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access
메뉴This study examined the actor effects and the partner effects of self-differentiation on marital conflict,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constructive and dysfucntional communication among these relationships. To analyze the data from 127 married couples, path analyses applying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ctor effects of self-differentiation on marital conflict were negatively significant for both husband and wife. Second, the partner effect of husband’s self-differentiation on wife’s perceived marital conflict was negatively significant, while the partner effect of wife’s self-differentiation on husband’s perceived marital conflict was not significant. Third, the actor effects of self-differentiation on marital conflict were mediated by one’s own dysfucntional communication, but not by one’s own constructive communication for both husband and wife. Fourth, there was mixed effect and the effect of husband’s self-differentiation on husband’s perceived marital conflict was mediated by wife’s constructive communication. Fifth, the partner effect of husband’s self-differentiation on wife’s perceived marital conflict was mediated by husband’s dysfunctional communication, wife’s constructive communication and wife’s dysfucntional communi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nd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included.
공성숙 (2004). Gottman의 이론을 바탕으로 한 부부관계증진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연구. 가족과 가족치료, 12(2), 141-171.
권정란, 이인수 (2006). 원가족의 정서적 건강성과 자기분화에 따른 부부적응.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1(1), 35-56.
김명선 (2018). 부부갈등 해소를 위한 통합적 부부미술치료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연구: 자기분화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미정, 조영주 (2017). 미혼 커플의 성인애착이 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역기능적 의사소통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22(2), 263-288.
김정숙 (2009). 부부의 자아분화가 결혼만족도에미치는 영향: 갈등대처행동, 의사소통 유형의 매개효과와 배우자지지의 조절효과. 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향순, 김순덕, 구명이 (2014). 기혼여성의 자아분화가 결혼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8(3), 159-176.
나남숙, 이인수 (2017). 자기분화, 결혼만족도, 헌신간의 관계: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적용. 가족과 가족치료, 25(1), 115-136.
남궁임 (2009). 자기분화 수준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류석진, 조현주 (2015). 부부갈등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0 (1), 213-233.
모의회 (2002). 자기존중감과 의사소통 훈련을 통한 부부적응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개발. 한국가족치료학회지, 10(2), 45-73.
박영화, 고재홍 (2005). 부부의 자존감, 의사소통 방식, 및 갈등대처행동과 결혼만족도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9(1), 65-83.
박지은 (2011). 부부의 자기분화수준에 따른 부부갈등대처방식에 관한 배우자 의사소통의 영향력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신현정 (2017). 부부의 자기분화와 결혼만족도 간 관계에서 정서표현 양가성의 매개효과.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양여진 (2015). 중년기 기혼 남녀의 원가족 건강성과 자기분화가 부부갈등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어항숙 (2016). 부부의 원가족건강성, 자기분화, 의사소통, 그리고 자녀의 정서지능에 대한 연속적 인과관계 분석. 인문사회 21, 7(3), 415-436.
이미숙 (2010). 국제 결혼한 남편의 자기분화가 부부갈등에 미치는 영향. 상명대학교 복지상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정미 (2002). 부모간의 갈등과 아동·청소년의 자아존중감 및 부적응. 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정은, 이영호 (2000). 개인특성, 스트레스 및 부부간 의사소통과 결혼만족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9(3), 531-548.
이종원, 옥선화 (2015). 결혼초기 기혼남녀의 부부갈등 관련변인 연구: Bowen과 Satir 모델의 이론적 연계성 탐색. 한국가족관계학회지, 20(2), 3-25.
이주연, 정혜정 (2009). 노년기 부부의 자기분화와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29(4), 1629-1644.
이혜경, 이은희 (2011). 부모의 자아분화 수준과 자녀의 문제행동과의 관계에서 갈등대처행동과 부부갈등의 매개역할. 한국청소년연구, 22(3), 43-68.
정현숙 (2009). 부부의 자아분화 수준과 의사소통 및 성적친밀감 연구. 상명대학교 복지상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정혜정, 조은경 (2007). 한국형 자기분화 척도 개발과 타당성에 관한 연구. 가족과 가족치료, 15(1), 19-46.
조영주 (2017). 미혼 커플의 비난 및 철회 의사소통에서 지각의 정확성과 편향.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22(3), 417-443.
최규련 (1994). 가족체계 유형과 부부간 갈등 및 대처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2(2), 140-152.
최정란 (2014). 사티어 경험적 가족치료모델 의사소통훈련 결혼준비교육이 참여자들에게 미치는 영향: 자존감과 친밀감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치료학회, 22(3), 229-251.
한미향 (1999). 부부의 자아분화와 부부갈등 및 갈등대처방안과의 관계.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한영숙 (2007). 부부의 자아분화 수준에 따른 부부갈등과 결혼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16(2), 259-272.
황민혜, 고재홍 (2010). 부부간 결혼가치관 차이, 오해 및 부부갈등.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5(4), 779-800.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
Caughlin, J. P., & Scott, A. M. (2010). Toward a communication theory of the demand/withdraw pattern of interaction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 S. W. Smith & S. R. Wilson (Eds.), New directions in interpersonal communication research (pp. 180-200). Los Angeles, CA: Sage.
Christensen, A., & Heavey, C. L. (1990). Gender and social structure in the demand/withdraw pattern of marital conflic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9(1), 73-81.
Christensen, A., & Sullaway, M. (1984). Communication patterns questionnaire. Unpublished manuscript,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Coleman, J. C. (1984). Intimate relationships, marriage and family. Indianapolis: The Bos Merril.
Cumming, G. (2009). Inference by eyes reading the overlap of independent confidence intervals. Statistics in Medicine, 28(2), 205-220.
Glick, I. D., & Kessler, D. R. (1980). Marital and family therapy. New York: Grune & Stratton.
Gottman, J. M., & Levenson, R. W. (1988). The social psychophysiology of marriage. In P. Noller & M. A. Fitzpatrick (Eds.), Perspectives on marital interaction (pp. 182-200). Clevedon, UK: Multilingual Mastters.
Gottman, J. M., & Levenson, R. W. (2000). The timing of divorce: Predicting when a couple will divorce over 14-year period.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2(3), 737-745.
Gottman, J. M., & Silver, N. (2002). 행복한 부부 이혼하는 부부: 행복한 결혼생활을 위한 7가지 원칙. (임주현 역). 서울: 문학사상. (원전은 1999에 출판)
Kenny, D. A., Kashy. D. A., & Cook, W. L. (2006). Dyadic Data Analysis. New York: Guilford Press.
Kerr, M. E., & Bowen, M. (2005). 보웬의 가족치료 이론. (남순현, 전영주, 황영훈 역). 서울: 학지사. (원전은 1988에 출판).
Miller, B. R., Anderson, S., & Keala, D. K. (2004). Is Bowen theory valid? A review of basic research. Journal of Marital and Family Therapy, 30(4), 453-467.
Nichols, M. P., & Schwartz, R. C. (2001). The essentials of family therapy. Boston: Allyn and Bacon.
Olsen, D. H., Fournier, D., & Druckman, J. (1982). Enriching relationship issues, communication, and happiness. Minneapolis: University of Minnesota.
Peleg, O. (2008). The relation between differentiation of self and marital satisfaction: What can be learned from married people over the course of life? The American Journal of Family Therapy, 36(5), 388-401.
Pietromonaco, P. R., Greenwood, D., & Barrett, L. F. (2004). Conflict in adult close relationships: An attachment perspective. In. W. S. Rholes and J. A. Simpson (Eds.) Adult attachment: Theory, research, and clinical implications (pp. 267-299). New York: Guilford Press.
Satir, V. (1999). 아름다운 가족. (나경범 역). 서울: 창조문화. (원전은 1988년에 출판)
Skowron, E. A., & Friedlander, M. L. (1998). The Differentiation of Self Inventory: Development and initial validation.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5(3), 235.
Thomas, G., & Fletcher, G. J. O. (2003). Mind-reading accuracy in intimate relationships: Assessing the roles of the relationship, the target, and the judg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5(6), 1079-1094.
West, S. G., Finch, J. F., & Curran, P. J. (1995).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nonnormal variables: Problems and remedies. In R. H. Hoyle (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Concepts, issues, and applications (pp. 56-75). Newbury Park, CA: S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