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한국인의 성역할고정관념과 성차별의식 및 군복무에 대한 태도

Stereotypes toward Gender Roles, Sexism and Attitudes toward Military Service among Koreans

초록

본 연구는 일반 성인 남녀 615명을 대상으로 남성다움과 여성다움에 대한 고정관념과 성차별의식, 군복무에 대한 태도에 성별과 세대 및 군복무경험의 유무에 따른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하고 군복무경험과 군복무에 대한 인식이 성차별의식과 어떻게 연관되어 있는지를 검토하여 한국사회의 성차별문제를 논의하였다. 먼저, 남성다움과 여성다움에 해당하는 20개의 문항을 제시하고 각각 3개의 항목씩 선택하게 한 결과, 강한 책임감과 인생의 목표, 결단력과 성실함이 남성다움에 대한 남녀의 공통된 답변으로 선택되었다. 여성다움에 있어서는 따뜻함, 넓은 마음, 애교와 더불어 남성은 아름다운 용모, 헌신, 순종과 같은 항목들을, 여성은 인생의 목표를 여성다움의 중요한 항목으로 선택하였다. 타인에 대한 배려는 남성다움과 여성다움에 요구되는 공통된 답변이었다. 둘째, 성별에 따른 성차별의식은 적대적 성차별의식과 온정적 성차별의식 모두 남성이 여성보다 더 높았다. 세대 간 비교에 있어서는 온정적 성차별의식은 차이가 없었지만 적대적 성차별의식은 20대만 다른 연령대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셋째, 적대적 성차별의식과 온정적 성차별의식의 상관은 여성 집단과 군대를 경험하지 않은 남성 집단에서 두 변수 간 유의한 상관이 존재한 것에 반하여, 군대를 경험한 남성 집단에서는 두 변수의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군복무에 대한 태도는 성별과 세대, 군복무경험의 유무에 따른 집단 간 차이가 없었다. 다섯째, 온정적 성차별의식과 군복무에 대한 태도는 모든 집단에서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여섯째, 적대적 성차별의식에는 성별과 연령이, 온정적 성차별의식에는 군복무에 대한 태도와 성별이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우리 사회는 여전히 남성다움과 여성다움에 대한 고정관념이 유지되고 있으며 젊은 세대의 여성에 대한 적대적 성차별의식은 점차 사라지고 있지만 온정적 성차별의식은 여전하며 군복무에 대한 긍정적 태도는 성별과 세대를 아울러 온정적 성차별의식과 깊은 관련을 맺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성역할고정관념, 적대적성차별주의, 온정적성차별주의, 군복무경험, 군복무에 대한 태도, Stereotypes toward gender roles, Hostile sexism, Benevolent sexism, Military experience, Attitudes toward Military service

Abstract

The present study surveyed 615 adult males and females to find out differences by gender and generation in stereotypes toward gender roles in terms of masculinity and feminity and sexism against women and to discuss any relevance with the ideology of military service, which has been pointed out as a background for sexism. First, asked to choose three items from each of 20 questions about masculinity and feminity, both male and female respondents selected responsibility, goals in life, determination and sincerity as common aspects of masculinity. In terms of feminity, male respondents chose warmth, generosity and charm as well as beautiful appearance, devotion and docility, whereas female respondents selected goals in life. Consideration for others was found common to feminity and masculinity. Second, in view of sexism by gender, male respondents proved more discriminative in terms of both benevolent and hostile sexism. No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different generations in benevolent sexism. By contrast, only those who were in their 20s had lower hostile sexism compared to other age groups. Third, attitudes toward military service, used to measure any influence of the ideology of military service did not differ by gender and generation. Fourth, benevolent sexism and attitudes toward military service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in all age groups and increased in proportion to age.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distinct gender-based perspectives still exist about masculinity and feminity in our society, that hostile sexism against women gradually disappears in younger generations and that the ideology of military service is deeply associated with sexism across gender and generation.

keywords
성역할고정관념, 적대적성차별주의, 온정적성차별주의, 군복무경험, 군복무에 대한 태도, Stereotypes toward gender roles, Hostile sexism, Benevolent sexism, Military experience, Attitudes toward Military service

참고문헌

1.

권인숙 (2000). 우리들 삶 속의 군사주의: 여성의 군사주의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여성평화아카데미 2000년 봄강좌.

2.

권인숙 (2001). 군사주의와 여성-징병제도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인권학술대회발표논문.

3.

권인숙 (2004). 군사주의 문화의 성별화 된 실제와 과제. 여성가족생활연구, 8, 17-35.

4.

권인숙 (2005). 대한민국은 군대다. 서울: 청년사.

5.

권혁범 (2003). 예비역남성, 그들은 누구인가?-한국 군필 남자들의 피해의식의 근원을 찾아서-계간 여성잡지 <이프> 특집 ‘여자 군대를 말한다’.

6.

권혁범 (2006). 여성주의, 남자를 살리다. 서울: 또 하나의 문화.

7.

고재원, 남기덕 (2009). 시간기반적 직장가정 갈등경험에 미치는 성역할 고정관념의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22(3): 373-397.

8.

김신현 (2010). 군입대 전후의 성의식 및 태도. 상지대학교 평화안보대학원 석사논문.

9.

김양희, 정경아 (2000). 한국형 남녀평등의식 검사.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4(1): 23-44.

10.

김은영 (1991). 한국인의 성고정관념에 대한 조사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논문.

11.

김은정 (2001). 대학생의 성평등의식에 관한 연구. 목원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석사논문.

12.

김현영 (2002). 병역 의무와 근대적 국민 정체성의 성별정치학. 이화여자대학교 석사논문.

13.

김현옥 (2002). 일상생활 속의 군사주의 재생산과 성별 경험: 의식, 경험, 행위 간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여성학. 18(1), 71-107.

14.

김혜숙, 안상수, 안미영, 고재홍, 이선희, 최인철 (2005). 적대적 성차별주의와 온정적성차별주의가 여성 하위 집단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9(3): 117-133.

15.

문승숙 지음, 이현정 옮김 (2007). 군사주의에 갇힌 근대. 서울: 또 하나의 문화.

16.

박진환 (2004). 담론의 활용을 통한 대학 내 군대 문화의 재생산. 한양대학교 석사논문.

17.

방희정 (1996). 성역할고정관념: 남성다움과 여성다움의 실체, 여성심리.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8.

심미혜, 엔도유미 (2011a). 가부장주의, 남성성, 병역태도가 성차별의식에 미치는 영향- 미필남자대학생을 대상으로-. 한일차세대학술포럼 제8회 국제학술대회 발표논문집.

19.

심미혜, 엔도유미 (2011b). 한국대학생의 성역할정체감과 성차별의식 및 군대에 대한 태도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7(1), 1-17.

20.

심미혜, 엔도유미 (2012). 한국남자대학생의 성역할정체감과 성차별의식-군미필자와 군필자의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여성학회 춘계학술대회 발표논문.

21.

심재웅 (2008). 포르노그래피 이용이 대학생들의 성차별주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52(6), 167-188.

22.

안상수, 김혜숙, 안미영 (2005). 한국형 양가적성차별주의척도(K-ASI)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9(2), 39-66.

23.

안상수, 백영주, 김인순, 김혜숙, 김진실 (2007).한국형 다면성별의식검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4.

안상수 (2008). 성평등의식의 과거와 현주소. 젠더리뷰 2008, 여름, 61-71.

25.

오미영 (2002). 군사주의와 젠더화된 위계질서. 여성연구논집, 13, 91-111.

26.

유혜정 (2006). 남성 섹슈얼리티의 사회화 기제로서 군대 성문화 연구. 상지대학교 석사논문.

27.

정희진 (2013). 페미니즘의 도전: 한국 사회 일상이 성정치학, 제3부 군사주의와 남성성. 교양인출판사.

28.

조성숙 (1996). 군대와 남성. 한국사회학회 후기사회학대회 발표문, 220-225.

29.

조용범 (2005) 병영과 한국남자 심리학보고서. 한겨례: 탐사기획, 2005년 11월 1일.

30.

지미선 (2002). 초등학생의 성차별의식과 성역할과의 상관성. 순천대학교 석사논문.

31.

홍두승 (1996). 한국군대의 사회학. 나남출판사.

32.

Campbell, B., Schellenberg, E. G., & Senn, C. Y. (1997). Evaluating measures of contemporary sexism. Psychology of Women Quarterly, 21, pp. 89-102.

33.

Enloe, Cynthia H. (1993). The Morning After: Sexual Politics at the End of the Cold War.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34.

Fischer, A. R. (2006). Women's benevolent sexism as reaction to hostility. Psychology of Women Quarterly, 30, 410-416.

35.

Glick, P,. & Fiske, S. T. (1996). The ambivalent sexism inventory: Differentiating hostile and benovolent sexism.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0, pp.491-512.

36.

Glick, P,. & Fiske, S. T. (1997). Hostile and Benevolent Sexism: Measuring Ambivalent Sexist Attitudes Toward Women. Psychology of Women Quarterly, 21, 199-135

37.

Glick, P., Fiske, S. T., Mladinic, A., Saiz, J. L., Abrams, D., Masser, B., Adetoun, B., Osagie, J. E., Akande, A., Alao, A., Brunner, A., Willemsen, T. M., Chipeta, K., Dardenne, B., Dijksterhuis, A., Wigboldus, D., Eckes, T., Expósito, F., Moya, M., Foddy, M., Kim, H-J., Lameiras, M., Sotelo, M. J., Mucchi-Faina, A., Romani, M., Sakalli, N., Udegbe, B., Yamamoto, M., Ferreira, M. C. & López, W. L. (2000). Beyond prejudice as simple antipathy: Hostile and benevolent sexism across cultur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9, pp.763-775.

38.

Glick, P., & Fiske, S. T. (2001). Benovolent Sexism. Advances in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33, pp.115-188.

39.

Glick, P., Lameiras, M., Fiske, S. T., Eckes, T., Masser, B., Volpato, C., Manganelli, A. M., Pek, J., Huang, L., Sakalli-Ugurlu, N., Castro, Y. R., D’Avila Pereira, M. L., Willemsen, T. M., Brunner, A., Six-Materna, I, & Wells, R. (2004). Bad but bold: Ambivalent attitudes toward men predict gender inequality in 16 n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6, pp.713-728.

40.

Goodwin, S. A., & Fiske, S. T. (2001). Power and gender: The double-edged sword of ambivalence, In R. K. Unger (ED).

41.

Handbook of psychology of woman and gender. New York: Jone Wiley & Sons, pp.358-366. 宇井美代子(訳)(2004). 権力とジェンダ-: アンビバレンスという両刃の剣,青野篤子編 (2009).ジェンダ-の心理学ハンドブック, 北大路書房.

42.

Jost, J. T., Blount, S., Pfeffer, J., & Hunyady, G. (2003). Fair market ideology: Its cognitive-motivational underpinnings. Research in Organizational Behavior, 25, pp.53-91.

43.

Jost, J. T., & Kay, A. C. (2005). Exposure to benevolent sexism and complementary gender stereotypes: Consequences for specific and diffuse forms of system justific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8, pp. 498-509.

44.

Kay, A. C., Gaucher, D., Napier, J. L., & Laurin, K. (2008). God and the government: Testing a compensatory controle mechanisms for the support of external system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95, pp.18-35.

45.

Lippa, R. A. (1990). Introduction to Social Psychology, Belmont Wadsworth.

46.

Swim, J. K. (2000). Sexism. In A. E. Kazdin (Ed.), Encyclopedia of psychology. Vol. 7. Oxford University Press, pp.232-236.

47.

Viki, G. T., Abrahams, D., & Hutchison, P. (2003). The “true” romantic: Benovolent sexism and paternalistic chivalry. Sex Roles, 49, 533-537.

48.

青野篤子編 (2009). ジェンダ-の心理学ハンドック, 第2章. 性差別主義. ナカニシヤ出版.

49.

池上 知子 (2013). 格差と序列の心理学, 第1章. 格差と序列を生み出す心理. ミネルヴァ書房

50.

伊藤 裕子 (1978). 青年期における性役割観の形., 教育心理学研究, 26,pp.1-11.

51.

宇井, 山本 (2001). Ambivalent Sexism Inventory (ASI)日本版の信頼性と妥当性の検討. 日本社会心理学会第42回大回論文集, pp.300-301.

52.

江原由美子 (1989). ジェンダ-の社会学ー女性たち․男性たちの世界, 新曜社.

53.

阪井俊文 (2007). セクシズムと恋愛特性の関連性の検., 心理学研究,78(4),pp.390-397.

54.

鈴木淳子, 柏木惠子 (2006). ジェンダ-の心理学-心と行動への新しい視座、第2章ジェンダ-役割の態度変化と文化社会変動.

55.

高橋久美子 (2002). 自己への脅威が女性に対する偏見に及ぼす効果-両面価値的性差別理論からの検討-. 社会心理学研究, 23, pp. 119-129.

56.

山本 真理子 (2001). 心理測定尺度集Ⅰ, 人間の内面を探る“自己․個人内過程. サイエンス社.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