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권호 목록

초등학생의 학업소진 및 학업열의에 관한 남녀 차이 연구
조주연(호서대학교) ; 김명소(호서대학교) pp.477-497 https://doi.org/10.18205/kpa.2013.18.4.00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의 학교생활적응과 학교생활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기초 작업으로 (1) 성별에 따라 학업소진과 학업열의 수준에서 차이가 있는가를 살펴보고, (2) 학업소진과 학업열의의 주요 예측변인들의 영향력에 대해 남녀 차이를 파악하며, (3) Schaufeli와 Bakker(2004)의 요구-자원 모형을 학업장면에 적용했을 때 남녀에 따라 차이가 발생하는지 탐색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경기지역 초등학생 4-6학년 521명에게 한국형 초등학생용 학업소진척도(KABS-ESS), 학업열의척도 및 관련 척도들을 실시하였다. 첫째, 학업소진과 학업열의에 대한 성차분석 결과, 학업열의에서 남학생 보다 여학생이 유의한 수준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업소진의 경우 남녀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학업소진의 하위구성요인별로 살펴보면 남녀차이가 나타났는데, 구체적으로 회피, 정서적 소진, 신체적 소진에서 남학생 평균이 여학생보다 유의미하게 더 높았다. 둘째, 학업소진 예측변인들의 영향력에서 남녀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남학생의 학업소진을 설명하는 가장 주요한 변인은 자기조절학습전략, 학업과다, 교사 지지, 부모성취압력, 자아탄력성 순으로 나타났고, 여학생은 자아탄력성, 부모성취압력, 학업과다, 부모 지지, 자기조절학습전략 순으로 주요 변인이었다. 또한, 학업열의를 준거변인으로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학업소진과 유사하게 남학생의 학업열의를 설명하는 가장 주요한 변인은 자기조절학습전략, 자아탄력성, 교사 지지로 나타났으며, 여학생의 경우 자아탄력성, 자기조절학습전략, 교사 지지가 유의한 예측변인으로 밝혀졌다. 마지막으로 구조방정식을 통해 직무 요구-자원 모형을 학업장면에 적용한 결과, 모형의 부합도가 남녀 모두에서 수용 가능한 수준으로 도출되어 모형의 일반화 가능성이 지지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을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 그리고 향후 연구 방향을 제안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a basic work to improve adaptation of school life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which (1) examines whether there is difference between gender in terms of the level of academic burnout and academic engagement, (2) investigates the difference between gender on the influence of academic burnout and main predictors, and (3) explores whether the difference between gender is made when Schaufeli and Bakker(2004)'s demand-resource model 78 applied to academic scene. For this, KABS-ESS and related scale. Recently developed by Jooyon Cho & Myoung So Kim(2013), were conducted to 531 elementary school study on 4-6th grade in Kyŏnggi area. First, as a result of gender difference analysis on academic burnout and academic engagement, was indicated that girls are higher than boys on academic engagement at the significant level,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 shown on academic burnout. However, when it comes to the subordinating factors of academic burnout, the gender difference was indicated specifically boys were higher than girls on avoidance, cynicism, emotional burnout and physical burnout. Second, after conducting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 order to examine the difference between gender on the influence of academic burnout predictors, the primary valuables which explains boy's academic burnout were self-regulation strategy, excessive work, teacher's support, parents achievement pressure, resilience and girl's primary valuables were resilience, parents achievement pressure, excessive academic work, parent's support, and self-regulation learning. Moreover, as a result of conduct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engagement as criteria valuables, primary valuables which explains boy's academic engagement were indicated as self-regulation learning strategy, resilience, teacher's support and in the case of girls, resilience, self-regulation learning strategy, teacher's support was revealed as significant predictors. Lastly, after adapting job demand-resource model through Amos to academic scene, the degree of correspondence of model was drawn at acceptable level to both men and women and the possibility of generalization of the model was supported. On the basis of these result implication, limitation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 were proposed.

한부모 여성의 부모역할 경험
이정빈(정빈심리상담연구소) pp.499-532 https://doi.org/10.18205/kpa.2013.18.4.002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한부모 여성들이 부모역할을 하면서 경험하는 것이 무엇인지 이해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연구방법은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적 연구방법’이 적용되었으며, 그 절차에 따라 경험의 본질에 집중, 경험한 그대로의 탐구, 해석학적 현상학적 반성 및 글쓰기가 이루어졌다. 이 연구의 참여자는 부모의 보호를 요하는 자녀와 함께 살면서 부모역할을 하고 있는 한부모 여성들이며, 자료수집 기간은 2011년 6월∼2011년 12월까지 이루어졌다. 자료수집 방법은 심층면담과 관찰법을 사용하였으며, 심층면담 방법은 비구조화 방식을 선택하였다. 주제 도출은 필사한 텍스트를 여러 번 읽으면서 참여자의 의미 있는 반응이나 느낌에 초점을 두고 관용어구와 문학작품과 현상학적 문헌을 참조하면서 분류와 사유과정을 통해 이루어졌다. 그 결과 26개의 하위 주제와 6개의 본질적인 주제가 도출되었다. 참여자의 본질적인 주제는 <내 삶이 산산조각 남> <홀로 감당해야만 하는 두려움과 속상함> <한부모로서 삶을 재구성해나감> <어긋남과 방어적인 관계 속에 살아가기> <홀로 해야 하는 힘겨움> <한부모로서 삶이 영글어감>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주제는 양부모가정 어머니에서 한부모가정 어머니가 되면서 ‘모든 것을 홀로 감당해야 하는’ 변화를 경험하는 구조와 관련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This study is intended to understand better what the participants experience through the parenting role and disclose what the essence of the experience. The present study adopted the phenomenological method of the qualitative research. In particular, this paper chose van Manen's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method. The participants for this study were 8 persons, who have experienced parenting as a mother of single-parent families. Data was collected by using in-depth interviews. The study derived twenty-six sub-themes and 6 main themes which were combined by those sub-themes. The parenting experiences of a mother of single-parent families are as followings: <coming that my life is broken into pieces>, <fear and impatience of to be asked on its own way>, <reconstructing that way of living as a single-mother>, <becoming estranged relations and becoming relations of defensive activities against possible disadvantage>, <fagging of to be asked on its own way>, <becoming good life as single-parent>. Parenting experiences of participants were disclosed to the structure that participants should carry out on its own way in the change of identity, relation and role.

북한이탈주민을 위한 PTSD 프로그램 효과 검증: 탈북여성을 대상으로
김승현(덕성여자대학교) ; 최빛내(덕성여자대학교) pp.533-548 https://doi.org/10.18205/kpa.2013.18.4.00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탈북여성을 대상으로 북한이탈주민을 위하여 개발된 PTSD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참여한 탈북여성은 총 70명으로 치료집단 32명, 통제집단 38명이다. 프로그램은 총 8회기로 진행되었으며,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북한이탈주민용 간이심리상태검사(BPSI-NKR: 외상후스트레스, 불안, 우울, 신체화, 대인예민, 분노, 정신증, 가족문제, 음주문제)와 사건충격척도(IES-R)가 사용되었고 프로그램의 사전 사후에 평가되었다. 그 결과, 본 프로그램에 참여한 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하여 프로그램 후에 전반적으로 모든 척도에서 낮은 평균을 보이고 있지만, IES-R, 외상후스트레스, 불안, 신체화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참여한 대상 중 북송경험이 있는 참여자의 경우 사전에 불안과 신체화 점수에서 유의미하게 낮았으나, 프로그램이 끝난 후에는 외상후스트레스와 대인예민의 점수가 북송경험이 없는 참여자에 비하여 유의미하게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iveness of PTSD Program of North Korean Refugees for North Korean Female refugees. Participants for this study were 70 North Korean Female who is experimental group were 32 and control group were 38. This program was 8 sessions. It was used to Brief Psychological State Inventory for North Korean Refugees(BPSI-NKR) and Impact of Event Scale-Revised(IES-R) for pre and post evalua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that the mean difference in all tested scales but IES-R, PTSD, anxiety and somatizaion between two groups were statiscically significant. Before this program, Repatriation group was significantly low score on anxiety and somatization but after this program this group was higher in PTSD and IS score than non-repatriation group. Based on the results, the author mentioned the limitations of study and the suggestions for further studies.

부모의 양육효능감이 자녀의 학업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학습지원행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양희(광운대학교) ; 김금미(성균관대학교) pp.549-565 https://doi.org/10.18205/kpa.2013.18.4.004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부모의 양육효능감이 자녀의 학업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모 학습지원 행동의 매개 효과를 검증을 하고자 실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경기도 소재 초등학교 4-6학년 자녀를 둔 부모에게 양육효능감과 학습지원 행동을 측정하고, 그 자녀들에게는 학업 자기효능감을 측정하였다. 총 240부의 배부된 설문지 가운데 부모 200부, 자녀 225부를 분석에 사용하여 부모의 양육효능감이 자녀의 학업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에서 학습지원 행동의 완전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하위요인별로 볼 때, 학습 환경 가꾸기 요인, 학업 정보제공 요인의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부모의 양육효능감이 자녀 학업 자기효능감의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고, 자녀의 학업 자기효능감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부모의 학습지원 행동 수준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또한 이는 자녀의 학업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는데 있어서 부모 학습지원행동의 효과와 한계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학술적, 실제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이어서 본 연구의 제한점과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s of mother and father's parenting self-efficacy on children’s academic self-efficacy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parental supports of learning. To achieve this, this study measured parenting self-efficacy of parents who have children in 4-6 grade of one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Gyeonggi-do province and their children’s academic self-efficacy by conducting survey. Among 240 distributed questionnaires, 200 from parents, 225 from children were used for analysis and it was verified the parenting supports of learning‘s complete mediation effects of parenting self-efficacy on children’s academic self-efficacy. It was also confirmed by the sub-factors,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learning environment management factors and the providing academic information factors. These results imply that mother and father's parenting self-efficacy is a variable to influence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academic self-efficacy and it is important to raise the level of parental supports of learning to improve children’s academic self-efficacy. It also has an academically and practically important meaning to show the effects and limitations of parenting supports of learning in improving children’s academic self-efficacy. Then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discussed.

학업지속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박혜진(ACG컨설팅) ; 한영석(호서대학교) ; 김명소(호서대학교) pp.567-580 https://doi.org/10.18205/kpa.2013.18.4.00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학업지속을 예측하는 요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탐색하기 위해 연구를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A대학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3,379명의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학업지속의도 및 학업지속영향요인에 대한 성별 및 학년별 차이분석 결과, 성별과 학년에 관계없이 모두 대학만족 요인이 가장 중요한 설명변인이었다. 그러나 다른 영향요인들 간에는 성별과 학년별 차별적 요인이 나타났다. 학업지속을 예측하는 요인으로 선정된 대학만족, 전공만족, 교육과정만족, 교수신뢰, 교수접근가능성, 대인관계만족, 대학활동만족, 대학서비스 및 기타 환경만족, 정서적 안정성, 학습습관, 통학만족, 경제적 어려움과 학업지속 의도를 준거로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대학만족, 통학만족, 교수신뢰, 경제적 어려움이 유의미한 예측력을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향후 연구 과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plore the predictors of academic persistence. A sample of 3,379 students who studies in A university were participated in this survey. In analysis of gender and grade level differences, university satisfaction was most important variable However, other factors that influence discriminatory factor between gender and grade level, respectively. Prediction of persistence consists of 12 factors including satisfaction of institution, major, curriculum, etc. We identified the relative effects between each of the 12 factors and intention of persistence. The results of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demonstrated that satisfaction of institution, distance between residence and location of institution, faculty trust, economic difficulties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intention of persistence. And, 6 of the 12 factors and intention of persistence had significant differential effect by the school year. Finally, the limitations and future directions of the present study were discussed.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