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데이트폭력 피해여성의 경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xperience of women suffering from dating violence.

초록

최근 데이트 폭력은 사회적으로 큰 문제가 되고 있으나 이에 대한 경험적 연구는 매우 부족한 상황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데이트 폭력을 경험한 피해 여성이 폭력의 시작부터 관계 단절까지 어떠한 경험을 하는지 이해하는 것이었다. 본 연구는 최근 3년 이내에 데이트 폭력 피해 경험이 있는 여대생 7명을 대상으로 개별 심층면접을 실시한 후 근거이론 접근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95개의 개념으로부터 43개의 하위범주와 17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데이트폭력 피해여성이 경험한 중심현상은 ‘폭력의 올가미에 갇힘’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가해자와의 단절 시도, 줄타기, 회복과 성장 단계의 과정을 거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모와의 관계에서의 부정적 경험, 심리적 및 경제적 의존으로 인해 관계에 갇힘, 가해자와의 관계를 사랑받는 경험으로 지각하는 것이 폭력을 경험하는 과정에서의 위험 요인으로 나타났다. 폭력의 원인을 내재화하거나 자해 및 자살시도와 같은 행동이 가해자와의 단절을 방해하는 요인으로 나타난 반면, 현실에 대한 직면과 외부 지지체계의 도움이 보호요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데이트 폭력 피해 경험의 과정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피해자들에게 필요한 개입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keywords
dating violence, victims, victimized experience, grounded theory, recovery, 데이트폭력, 피해자, 피해경험, 근거이론, 회복

Abstract

Recently in korea, dating violence has become rate of incidence is rising and the a big problem in the society. The purpose of conducting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at the female victims of dating violence experience from the onset of the assault to the termination of the relationship.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seven female college students aged 19 and over who had been victimized by dating violence within the last three years, and the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on them. The main research questions were, “What are the experience processes of the female victims of dating violence?” and “What are the main driving factors in the experience process?”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n-depth interview data by grounded theory approach, 95 concepts and 43 subcategories were derived from open-coding, and 17 categories were derived as a final result. The central phenomenon experienced by women suffering from dating violence appeared to be 'trapped in a snare of violence'. They were found to go through the process of breaking up with the perpetrator, trial, tightrope, recovery, and the growth phase. In addition, negative perceptions of parental relationships, confinement due to psychological and economic dependence, and perceived relationships with perpetrators as beloved experiences were risk factors in experiencing violence. Internalizing the cause of violence, self - harm and attempting suicide seemed to be obstacles to disconnection from the perpetrator, but the confrontation with the reality and the help of the external support system helped. This study suggests the implications for victims' intervention by looking at the process of dating violence experience.

keywords
dating violence, victims, victimized experience, grounded theory, recovery, 데이트폭력, 피해자, 피해경험, 근거이론, 회복

참고문헌

1.

강효진 (2009). 폭력적인 데이트 관계의 지속에영향을 미치는 변인: 피해 여성을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

강희경 (2007). 대학생의 가족 폭력에 대한 인식과 데이팅 폭력. 청소년학연구, 14(6), 21-41.

3.

김예정, 김득성 (1993). 지속적 이성교제에서의갈등표출행동. 대한가정학회지, 31(2), 127-139.

4.

김예정, 김득성 (1999a). 대학생들의 데이팅 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Ⅰ). 대학가정학회지, 37(10), 27-42.

5.

김예정, 김득성 (1999b). 대학생들의 데이팅 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Ⅱ).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7(3), 187-202

6.

김현옥 (2001). 우리나라 고등학생의 이성교제와교제폭력의 실태에 대한 연구. 원광대학교석사학위논문.

7.

경찰청 (2016). 연인 간 폭력(데이트 폭력). 경찰청

8.

경찰청 (2016). 연인 간 폭력(데이트폭력) 집중신고기간 1개월간 운영 결과. 경찰청

9.

박경민 (2015). 남녀 대학생의 데이트 폭력에 대한 허용도 차이-가해자․피해자 입장 전환을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박승민, 김광수, 방기연, 오영희, 임은미 (2012). 근거이론 접근을 활용한 상담연구과정. 서울: 학지사

11.

박하나, 장수미 (2012). 성장기 부모간 폭력목력 경험과 데이트성폭력피해의 관계: 피해 여대생 음주행동의 조절효과.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40(1), 149-176.

12.

서경현, (2004). 고등학생과 대학생의 가정폭력 피해와 데이트 폭력간의 관계에 대한 성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9(1), 147-162.

13.

서경현, 김봉진, 정구철, 김신섭(2001). 대학생들의 연애폭력과 예측변인. 여성건강, 2(1), 75-98.

14.

서경현, 김유정, 정구철, 양승애, 김보연 (2010). 데이트 폭력에 대한 가부장/비대칭 패러다임과 성-포괄적 모델의 타당성 제고.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5(4), 781-799.

15.

서경현, 이경순 (2002). 데이트 폭력 경험자들의 분노, 정신병적 경향성 및 중독성.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7(13), 353-368.

16.

서경현, 이영자 (2001). 고등학생들의 연애폭력의 예측변인.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7(2), 91-106.

17.

송만익, 박상준 (2000). 대학생의 이성간 폭력에 관한 실태분석. 대전산업대학교 학생생활연구연구소, 11, 165-190.

18.

신혜섭 (2007). 데이트관계에서 신체적 폭력의예측 요인: 여대생의 보고를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19, 55-75.

19.

신혜섭, 양혜원 (2005). 청소년 초기의 이성친구에 대한 신체적 폭력에 영향을 미치는변인. 청소년학연구, 12(1), 300-324.

20.

안귀여루 (2002). 이성교제 폭력행동과 관련된개인적 변인들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회, 9, 55-75.

21.

이은혜, 이초롱, 현명호 (2009). 데이트 폭력관계를 유지시키는 요인으로서 용서.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8(2), 385-403.

22.

이정은, 현명호, 유제민 (2007). 폭력적 데이트관계 지속에 관한 투자모델의 수정.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2(4), 983-995.

23.

이혜원 (2015). 미혼여성의 데이트 폭력 경험과대인관계문제, 우울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4.

여성긴급전화1366 (2015). 2015 여성긴급전화1366 운영보고서. 여성긴급전화 1366

25.

이화영 (2014). 데이트 폭력을 경험한 여성의 관계 중단 과정에 대한 연구. 성공회대학교시민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장희숙, 조현각 (2001). 대학생 이성교제폭력의실태와 위험 요인들. 한국가족복지학, 8, 179-204.

27.

정윤주 (2008). ‘데이트폭력’ 구성과 대응에 관한연구: 20대 여성의 피해 경험을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8.

정혜숙 (2007). 매맞는 여성의 떠날 수 없는, 머물 수 없는 이유. 사회복지연구, 32, 269-298.

29.

조현각 (2001). 대학생 이성교제관계에서 발생하는 폭력: 가해와 피해의 특성을 중심으로. 성공회대학교 시민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한국여성의전화 (2009). 2009 아시아 여성네트워크 포럼-아시아 3개굴 데이트 폭력 설문조사 결과발표 및 토론회자료집. 한국여성의 전화.

31.

한겨레 (2016. 3.15.). 안양서 실종된 20대 여성, 남자친구가 살해, 암매장.

32.

Beyers, J. M., Leonard, J. M., Mays, V. K., & Rosen, L. A. (2000). Gender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courtship abuse. Journal of Interpersonal Violence, 15(5), 451-466.

33.

Desai, S., Arias, L., Thompson, M., & Basile, K. (2002). Childhood victimization and subsequent adult revictimization assessed in a nationally representative sample of women and men. Violence and Victims, 17(6), 639-654.

34.

DeKeseredy, W., & Kelly, K. (1993). The incidence and prevalence of woman abuse in Canadian university and college dating relationships. Canadian Journal of Sociology, 18(2), 137-159.

35.

Follingstad, D., Wright, S., Lloyd, S., & Sebastian, J. (1991). Sex differences in motivations and effects in dating violence. Family Relations, 40(1), 51-57.

36.

Guba, E. G., & Lincoln, Y. S. (1981). Effective Evaluation. San Francisco, CA: Jossey-Bass.

37.

Henderson, A. J. Z., Bartholomew. K., & Dutton. D. G. (1997). He loves me; attachment and separation resolution of abused women. Journal of Family Violence, 12(2), 169-191.

38.

KBS (2016, 4, 11.). 헤어지자는 여자친구 찾아가 흉기로 위협한 40대 구속.

39.

Lloyd, S. (1991). The dark side of courtship:Violence and sexual exploitation. Family Relations, 40(1), 14-20.

40.

Molidor, C., & Tolman, R. M. (1998). Gender and contextual factors in adolescent dating violence. Violence Against Woman, 4(2), 180- 194.

41.

Painter. S. L., & Dutton. D. (1985). Patterns of emotional bonding in battered women:Traumatic bonding. International Journal of Women's Studies, 8(4), 363-375.

42.

Riggs, D. S., & O'Leary, K. D. (1996). Aggression between heterosexual dating partners: An examination of a casual model of courtship aggression. Journal of Interpersonal Violence, 11(4), 519-540.

43.

Sabina, C., & Straus, M. A. (2008). Polyvictimization by dating partners and mental health among U.S. College Students. Violence and Victims, 23(6), 667-682.

44.

Simonelli, C. J., & Ingram, K. M. (1998). Psychological distress among men experiencing physical and emotional abuse in heterosexual dating relationships. Journal of Interpersonal Violence, 13(6), 667-681.

45.

Smith, J., & Williams, J. (1992). From abusive household to dating violence. Journal of Family Violence, 7(2), 153-165.

46.

Stets, J. E. (1991). Psychological aggression in dating relationships. Journal of Family Violence, 6(1), 97-114.

47.

Strauss, A., & Corbin, J. (2001). 질적 연구 근거이론의 단계 (신경림 역). 서울: 현문사. (원전은 1998년에 출판)

48.

Straus, M. A., Hamby, S. L., Boney-McCoy, S., & Sugarman, D. B. (1996). The revised Conflict Tactics Scales (CTS2): Development and preliminary psychometric data. Journal of Family Issues, 17(3), 283-316.

49.

Stroshine, M. S., & Robinson, A. L. (2003). The Decision to End Abusive Relationships: The Role of Offender Characteristics. Criminal justice and behavior, 30(1), 97-117.

50.

Vitanza, S., Vogel, I. C. M., & Marshall, L. I. (1995). Distress and symptoms of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in abused women. Violence and Victims, 10(1), 23-34.

51.

Warshaw, C. (1998). Identification, assessment, and intervention with victims of domestic violence.. In C. Warshaw & A. L Ganley (Eds.), Improving the health care response to domestic violence: A resource manual for health care providers (pp. 49-86). San Francisco: Family Violence Prevention Fund.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