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The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

Gender differences of academic burnout and academic engagement among Kore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bstract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a basic work to improve adaptation of school life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which (1) examines whether there is difference between gender in terms of the level of academic burnout and academic engagement, (2) investigates the difference between gender on the influence of academic burnout and main predictors, and (3) explores whether the difference between gender is made when Schaufeli and Bakker(2004)'s demand-resource model 78 applied to academic scene. For this, KABS-ESS and related scale. Recently developed by Jooyon Cho & Myoung So Kim(2013), were conducted to 531 elementary school study on 4-6th grade in Kyŏnggi area. First, as a result of gender difference analysis on academic burnout and academic engagement, was indicated that girls are higher than boys on academic engagement at the significant level,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 shown on academic burnout. However, when it comes to the subordinating factors of academic burnout, the gender difference was indicated specifically boys were higher than girls on avoidance, cynicism, emotional burnout and physical burnout. Second, after conducting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 order to examine the difference between gender on the influence of academic burnout predictors, the primary valuables which explains boy's academic burnout were self-regulation strategy, excessive work, teacher's support, parents achievement pressure, resilience and girl's primary valuables were resilience, parents achievement pressure, excessive academic work, parent's support, and self-regulation learning. Moreover, as a result of conduct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engagement as criteria valuables, primary valuables which explains boy's academic engagement were indicated as self-regulation learning strategy, resilience, teacher's support and in the case of girls, resilience, self-regulation learning strategy, teacher's support was revealed as significant predictors. Lastly, after adapting job demand-resource model through Amos to academic scene, the degree of correspondence of model was drawn at acceptable level to both men and women and the possibility of generalization of the model was supported. On the basis of these result implication, limitation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 were proposed.

keywords
elementary student, academic burnout, academic engagement, gender difference, demand-resource model, 초등학생, 학업소진, 학업열의, 남녀 차이, 요구-자원 모형

Reference

1.

강영철 (2003).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과 아동의 학업 자아 및 부모의 학업성취압력에 대한 태도와의 관계.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

고재홍, 윤경란 (2007).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자살생각: 자아탄력성의 완충효과. 한국청소년연구, 18(1), 185-212.

3.

구자은 (2000). 자아탄력성, 긍정적 정서 및 사회적 지지와 청소년의 가정생활적응 및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 부산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4.

김남기 (2011). 영업사원의 지각된 감정노동활동이 직무소진, 직무열의에 의한 이직 의도와 고객 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감정 지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전북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5.

김대현 (2011). 초등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정신건강의 관계에서 정서인식 명확성의 조절 효과.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6.

김별님 (2012). 부모의 성취압력동기와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학업소진에 미치는 영향. 대구가톨릭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7.

김미경, 김양희, 황사라, 정익중 (2012). 고등학생의 성적이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성별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복지연구: 14(4), 165-187.

8.

김종미 (2001). 초등학교 아동의 학업성취도에서의 성차 분석. 論文集, 43, 39-55.

9.

김지영, 서영숙 (2011). 학년별, 성별에 따른 초등학생의 학업성취도와 진로발달간 관계 비교 5, 6학년을 대상으로. 한국아동교육학회지, 20(3), 103-120.

10.

김지현 (2001). 완벽주의 성향과 학교적응 간의 관계-완벽주의 성향과 학교적응 간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1.

김현희 (2009). 성별에 따른 학업스트레스와 시험 불안과의 관계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2.

김혜원, 조성연, 김민 (2009). 남녀청소년의 삶의 만족도 비교: 공부의 중요성 인식, 공부에 대한 부모압력, 부모-자녀간 의사소통방식의 영향력을 중심으로. 연차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2, 206-207.

13.

뉴스와이어 (2013). 2013. 05. 30 초등학생 스 트레스 원인 1위 ‘학업’. http://media.daum. net/ press/newsview?newsid=20130530134817 858.

14.

문신정 (2004). 아동의 스트레스와 학교생활 적응간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5.

박상희 (2009). 초등학생의 자아탄력성, 실패내성, 학교적응 관계 연구. 초등교육학회, 16(2), 59-81.

16.

박성혜 (1994). 아동의 사회적 계망인식에 있어서 연령과 성취.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7.

박수자 (1996). 지각된 부모의 성취압력과 아동의 학습속도 및 대처행동과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8.

박용식 (1995). 아동의 학습 스트레스와 학업성적과의 관계.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9.

박은희 (1997). 자아탄력성, 지능 및 학업 성취도와의 관계연구.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

박혜정 (2009). 학업 스트레스, 통제소재, 우울과 자살 사고와의 관계: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1.

백미숙 (2011). 인문계 고등학생의 학업소진에 대한 학업환경과 대처의 영향. 한남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22.

신병창 (2012). 초등영재아동과 일반아동의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과 학업기대스트레스가 학업소진에 미치는 영향.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3.

심혜원 (1995). 완벽주의 성향이 전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24.

여성가족재단 (2010). 서울시 아동청소년 안전 및 건강실태조사. 서울: 여성 가족재단.

25.

오정희 (2013).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과 학업스트레스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초등학생과 중학생의 비교연구. 건양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26.

윤부성 (2000). 아내학대 관련기관 상담 원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27.

윤신기 (2004). 초. 중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 경험 및 대처행동과의 관계. 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8.

윤지나 (2011). 전공계열에 따른 조직문화가 팔로우십 및 학업몰입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9.

이경주, 신효식 (1997). 청소년 자녀가 지각한 사회적 지원 및 지지유형 수준에 따른 부적응.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5(4), 15-26.

30.

이미자 (2009). 초등학교 아동의 학업스트레스, 자아탄력성, 사회적 지지와 학교 적응과의 관계 및 조절효과 탐색.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1.

이상미, 이희선 (2008). 부모의 언어통제유형과 심리적 가정환경이 초등학생의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6(10), 147-157.

32.

이상민 (2012). 초․중․고등학생의 학업소진 진행과정 및 경로분석. 서울: 집문당.

33.

이쌍이 (2011). 아동의 자아탄력성이 학업 스트레스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4.

이영복 (2009). 청소년의 학업 소진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5.

이영복, 이상민, 이자영 (2009). 한국형 학업 소진 척도개발 및 타당화. 교육학연구, 15(3), 59-78.

36.

이유미 (1995).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인지 적 평가에 관한 연구: 광주직할시 중.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37.

이은미, 박인전 (2002). 부모-자녀 유대관계와 아동의 자아탄력성과의 관계. 한국가족복지학, 7(1). 3-24.

38.

이자영, 이상민 (2012). 한국형학업열의척도 개발 및 타당화. 교육방법연구, 24(1), 131- 147.

39.

이하나 (2006). 정서인식의 명확성, 정서의 표현 및 갈등과 대인불안의 관계: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검증. 연세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40.

임양미 (2013). 빈곤가정 청소년의 자아탄력성 및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탐색. 한국 가정과 교육학회지, 25(2), 147- 167.

41.

정미경 (2007). 자기조절학습과 창의적․비판적 사고력간의 관계. 영재와 영재교육, 6(1), 163-182.

42.

정승진 (1999). 완벽성 감소를 위한 인지행동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연세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43.

조강래 (2007). 고 3 학생들의 학업 스트레스원(源)에 따른 학업스트레스 증상과 대처방식: 일반계 고등학생 남녀 비교를 중심으로.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4.

조주연, 김명소 (인쇄 중). 한국형 초등학생용 학업소진척도(KABS-ESS) 개발 및 타당화 연구.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구 대한가정학 회지) 2014년 2월 28일 52권 1호 게재 예정.

45.

조희진 (1982).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양육 태도와 자녀의 내외통제성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6.

차영희 (2009). 자기조절학습전략이 초등학생의 창의성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7.

차은주 (2010). 인문계 고등학생의 자아탄력성, 학업적 실패내성, 학교생활적응간의관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8.

최정임 (1998). 완벽주의 성향, 시험 불안, 학업성취도의 관계: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9.

최태산, 이은희, 서미정 (2000). 상담 및 심리치료: 청소년의 우울과 자아존중감, 학교스트레스 및 부모-자녀 의사소통의 관계. 연차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00, 178-179.

50.

통계청 (2009). http://kostat.go.kr/portal/ korea/kor _ko/5/2/index.board?bmode=read&aSeq= 66251.

51.

한국일보 (2013. 01. 04). 여학생이 남학생보 다 학습태도 우수. jamich@yna.co.kr

52.

한성림 (2012). 중학생의 5요인 성격특성과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학업소진과의 관계.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53.

Alarcon. G. M., Edward. J. M. & Menke. L. E. (2011). Student burnout and engagement: A test of the conservation of resources theory. The Journal of Psychology, 145(3), 211-227.

54.

Assor, A., Kaplan, H., & Kanat-Maymon, Y., Roth, G. (2005). Directly controlling teacher behaviors as predictors of poor motivation and engagement in girls and boys: The role of anger and anxiety. Learning and Instruction, 15(5), 397-413.

55.

Barkatsas, A. T, Kasimatis, K. & Gialamas, V. (2009). Learning secondary mathematics with technology: Exploring the complex inter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attitudes, engagement, gender and achievement. Computers & Education, 52(3), 562-570.

56.

Byrne, B. M. (2001).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Amos: Basic concepts, applications, and programming. Mahwah, NJ: Lawrence Erlbaum.

57.

Block, J., Kremen, Adam, M. (1996). IQ and ego-resiliency: Conceptual and empirical connections and separatene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0(2), 349- 361.

58.

Caldasa, S. J., & Bankstona, C. (1997). Effect of school population socioeconomic status on individual academic achievement.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90(5),

59.

Cohen, J. and Cohen, P. (1983), Applied multiple regression/correlation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Lawrence Erlbaum Associates, Hillsdale, NJ.

60.

Cornwell, C. M., Mustard, D. B. & Parys, J. V. (2011). Non-cognitive skills and gender disparities in test scores and teacher assessments: evidence from primary school. Discussion paper No. 5973.

61.

Demerouti, E. Bakker, Arnold B., Nachreiner, Friedhelm, Schaufeli, Wilmar, B.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 86(3), Jun 2001, 499-512.

62.

Furrer, Carrie, Skinner, Ellen (2003). Sense of relatedness as a factor in children's academic engagement and performanc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95(1), 148-162.

63.

Gan, Y., Shang, J. Y. & Zhang, Y. G. (2007). Coping flexibility and locus of control as predictors of burnout among Chinese college students. Social Behavior and Personality: an international journal, 35(8), 1087-1098.

64.

Jacobs, S. R. & Dodd, D. (2003). Student burnout as a function of personality, social support, and workload. Journal of College Student Development, 44(3), 291-303.

65.

Kiuru, N., Aunola, K., Jari-Erik Nurmi, J. E., Esko Leskinen, E., Salmela-Aro, K. (2008). Peer group influence and selection in adolescents' school burnout: A longitudinal study. Merrill-Palmer Quarterly, 54(1), 23-55.

66.

Maslach, C. & Jackson, Susan, E. (1981). The measurement of experienced burnout.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2(2), 99-113.

67.

Pacht, Asher R. (1984). Reflections on perfention. American Psychologist, 39, 386-390.

68.

Raymond B. Millerf1, Barbara A. Greene, Gregory P. Montalvo, Bhuvaneswari, R., Joe D. Nichols (1996). Engagement in academic work: The role of learning goals, future consequences, pleasing others, and perceived ability. Department of Educational Psychology, 21(4), 388-422.

69.

Schaufeli, W. B., Martez, I. M., Marques Pinto, A., Salanova, M., & Bakker, A. B. (2002a). Burnout and engagement in university students: Across-national study. Journal of Cross-Cultural Psychology, 33, 464-481.

70.

Schaufeli, W. B., Salanova, M., Gonzailes-roma., V. (2002b). The measurement of burnout and engagement: A confirmatory factor analytic approach. Journal of Happiness Studies, 3, 71-92.

71.

Schaufeli, W. B. & Bakker, A. B. (2004). Job demands, job resources, and their relationship with burnout and engagement: A multi- sample study.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25(3), 293-316.

72.

Yang, H. J. (2004). Factors affecting student burnout and academic achievement in multiple enrollment programs in Taiwan's technical- vocational colleges. International Journal of educational Development, 41, 153-162.

The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