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한국판 부모자녀관계 척도(Korean-Parenting Relationship Questionnaire-Preschool; K-PRQ-P)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Reliability and Validity Study for the Korean version of Parenting Relationship Questionnaire-Preschool(K-PRQ-P)

초록

본 연구는 2-5세 유아를 대상으로 한 한국판 부모자녀관계 척도(Korean version of Parenting Relationship Questionnaire-Preschool; K-PRQ-P)의 표준화 연구로, 미국판 PRQ-P를 토대로 표준화에 사용할 한국판 K-PRQ-P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우선 3단계에 걸쳐 PRQ-P 도구를 번안한 뒤, 서울, 경기, 전주, 청주 및 부산의 5개 도시 어린이집과 유치원 2-5세 유아의 어머니 388명(남아 53.2%, 여아 46.8%)을 대상으로 K-PRQ-P 도구를 실시하였다. 도구의 신뢰도 검증을 위하여 내적합치도 계수와 검사-재검사 신뢰도 계수(N=20)를 산출하였다. 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정서 및 행동장애 집단(N=75)과 K-PRQ-P 점수의 차이검증, 각 하위척도 간 상관관계, 그리고 K-PRQ-P와 K-PSI 간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미국판 PRQ-P의 요인구조와 K-PRQ-P 도구의 요인구조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K-PRQ-P는 부모자녀관계를 측정하기에 신뢰롭고 타당한 도구임이 증명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도구의 유용성 및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keywords
한국판 부모자녀관계척도(K-PRQ-P), 유아, 신뢰도, 타당도, Paren-child Relationship, preschooler, reliability, validity, K-PRQ-P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Parenting Relationship Questionnaire-Preschool(K-PRQ-P). K-PRQ-P was administered to the parents of 388 preschoolers from 2 to 5 years of age. The reliability was tested through internal consistency and test-retest reliability(N=20). For validity test, scale intercorrelation, discriminant validity through administration to the parents of clinical preschoolers with emotional and behavior disorders(N=75), and construct validity through K-PSI and K-PSI-SF were examined. Results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indicated that the similar factor structures exist in both PRQ-P and K-PRQ-P. Overall, results showed high level of internal consistency(.74 to .81), test-retest reliability(.75 to .90), construct(K-PSI .20-.61; K-PSI-SF .19-.40) and discriminant validity, suggesting valid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K-PRQ-P. Implications of using the K-PRQ-P both as a clinical tool and a research instrument are discussed.

keywords
한국판 부모자녀관계척도(K-PRQ-P), 유아, 신뢰도, 타당도, Paren-child Relationship, preschooler, reliability, validity, K-PRQ-P

참고문헌

1.

김영아 (2000). 아동 및 청소년의 우울증상에 대한 대인표상의 매개효과. 연세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2.

나유미 (2001). 부모-자녀관계와 아동의 또래 관계간의 연계: 인지표상 모델의 매개역할. 아동학회지, 22(1), 83-96

3.

문연심 (2004). 부모-자녀관계 유형이 유아의 공감과 조망수용 및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24(1), 115-143.

4.

문혁준 (2008). 부모-자녀 관련 국내학술지 논문의 연구 동향. 아동학회지, 29(2), 15-31.

5.

박영신, 김이철 (2000). 부모-자녀관계 변화가 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 초중고대학생의 성취동기, 생활만족도, 학업성취, 일탈행동을 중심으로. 교육학회지, 38(2), 109- 146.

6.

방희정 (2000). 한국사회에서의 부모자녀 관계 특성에 대한 발달심리학적 탐색.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6(3), 41-65.

7.

신건호 (2004). 부모자녀관계 유형이 자녀의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교육심리연구, 18(4), 97-113.

8.

신의진, 이경숙, 이재명 역 (2003). 진단분류: 0-3. 영유아기 정신건강 및 발달장애 진단분류. 하나의학사.

9.

신의진, 이경숙, 정석진, 홍현주 (2003). 한국 애착장애 아동의 발달 및 임상적 특성.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6(4), 155-174.

10.

유정이, 금명자, 이지은, 이호준, 김수리 (2006). 이혼경험에 대한 질적분석-부모의 경험과 부모자녀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8(1), 157-176.

11.

오경자, 문경주 (2006). 빈곤가정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 가족위험요인과 부모자녀관계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5(1), 59-76.

12.

이경숙, 정경미, 박진아, 김혜진 (2008). 한국판 부모 양육스트레스 검사-축약형(Korean version of Parenting Stress Index-Short Form: K-PSI-SF)의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3(3), 363-377.

13.

이경숙, 정석진, 박진아, 신의진 (2004). 부모-자녀관계 문제 유아의 성과 연령에 따른 이야기표상 차이.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 논문집, 95-96.

14.

정경미, 이경숙, 박진아, 김혜진 (2008). 한국형 부모 양육스트레스 척도(Korean-Parenting Stress Index: K-PSI)의 표준화 연구. 한국심리학회: 임상, 27(3), 689-707.

15.

정진경, 오경자, 문경주, 조아라 (2005). 부모와의 관계에 대한 청소년의 지각과 비행: 정서적 자율성과 행동적 자율성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4(4), 755-770.

16.

최인재 (2005). 청소년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부모자녀관계의 문화적 특성-부자유친 성정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7(4), 1059-1076.

17.

홍성흔, 도현심 (2002). 모-자녀관계 및 자아존중감과 청소년의 성취동기간의 관계. 대한가정학회지, 40(12), 145-157.

18.

홍세희 (2000). 특별기고: 구조 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9, 161-177.

19.

Abidin, R. R. (1995). Parenting Stress Index (PSI) manual (3rd ed.) Odessa, FL: Psychological Assessment Resources, Inc.

20.

Ainsworth, M. D. S., Blear, M. C., & Waters, S. (1978). Patterns of attachment: A psychological study of the strange situation. Hillsdale, NJ: Erlbaum.

21.

Antognoli-Toland, P. L. (2001). Parent-child relationship, family structure, and loneliness among adolescents. Adolescent & Family Health, 2, 20-36.

22.

Brennan, P. A., Broque, R. L., & Hammen, C. (2003). Maternal depression, parent-child relationships, and resilient outcomes in adolescence. Journal of Americ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ce Psychiatry, 42(12), 1469-1477.

23.

Conner, V. Y. (2001). Parental involvement: Quantifying parent behavior and its influence on a child's readiness to learn. Dissertation Abstracts International, 61, (8-A), 3046. (UMI NO. 9984610).

24.

Culp, R. E., Schadle, S., Robinson, L., & Culp, A. M. (2000). Relationships among parental involvement and young children's perceived self-confidence and behavioral problems. Journal of Child and Family Studies, 91, 27-38.

25.

George, C., Kaplan, N., & Main, M. (1996). Adult attachment interview(3rd ed.). Deveopment of Psychology, University of California at Berkely.

26.

Harach, L. D., & Kuczynski, L. J. (2005).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of parent-child relationships: Bidirectional contributions from the perspective of parents. Infant and Child Development, 14, 327-343.

27.

Harris, L. R. (2002). Parent-child relationship quality and sixth-graders' social competence at school. Dissertation Abstracts International, 62, (7-B), 3419. (UMI No. 3021389).

28.

Kamphaus, R. W., & Reynolds, C. R. (2006). PRQ Parenting Relationship Questionnaire manual. Pearson Assessment.

29.

Kendall, P. C., MacDonal, J. P., & Treadwell, K. R. (1995). The treatment of anxiety disorders in youth. In A. Eisen, C. Kearney, & C. Schaefer(Eds.), Clinical handbook of anxiety disorders in children and youth(pp.573-598). Northvale, NJ: Jason Aronson, Inc.

30.

Lifford, K. J., Harold, G. T., & Thapar, A. (2008). Parent-child relationships and ADHD symptoms: A longitudinal analysis.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36, 285-296.

31.

Magill-Evans, J., & Harrison, M. J. (2001). Parent-child interactions, parenting stress, and developmental outcomes at 4 years. Children's Health Care, 30, 135-150.

32.

Mantzicopoulos, P. (2003). Flunking kindergarten after Head Start: An inquiry into the contribution of contextual and individual variable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95, 268-278.

33.

Mol, J. D. & Buysse, A. (2008). Understandings of children's influence in parent-child relationships: A Q-methodological study.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 Relationship. 25(2), 359-379.

34.

Rosenzweig, C. J. (2000). A meta-analysis of parenting and school success: The role of parents in promoting students' academic performance. Dissertation Abstracts International, 61 (4-A), 1636.

35.

Schmidt, F., Cuttress, L. J., Lang, J., Lewandowski, M. J., & Rawana, J. S. (2007), Assessing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in parenting capacity evaluations: Clinical applications of attachment research. Family Court Review, 45(2), 247-259.

36.

Sidebotham, P. & the ALSPAC Study team (2001). Culture, stress and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A qualitative study of parents' perceptions of parenting. Child: Care, Health and Development, 27(6), 469-485.

37.

Zhang, Q. (2007). Family communication patterns and conflict styles in Chinese parent-child relationships. Communication Quarterly, 55(1), 113-128.

38.

Zeanah, C. H., Benoit, D. & Barton, M. (1986). Working Model of the Child Interview. Unpublished manuscipt, Brown University.

39.

ZERO TO THREE. (1994). DC: 0-3, Diagnostic Classification of Mental Health and Developmental Disorders of Infancy and Early Childhood. Washington DC: ZERO TO THREE Press.

40.

ZERO TO THREE. (2005). Revised DC: 0-3R, Diagnostic Classification of Mental Health and Developmental Disorders of Infancy and Early Childhood. Washington DC: ZERO TO THREE Press.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