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워킹맘의 일-가정 갈등과 우울의 관계에서 마음챙김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Mindful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Family Conflict and Depression of Working Mothers

초록

본 연구는 워킹맘의 일-가정 갈등과 우울의 관계에서 마음챙김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생 이하의 자녀를 한 명 이상 양육하고 있으며, 주당 40시간 이상 근무하는 워킹맘 208명을 대상으로, 일-가정 갈등, 마음챙김, 우울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Mplus 7.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분석한 결과, 일-가정 갈등이 높을수록 마음챙김 수준이 감소하였고, 일-가정 갈등이 높을수록 우울 증상이 증가하였으며, 마음챙김 수준이 감소할수록 우울 증상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트스트래핑으로 매개 경로의 유의성을 확인한 결과, 일-가정 갈등과 우울 간의 관계를 마음챙김이 부분 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상담 및 교육을 통하여 워킹맘의 일-가정 갈등의 여파를 관리하는 개입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keywords
워킹맘, 일-가정 갈등, 다중역할갈등, 우울, 마음챙김, Working Mother, Work-Family Conflict, Multiple-role Conflict, Depression, Mindfulness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family conflict and depression of working mothers. For this purpose, surveys was conducted by 208 working mothers who raises at least one child who is an infant or an elementary school student and works more than 40 hours a week with using work-family conflict scale(WFC: Work-Family Conflict), mindfulness scale(MAAS: Mindfulness Attention Awareness Scale), depression scale(CES-D: The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 The Mplus 7.0 was used to analyze the structural model, and the result showed that the higher the work-family conflict is, the lower the level of mindfulness becomes and the more depressive symptoms exist. Also, the lower the level of mindfulness becomes, the more the depressive symptoms exist. Bootstrapping was used to verify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on effect and the partial mediation effect of mindfulness were observ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family conflict and depr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in terms of providing basic knowledge for developing the intervention programs to deal with the aftermath of work-family conflict in counseling and educating working mothers.

keywords
워킹맘, 일-가정 갈등, 다중역할갈등, 우울, 마음챙김, Working Mother, Work-Family Conflict, Multiple-role Conflict, Depression, Mindfulness

참고문헌

1.

구형선, 최혜순, 조인주 (2016).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와 정신건강과의 관계에서 마음챙김의 매개효과. 인문사회과학연구, 17(1), 659-683.

2.

권선중, 김교헌 (2007). 한국판 마음챙김 주의알아차림 척도(K-MAAS)의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2(1), 269-287.

3.

김성국, 박수연, 이현실. (2017). 직장 기혼 여성의 일-가정 갈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융복합연구, 15(3), 267-275.

4.

김빛나, 임영진, 권석만 (2010). 탈중심화가 내부초점적 반응양식과 우울증상에 미치는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9(2), 573-596.

5.

김소정 (2016). 맞벌이 여성의 일가족 경험이우울에 미치는 영향: 일가족갈등과 일가족촉진의 통합적 접근. 사회복지연구, 47(3), 161-185.

6.

김수영 (2016). 구조방정식 모형의 기본과 확장:MPLUS 예제와 함께. 서울: 학지사.

7.

김수정 (2015). 맞벌이 부부의 배우자 지지와 직무 만족과의 관계에서 일-가족 향상의 매개효과: 자기효과 및 상대방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8.

김은정, 오경자, 하은혜 (1999). 기혼 여성의우울증상에 대한 취약성: 스트레스 경험및 대처과정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여성, 4(1), 1-14.

9.

김재엽, 남석인, 최선아 (2009). 기혼 직장여성의 스트레스, 우울, 자살생각의 관계 - TSL 대처 방식에 따른 다집단 분석. 대한가정학회지, 47(10), 51-61.

10.

김주엽 (2006). 일과 가정의 균형에 관한 문헌적 검토. 인적자원개발연구, 8(1), 83-117.

11.

김주현, 문영주 (2010). 맞벌이 여성의 성역할태도가 결혼생활 만족과 일 만족에 미치는 영향 - 일-가정 갈등과 일-가정 강화의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4(2), 109-126.

12.

김필숙, 이윤석 (2015). 맞벌이 기혼남녀 관리자들의 일-가족 갈등: 성별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인구학, 38(4), 63-88.

13.

박기남 (2009). 기혼 취업 여성의 일ㆍ가족 양립을 위한 시간 갈등 연구. 한국여성학회, 25(2), 37-71.

14.

박성현 (2006). 마음챙김 척도개발. 가톨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5.

박은선, 손은영, 임지숙 (2016). 맞벌이 남성의일-가정 양립 경험에 대한 개념도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8(4), 1193-1216.

16.

신승철, 김만권, 윤관수, 김진학, 이명선, 무수재, 유계준(1991). 한국에서의 the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Depression Scale (CES-D)의 사용 - 표준화 및 요인구조에 대한 횡문화적 검토. 신경정신의학, 30(4), 754-767.

17.

안송희, 남승규 (2016). 자기애와 수용이 우울과 행복 및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대전대학교사회과학연구소, 35(1), 1-23.

18.

유계숙 (2007). 가족친화 기업정책의 시행 및이용 여부와 근로자의 직업만족도, 이직의도, 직무성과. 한국가족학회, 19(2), 35-59.

19.

이건해 (2016). 기혼 여성의 생활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서 마음챙김과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

이규만 (2005). 직장-가정 갈등이 구성원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경영학회지, 18(3), 1369-1389.

21.

이성희 (2017, 1, 11). [맘고리즘을 넘어서②]워킹맘은 직장인도 엄마도 아닌 ‘경계인’... 슈퍼맘은 허구다. 경향신문.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701112216005&code=940100에서 검색.

22.

이우경, 방희정 (2008). 사회, 정서발달: 성인기여성의 스트레스, 마음챙김, 자기-자애, 심리적 안녕감 및 심리 증상 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1(4), 127-146.

23.

이자명 (2015). 심리적 거리 조절에 따른 여성의 일-가족 다중역할갈등 상황에 대한 대안 생성 차이.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20(4), 659-674.

24.

이주일, 유 경 (2010). 직장-가정 갈등의 세대차이와 직장-가정 갈등이 행복에 미치는영향: 직장여성의 경우. 한국심리학회지:산업 및 조직, 23(3), 471-501.

25.

이주희, 이은희 (2000). 맞벌이 부부의 직장, 가정의 역할갈등과 우울의 관계에 대한대처방식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5(2), 287-303.

26.

이진숙, 최원석 (2011). 기혼 직장여성의 일-가족양립갈등 경로에 관한 연구. 아시아여성연구, 50(1), 169-198.

27.

임효창, 이봉세, 박경규 (2005). 기혼직장인의직장-가정갈등의 원인과 결과에 관한 연구. 한국경영학연구, 34(5), 1417-1443.

28.

전겸구, 최상진, 양병창 (2001). 통합적 한국판CED-S 개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6(1), 59-76.

29.

전명숙, 양난미 (2013). 학령기 아동을 키우는전일제 취업모들의 일-가족 갈등과 우울의 관계.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13(1), 282-282.

30.

전종희, 이우경, 이수정, 이원혜 (2007). 한국판마음챙김 주의 자각 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 예비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6(1), 201-212.

31.

전진아 (2014). 한국 성인의 성별 정신건강 수준 차이: 우울을 중심으로. 보건복지포럼, 210, 17-26.

32.

조용래, 채숙희, 최연숙 (2009). 우울과 불안증상 및 안녕감에서 경험 회피와 마음챙김주의 자각의 역할.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8(4), 1135-1154.

33.

조윤진 (2012). 기혼 취업 여성의 사회적 지지와일-가족 갈등 및 향상의 관계에서 문제-중심 대처와 우울정서의 매개효과.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4.

조인숙, 안숙희, 김숙영, 박영숙, 김혜원, 이선옥, 이숙희, 정재원 (2012). 기혼 직장 여성 우울: 사회역할 이론을 중심으로. 대한간호학회지, 42(4), 496-507.

35.

최보라 (2014). 영유아 자녀를 둔 여성근로자의 직장-가정전이가 우울과 양육태도에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25, 99-121.

36.

최성훈 (2014, 5, 29). “일과 육아 힘들어”…워킹맘, 죄책감 ‘신음’. 세계일보. http://www.segye.com/newsView/20140529001365에서검색.

37.

최정숙 (2011). 일-가족 역할갈등에 관한 근거이론 연구.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39(12), 214-247.

38.

통계청 (2015). 우울감 경험률. 보건복지부, 국민건강영양조사. 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4037에서2017년 9월 16일 자료 얻음.

39.

하오령, 권정혜 (2006). 기혼 직장여성의 정신건강과 역할 만족도: 역할 갈등, 완벽주의및 가족 지지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임상, 25(3), 675-696.

40.

한경훈, 박소정, 김세현 (2015). 기혼유자녀 직장여성의 수퍼우먼 신드롬 유형에 따른건강관련 삶의 질 양상 연구. 사회과학연구, 31(2), 25-43.

41.

홍세희 (2016). 검사개발과 타당화. 에스앤엠리서치 그룹.

42.

Adhikari, H. (2012). Anxiety and Depression: A Comparative Study between Working and Non-working Mothers. Global Journal of Human-Social Science Research, 12(12), 101-103.

43.

Anderson, J. C., & Gerbing, D. W. (1988).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practice: A review and recommended two-step approach. Psychological bulletin, 103(3), 411.

44.

Aneshensel, C. S., Frerichs, R. R., & Clark, V. A. (1981). Family roles and sex differences in depression.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22, 379-393.

45.

Baer, R. A., Smith, T. G., Hopkins, J., Krietemeyer, J., & Toney, L. (2006). Using self-report assessment methods to explore facets of mindfulness. Assesment, 13(1), 27-45.

46.

Brown, K. W., & Ryan, R. M. (2003). The benefits of being present: mindfulness and its role in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4(4), 822-848.

47.

Browne, M. W., & Cudeck, R. (1993). Alternative ways of assessing model fit. Sage focus editions, 154, 136.

48.

Carlson, D. S., Kacmar, K. M., & Williams, L. J. (2000). Construction and initial validation of multidimensional measure of work-family conflict.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56, 249-276.

49.

Edwards, J. R., & Rothbard, N. P. (2000). Mechanisms linking work and family:Clar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and family constructs.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25, 178-19 Mechanisms linking work and family: Clar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and family constructs9.

50.

Frone, M. R., Russell, M., & Barnes, G. M. (1996). Work-family conflict, gender, and health-related outcomes: A study of employed parents in two community samples.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1(1), 57-69.

51.

Fujimoto, T., Shinohara, S. K., & Oohira, T. (2014). Work-Family Conflict and Depression for Employed Husbands and Wives in Japan:Moderating Roles of Self and Spousal Role Involvement. Family Relationships and Familial Responses to Health Issues, Volume 8, 135-162.

52.

Germer, C., Siegel, R., & Fulton, P. (Eds.) (2005). Mindfulness and psychotherapy. New York:Guilford Press.

53.

Greenhaus, J., & Beutell, N. (1985). Sources of Conflict between Work and Family Roles. Th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0(1), 76-88.

54.

Hair, J., Anderson, R. E., Tatham, L., & Black, W. (1992). Multivariate data analysis with regarding. Multivariate data analysis with regarding, 6(1), 1-15.

55.

Hu, L. T., & Bentler, P. M. (1999). Cutoff criteria for fit indexes in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Conventional criteria versus new alternativ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 multidisciplinary journal, 6(1), 1-55.

56.

Huang, Y. H., Hammer, L. B., Neal, M. B., Perrin, N. A. (2004).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to-Family Conflict and Familyto-Work Conflict: A Longitudinal Study. Journal of Family and Economic Issues, 25(1), 79-100.

57.

Judge, T. A., Ilies, R., & Scott, B. A. (2006). Work-family conflict and emotions: Effects at work and at home. Personnel Psychology, 59(4), 779-814.

58.

Kabat-Zinn, J. (1990). Full catastrophe living: using the wisdom of your body and mind to face stress, pain, and illness. New York: Dell Publishing.

59.

Kabat-Zinn, J. (2003). Mindfulness-based interventions in context: Past, present, and future. Clinical Psychology: Science and Practice, 10(2), 144-156.

60.

Kline, R. B. (2011).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NY: Guilford Press.

61.

Landis, R. S., Beal, D. J., & Tesluk, P. E. (2000). A comparison of approaches to forming composite measure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s. Organizational Research Methods, 3, 186-207.

62.

Linehan, M. M. (1993). Cognitive behavioral treatment of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New York: Guilford Press.

63.

Nolen-Hoeksema, S. (2001). Gender Differences in Depression. Current Directions in Psychological Science 10(5), 173-176.

64.

Nolen-Hoeksema, S., & Morrow, J. (1991). A prospective study of depression and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after a natural disaster: the 1989 Loma Prieta earthquak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1(1), 105-121.

65.

O'Brien, K. M., Ganginis Del Pino, H, V., Yoo, S.-K, Cinamon, R. G., & Han, Y.-J. (2014). Work, family, support, and depression:Employeed mothers in Israel,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61(3), 461-472.

66.

Radloff, L. S. (1977). The CES-D scale: A self 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Applied Psychological Measurement, 1(3), 385-401.

67.

Shrout, P. E., & Bolger, N. (2002). Mediation in experimental and non experimental studies:New procedures and recommendations. Psychological Methods, 7(4), 422-445.

68.

Teasdale, J. D., Segal, Z. V., Williams, J. M. G., Ridgeway, V. A., Soulsby, J. M., & Lau, M. A. (2000). Prevention of relapse/recurrence in major depression by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68(4), 615.

69.

Whisman, M. A., Uebelacker, L. A., & Weinstock, L. M. (2004). Psychopathology and Marital Satisfaction: The Importance of Evaluating Both Partner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72(5), 830-838.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