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access
메뉴This study is intended to understand better what the participants experience through the parenting role and disclose what the essence of the experience. The present study adopted the phenomenological method of the qualitative research. In particular, this paper chose van Manen's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method. The participants for this study were 8 persons, who have experienced parenting as a mother of single-parent families. Data was collected by using in-depth interviews. The study derived twenty-six sub-themes and 6 main themes which were combined by those sub-themes. The parenting experiences of a mother of single-parent families are as followings: <coming that my life is broken into pieces>, <fear and impatience of to be asked on its own way>, <reconstructing that way of living as a single-mother>, <becoming estranged relations and becoming relations of defensive activities against possible disadvantage>, <fagging of to be asked on its own way>, <becoming good life as single-parent>. Parenting experiences of participants were disclosed to the structure that participants should carry out on its own way in the change of identity, relation and role.
공선영 (2000). 모자가족의 경험과 적응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김상희 (2004). 성인 여성의 배우자 사별체험. 고신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문현숙 (1999). 이혼 후 적응과정에 대한 사례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문현숙 김득성 (2003). “이혼 후 적응과정에 관한 사례연구”. 대한학정학회지, 38(3), 99- 120.
민선희 (2009). 한부모가정 아동의 성역할정체감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소원․정일호 (2007). 그래, 우리는 싱글맘 싱글대디다. 멘토르.
박정윤 (2010). 건강가정지원센터 내 한부모가정 관련 사업 현황과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8(3), 167-178.
배미영 (2009). 한부모가정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아동의 사회성 발달.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송미승 (2001). 이혼여성의 자녀양육 경험.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송 욱 (2012). 여성의 이혼 후 적응과정에 관한 근거이론적 접근.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눈문.
성정현 (1998). “성역할태도의 이혼여성의 적응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신경림 (2000). 체험연구. 현문사.
신옥주 (2011). 독일의 단독양육모를 위한 법적․실무적 장치에 대한 연구. 이화젠더법학, 2(2), 이화여자대학교 젠더법학 연구소, 171-208.
신현림 (2005). 신현림의 싱글맘 스토리. Human & Books.
양진향 (2001). 한국여성의 음식양생에 대한 체험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양한연 (2009). 싱글맘의 심리적 지원체계로서 자조모임. 한국한부모가정학, 2(1), 39-56.
오진국의 디지털아트 (2012). http://blog.naver. com.
윤성은 (2008). 이혼여성의 자존감 회복과정에 대한 연구. 백석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이가원․권오돈․임창순 (1987). 동아한한대사전. 서울: 동아출판사.
이근호 (2011). 존재의 교육과정 탐구: 현상학적 접근의 교육과정적 의미. 한국교육인류학회.
이나경 (2011). 여성한부모 가족의 의사소통 증진을 위한 치료적 음악만들기 사례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남인 (2003). 현상학과 해석학의 철학적 이해. 2003년 하계 질적 연구워크샵 자료.
이재황 (2008). 한자의 재발견. 서울: 웅진씽크빅.
장혜경 (2003). 이혼여성의 부모역할 실태와 지원방안. 한국여성개발원.
조흥식 외 역 (2012). 질적 연구방법론. 서울: 학지사.
최대제 (2010). 배우자 사별을 위한 상호지지 집단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서강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최명선․류진아․박희정 (2007). 한 부모가족 여성가장의 경험에 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12(3). 75-95.
최영아 (2013). 싱글맘의 평생학습적 요구와 정책.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통계청 (2011). 2011년 인구동향. http://www. kostat.go.kr.
황선희 (2010). 사별에 따른 지속된 비애증상과 심리적 부적응의 관계에서 부정적 인지의 매개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황은숙 (2001). 한부모가정에 대한 반편견 유아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실시효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황은숙 (2005). 이혼가정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활성화 방안.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허정은 (2002). 여성 한 부모의 힘 기르기와 지지집단 형성과정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Afifi, T. D. & Schrodt, P. (2003). Uncertainty and Avoidance of the State of One's Family in Stepfamilies, Postdivorce Single-Parent Families, and First-Marriage Families. International Communication Association. 29(4), 516-532.
Kleist, David. M. (1999). Single-Parent Families: A Difference That Makes a Difference?. The Family Journal: Counseling and Therapy for Couples and Family, 7(4), 373-378.
Tsushima, T. & Gecas, V. (2001). Role and Socialization in Single-Parent Families. Journal of Family Issues, 22, 267-288.
van Manen, M. (1997). From Meaning to Method. Qualitative Health Research, 7(3), 345-3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