, and gender as well as interpersonal conflict, offline avoidant coping, and gender were significant. The subsequent slope difference tests indicated that the moderation effects of online and offline avoidant coping strategies were found only with men. For men, the greater use of online avoidant coping was related to a lower level of depression under the condition of greater interpersonal conflict. However, the more use of offline avoidant coping was related to greater depression when men experienced greater interpersonal conflict. The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were discussed.

학부생과 대학원생의 성별에 따른 진로장벽의 차이 : 이공계 대학을 중심으로
연규진(서강대학교) ; 양지웅(포항공과대학교 학생상담센터) ; 이정선(포항공과대학교) ; 장애경(포항공과대학교) ; 김정기(포항공과대학교) pp.295-316 https://doi.org/10.18205/kpa.2013.18.2.00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이공계열 학생들이 지각하는 진로장벽이 성별과 학부생 및 대학원생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성별과 소속(학부 또는 대학원 소속)에 따른 순수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학점의 영향을 통제하고 다변량공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한 결과, 성별에 따라 지각한 진로장벽은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는데, 9개의 진로장벽 하위요인에 대한 개체-간 효과 검증 결과를 살펴보면 성별 차이를 가져온 하위요인은 대인관계의 어려움, 중요한 타인과의 갈등, 신체적 열등감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속에 따라 지각한 진로장벽의 유의미한 차이도 나타났는데, 학부생과 대학원생간의 진로장벽 차이를 가져온 하위요인은 직업정보 부족과 나이문제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성별과 소속의 상호작용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나, 개체-간 효과 검정의 상호작용 효과를 탐색적으로 살펴본 결과, 자기명확성 부족, 대인관계 어려움, 직업정보 부족 하위 영역에서 성별에 따른 차이가 대학원생들 사이에 더 많이 나타났으며, 특히 여자 대학원생들이 상대적으로 지각한 진로장벽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상담 및 진로지도 방안, 후속연구 제언을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science or engineering students’ gender and affiliation (undergraduate students vs. graduate students) differences in perceptions of career barriers. We used survey response data from 392 students who attended an engineering university in GyeongBuk Province. MANCOVA was conducted to find net effects of gender and affiliation on career barriers after controlling for an effect of GPA. According to the results of MANCOVA, there were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s in career barriers. The tests of between-subjects effects indicated that there were gender differences in relationship difficulties, conflicts with significant others, and lack of physical confidence. There were also significant affiliation differences in career barriers. The tests of between-subjects effects indicat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undergraduate students and graduate students in lack of career information and age barriers. Although an interaction effect of gender and affiliation was not significant in MANCOVA result, the tests of between-subjects effects indicated interaction effects were identified in lack of self-definiteness, relationship difficulties, and lack of career information. The results suggest that gender difference was greater within graduate students and that female graduate students relatively perceived a higher level of career barriers. Implications for counseling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직장인의 직무소진에 대한 남녀 차이 분석
김유선(호서대학교) ; 김명소(호서대학교) ; 한영석(호서대학교) pp.317-337 https://doi.org/10.18205/kpa.2013.18.2.004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441명의 직장인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직장인들이 경험하는 직무소진에서 남녀 차이가 나타나는지 탐색적으로 알아보았다. 직무소진을 설명하는 직무요구-자원 모형에 따라 업무의 특성을 직무요구(양적업무량, 역할갈등, 정서적 요구)와 직무자원(업무자율성, 사회적지지, 교육개발기회)으로 분류하였으며, 여기에 직무소진과 관련 있는 인구통계 변인(연령, 직위, 연소득, 근무연수, 결혼여부)을 추가하여 직무소진을 예측하는 요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남성 직장인들의 업무특성(직무요구, 자원)에 대한 인식 수준이 여성 직장인들에 비해 높은 경향이 있었으며, 정서적 요구와 직무요구 평균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남녀 직장인은 직무소진 전반 및 하위 구성요인인 정서적 소진, 냉소, 직업효능감의 감소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아, 직장인의 성별 자체가 직무소진의 주요한 예측변인이 아니라는 선행연구 결과를 지지하였다. 직무소진의 하위요인에 대한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남녀의 직무소진을 예측하는 선행변인의 영향력은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가 지니는 의의, 한계 및 향후 연구를 위한 제안점을 논의하였다.

Abstract

Present study explored gender differences on job burnout among 441 South Korean employees. According to job demands-resources model, job characteristics wer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as job demands(workload, role conflict, emotional demands) and job resources(autonomy, social support, opportunities to learn). Demographic variables were also included in regression analyses to test influences on burnout among predictors. Results show that male employees reported rather higher levels of job demands and resources than female employees, and the levels of emotional demands and overall job demand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Male and female employee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on burnout levels. This supports the earlier finding of Maslach & Jackson(1985) that gender itself is not a strong predictor of employee burnout. Regression analyses indicated that the importance of predictors on three burnout constructs was different between male and female employees.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es were discussed.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