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데이트폭력 피해여성의 극복경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vercoming experience of women suffering from dating violence

초록

최근 데이트 폭력은 사회적으로 큰 문제가 되고 있으나 이에 대한 경험적 연구는 매우 부족한 상황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데이트 폭력을 경험한 피해 여성이 폭력의 시작부터 관계 단절까지 어떠한 경험을 하는지 이해하는 것이었다. 본 연구는 최근 3년 이내에 데이트 폭력 피해 경험이 있는 여대생 7명을 대상으로 개별 심층면접을 실시한 후 근거이론 접근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95개의 개념으로부터 43개의 하위범주와 17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데이트폭력 피해여성이 경험한 중심현상은 '폭력의 올가미에 갇힘'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가해자와의 단절 시도, 줄타기, 회복과 성장 단계의 과정을 거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모의 학대나 부재 등의 불안정한 양육환경, 심리적 및 경제적 의존으로 인해 관계에 갇힘, 가해자의 과도한 보살핌이나 통제 행동을 사랑으로 해석하는 것이 폭력을 경험하는 과정에서의 위험 요인으로 나타났다. 폭력의 원인을 내재화하거나 자해 및 자살시도와 같은 행동이 가해자와의 단절을 방해하는 요인인 반면, 현실에 대한 직면과 외부 지지체계의 도움이 보호요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데이트 폭력피해 경험의 과정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피해자들에게 필요한 개입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keywords
데이트폭력, 피해자, 피해경험, 근거이론, 회복

Abstract

Recently in korea, dating violence has become rate of incidence is rising and the a big problem in the society. The purpose of conducting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at the female victims of dating violence experience from the onset of the assault to the termination of the relationship.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seven female college students aged 19 and over who had been victimized by dating violence within die last three years, and die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on them. The main research questions were, "What are die experience processes of the female victims of daring violence?" and "What are the main driving factors in the experience proces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n-depth interview data by grounded theory approach, 95 concepts and 43 subcategories were derived from open-coding, and 17 categories were derived as a final result. The central phenomenon experienced by women suffering from dating violence appeared to be 'trapped in a snare of violence'. They were found to go through the process of breaking up with the perpetrator, trial, tightrope, recovery, and the growth phase. In addition, negative perceptions of parental relationships, confinement due to psychological and economic dependence, and perceived relationships with perpetrators as beloved experiences were risk factors in experiencing violence. Internalizing the cause of violence, self - harm and attempting suicide seemed to be obstacles to disconnection from the perpetrator, but the confrontation with the reality and the help of the external support system helped. This study suggests the implications for victims' intervention by looking at the process of dating violence experience.

keywords
doting violence, victims, victimized experience, grounded theory, recovery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