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권호 목록

자기분화가 부부갈등에 미치는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에서 건설적 및 역기능적 의사소통의 매개효과
조영주(부천여자중학교) ; 김아영(한경대학교) pp.567-588 https://doi.org/10.18205/kpa.2019.23.4.00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부부를 대상으로 자기분화가 자신과 배우자가 지각한 부부갈등에 영향을 미치는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가 있을 것이며, 이들 관계에서 건설적 및 역기능적 의사소통의 매개효과가 있을 것으로 가정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127쌍의 부부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고, 자기-상대방 의존모형을 활용한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편과 아내 둘 다 자기분화가 높을수록 부부갈등을 낮게 지각하였다. 둘째, 남편의 자기분화가 높을수록 아내가 지각한 부부갈등은 낮았으나, 아내의 자기분화는 남편이 지각한 부부갈등과 유의한 관련이 없었다. 셋째, 남편과 아내의 자기분화가 자신이 지각한 부부갈등에 미치는 자기효과에서 자신의 역기능적 의사소통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였고, 건설적 의사소통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넷째, 남편의 자기분화가 아내의 건설적 의사소통을 매개로 남편의 부부갈등에 영향을 미치는 혼합효과가 있었다. 다섯째, 남편의 자기분화가 아내가 지각한 부부갈등에 미치는 영향은 남편의 역기능적 의사소통, 아내의 건설적 의사소통 및 아내의 역기능적 의사소통이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논의하였고, 연구의 학문적, 임상적 의의를 포함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actor effects and the partner effects of self-differentiation on marital conflict,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constructive and dysfucntional communication among these relationships. To analyze the data from 127 married couples, path analyses applying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ctor effects of self-differentiation on marital conflict were negatively significant for both husband and wife. Second, the partner effect of husband’s self-differentiation on wife’s perceived marital conflict was negatively significant, while the partner effect of wife’s self-differentiation on husband’s perceived marital conflict was not significant. Third, the actor effects of self-differentiation on marital conflict were mediated by one’s own dysfucntional communication, but not by one’s own constructive communication for both husband and wife. Fourth, there was mixed effect and the effect of husband’s self-differentiation on husband’s perceived marital conflict was mediated by wife’s constructive communication. Fifth, the partner effect of husband’s self-differentiation on wife’s perceived marital conflict was mediated by husband’s dysfunctional communication, wife’s constructive communication and wife’s dysfucntional communi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nd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included.

한국인의 언어기억과 공간기억의 성차: 메타분석
김홍근(대구대학교) ; 김용숙(대구한의대학교) pp.589-607 https://doi.org/10.18205/kpa.2019.23.4.002
초록보기
초록

서구인 대상의 기억 연구에서 언어기억은 여성이 우세하고, 공간기억은 남성이 우세하다는 보고가 있었다. 그러나 인지기능의 성차는 사회문화적 환경에 따라 다를 수 있으므로 이러한 기억기능 성차가 한국인에 어느 정도로 일반화되는지는 분명치 않다. 한국인 대상으로 기억기능 성차를 분석한 논문들도 점차 누적되어 왔지만 전체적 양상이 어떠한지는 쉽게 파악하기 어렵다. 이에 따른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을 대상으로 언어기억과 공간기억의 성차를 분석한 연구들을 메타분석적으로 살펴보는 것이었다. 총 12편의 연구가 메타분석에 포함되었으며, 참여한 피검자의 총수는 남성이 1876명, 여성이 2936명이었다. 주요 결과는 다음 세 가지였다. 첫째, 언어기억을 분석한 결과는 여성이 우세하다는 가설을 뚜렷하게 긍정하였다. 둘째, 공간기억을 분석한 결과는 남성이 우세하다는 가설을 부분적으로 긍정하였다. 공간 자극의 학습 시간이 짧은 경우는 남성이 우세했지만, 긴 경우는 성차가 없었다. 셋째, 성인과 노인의 자료에서는 남성의 상대적 고학력이 남성의 공간기억 우세를 강화하고, 여성의 언어기억 우세를 약화하는 경향이 있었다. 서구인뿐 아니라 한국인에서도 언어기억의 여성 우세와 공간기억의 남성 우세가 있는 점에서 이러한 성차는 상당히 횡문화적이다. 이 기억기능 성차의 가능한 원인으로는 좌우 뇌반구 발달의 남녀 차이, 사회적 학습의 남녀 차이 및 두 요인들 간의 상호작용이 추정된다.

Abstract

Studies involving Westerners as subjects have indicated that women are superior to men in verbal memory capacity, whereas men are superior to women in spatial memory capacity. Given that sex differences in cognitive abilities are sensitive to various sociocultural variables, Korean men and women may or may not show similar sex differences. While some domestic studies have addressed sex differences in memory capacity using Koreans as subjects, it is unknown to what extent sex differences found in these studies are collectively similar to those found in Western studies. To clarify this issue, the present study performed a meta-analysis of 12 domestic studies that have reported relevant data. These studies collectively involved 1876 men and 2936 women. Major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meta-analysis provided clear evidence that Korean women are superior to Korean men in verbal memory capacity. Second, the meta-analysis provided partial evidence that Korean men are superior to Korean women in spatial memory capacity. Korean men were superior to Korean women in spatial memory tasks that involved relatively short, but not long, learning time. Lastly, in studies involving adult or elderly samples, men had significantly greater years of education than women. This factor tended to reduce women’s advantage for verbal memory performance and increase mens’ advantage for spatial memory performance. Given that both Western and Korean data indicate female superiority in verbal memory capacity and male superiority in spatial memory capacity, such sex differences are relatively cross-cultural. The causes of these sex differences may include gender differences in hemispheric development and those in social learning, and interactions between the two factors.

남편 대상 산후우울 개입 상담프로그램 구성 및 개발
김용훈(한신대학교) ; 홍수종(울산대학교) ; 이경숙(한신대학교) pp.609-632 https://doi.org/10.18205/kpa.2019.23.4.00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산후우울성향 아내를 둔 남편들의 심리사회적 경험과 산후우울 회복을 위한 지원 요구 결과에 기초하여 남편을 대상으로 한 산후우울 개입 상담프로그램을 구성, 개발한 후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연구대상자들은 비계획적인 임신과 출산에 대한 스트레스와 산후우울에 대한 인식의 부재로 부부갈등을 경험하고 있었으며, 아내의 산후우울 회복을 위해 사회경제적 도움과 양육코칭, 심리교육 및 부부상담, 동일 상황에 있는 남편들과 소통의 장을 원했다. 둘째, 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산모의 산후우울, 결혼만족도, 남편의 우울, 남편의 효능감, 직무요구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특히 실험집단의 산모는 산후우울이 감소된 반면 통제집단은 증가 되는 경향을 보였다. 셋째, 사전-사후-추후 비교 결과에서, 실험집단의 경우 산모의 산후우울, 남편의 우울, 불안, 부모로서의 좌절감은 감소되었고, 남편의 부모로서의 효능감은 상승하였다. 통제집단의 경우 남편의 우울은 상승되었고, 산모의 결혼만족은 감소하였다. 넷째, 프로그램 효과성에 관한 질적 면접 결과에서 효과성 주제는 ‘산후우울에 대한 이해의 증진’, ‘배우자와의 소통 증진’, ‘집단원간 공감과 정화’, ‘반성적 사고의 증진’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그동안 구조화된 체계적 상담프로그램이 매우 미비했던 산후 우울 개입 상담영역에서 국내 최초로 남편을 대상으로 한 근거기반적인 단기 산후우울 개입 상담프로그램을 구성하고 개발하였는데 의의가 있다.

Abstract

This study composed and developed a counseling program for a husband to intervene in* the postpartum depression of a wife based on the psychosocial experience of a husband, who had a wife suffering the postpartum depression, and the support demands for overcoming the postpartum depression. Moreover, this study evaluated the effects of the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study subjects were experiencing marital conflicts caused by the stress due to unplanned pregnancy and childbirth and the lack of awareness about the postpartum depression. Therefore, subjects wanted to have socioeconomic help, parenting coaching, psychoeducation, marriage counseling, and a method to communicate with other husbands in the same situation. Furthermore, after treatments application, the postpartum depression of wives, marital satisfaction, husbands’ depression, husbands’ efficacy, and job demand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reatmen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dditionally, the postpartum depression of wives decreased in the treatment group, while it increased in the control group. Thirdly, when the pre-treatment, post-treatment, and follow-up results were compared, the postpartum depression of wives, husbands’ depression, anxiety, and the frustration as parents decreased and husbands’ efficacy as fathers increased in the treatment group. On the other hand, in the control group, husband’s depression increased, while the marital satisfaction of wives decreased. Lastly, the results of the quality interview, which was a topic related to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showed that effective topics were ‘understanding the postpartum depression better’, ‘enhanced communication with a spouse’, ‘empathy and purification with group members’, and ‘promoting reflective thinking’. The importance of this study was to compose and develop a short-term counseling program to intervene in the postpartum depression based on facts and knowledge for husbands, because it is the first program in this category in South Korea and there were not enough structured counseling programs in the postpartum depression intervention counseling field.

대학생의 이성관계 완벽주의와 이성관계 만족도 간 관계에서 자기노출의 매개효과
김나영() ; 김향숙(서강대학교) pp.633-651 https://doi.org/10.18205/kpa.2019.23.4.004
초록보기
초록

초기 성인기에 접어든 대학생에게 이성교제는 해당 시기의 발달적 과업과 맞닿아 있어 매우 중요하며, 따라서 이성관계에 대한 연구는 다른 사회적 관계를 이해하는 데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이성관계의 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심리적 요인 중 다차원적 완벽주의의 역할에 주목하였다. 이를 위해 이성교제 중이거나 과거에 이성교제의 경험이 있는 228명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완벽주의와 이성관계 만족도 간 관계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그 과정에 자기노출이 미치는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상대방이 자신에게 과도한 기대를 가지고 있을 것이라는 신념은 이성관계 만족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이 과정은 자기노출에 의해 부분매개 되었다. 또한 이러한 매개효과는 6개월 이상 진전된 커플들에게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반면 자기지향적 이성관계 완벽주의와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는 자기노출의 매개효과는 관찰되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해 상대방으로부터 완벽주의적 특성을 강요받는다고 느끼는 사람들은, 그러한 부담이 실재하는지의 유무와 관계없이 관계 내에서 불만족감을 느낀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부담감으로 인해 자기노출을 꺼려하고 이는 곧 관계의 질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가져옴을 알 수 있었다. 즉 관계를 긍정적으로 이끌고자 하는 의도가 오히려 관계를 해칠 수 있다는 역설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influences of self-oriented romantic perfectionism and partner-prescribed romantic perfectionism on relationship satisfaction of college students. In particular, the mediating effect of self-disclosur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omantic perfectionism and satisfaction in romantic relationship was examined. For this purpose, questionnaires measuring self-oriented and partner-prescribed romantic perfectionism, self-disclosure tendency,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were administered to 228 undergraduate students who are or have ever been in romantic relationship.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self-disclosure partia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ner-prescribed romantic perfectionism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Also, this mediating effect was significant for participants who has been in the romantic relationship more than six months. On the other hand, self-disclosure did not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oriented romantic perfectionism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These results showed that concerns about partner’s perfectionistic expectation can leads to dissatisfaction in romantic relationship. In addition, psychological burden caused by partner-prescribed perfectionism can prevent the individual from disclose him- or herself, which impedes positive romantic relationship. Clinical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as well as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were discussed.

여대생을 대상으로 한 마음챙김 명상 프로그램의 효과 메타분석 연구
손강숙(중앙승가대학교) ; 정소미(부산외국어대학교 교직과 교수) pp.653-669 https://doi.org/10.18205/kpa.2019.23.4.00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여대생을 대상으로 실시된 마음챙김 명상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하여 메타분석을 통해 분석하고자 함에 있다. 이를 위해 국내에서 수행된 관련 연구 15편을 선정하고, 각 연구에 포함된 여러 변인의 효과크기를 산출하였다. 또한, 여대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마음챙김 명상 프로그램의 효과의 전체 효과크기, 주요 변인에 따른 효과크기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대생을 대상으로 한 마음챙김 명상 프로그램의 전체 효과크기는 -0.2385로 나타났다. 둘째, 여대생을 대상으로 한 마음챙김 명상 프로그램과 관련된 변인을 살펴보기 위하여 주요 변수를 중심으로 효과크기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출판유형에 따른 효과크기는 학위논문 발표 후 학술지 게재된 경우, 학위논문, 학술지 게재 순으로 나타났다. 프로그램의 대상에 따른 효과크기는 신체증상군, 심리증상군, 일반 여대생 순으로 나타났다. 프로그램의 효과 측정방법에 따른 효과크기는 신체변인을 심리 측정도구로 측정했을 때, 심리변인을 실험으로 측정했을 때 순으로 나타났다. 프로그램의 인원에 따른 효과크기는 10명 이하, 11명 이상 20명 이하 순으로 나타났다. 프로그램의 회기 수에 따른 효과크기는 8회기, 9회기 이상 순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에 대해서 논의하고 본 연구의 결과가 여대생을 대상으로 한 마음챙김 명상 프로그램의 구성과 개발에 시사하는 바와 향후 연구에 대한 제안점에 대해서 기술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mindfulness program of female college students, using meta–analysis. To do this, fifteen related studies conducted in Korea were selected and the effect sizes of various variables included in each study were calculated. In addition, the total effect size of the mindfulness program effect of female college students, and the effect size of major variables were deriv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otal effect size of the mindfulness program was –0.2385. Second, to examine the variables related to the mindfulness program, we analyzed the effect size based on major variables. As a result, the effect size according to the type of publication was in the order of publication of journal after publication of the dissertation, dissertation, and journal publication. The effect size according to the program participants was in the order of physical symptom group, psychological symptom group, and general college students. The effect size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method of effectiveness was in the order of measurement of physical variables and measurement of psychological variables. The effect size according to the program participants was in the order of 10 or less, 11 or more, and 20 or less. The effect size according to the number of sessions was in the order of 8 sessions and 9 or more. Finall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cations for constructing and developing a mindfulness program for female college students were derived and points for future research were proposed.

여성이 저지른 유괴 범죄의 특성에 관한 연구
박지선(숙명여자대학) pp.671-684 https://doi.org/10.18205/kpa.2019.23.4.006
초록보기
초록

유괴 범죄는 피해자와 그 가족 뿐만 아니라 지역 사회, 더 나아가서는 국가 전체에 심각한 충격을 안겨주는 범죄임에도 불구하고, 유괴 범죄의 특성 및 가해자에 관한 연구는 매우 드문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여성이 저지른 유괴 범죄의 특성에 대해 살펴보고, 남성이 저지른 유괴 범죄와 피해자 특성 및 범행 특성에 있어 어떠한 차이점이 존재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에서 1997년에서 2009년 사이 발생한 190건의 유괴 범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여성이 저지른 유괴 범죄의 경우 상당수가 이혼한 상태에서 미취학아동인 피해자를 대상으로 저지른 경우가 더 많았으며, 피해자의 성별이 남아인 경우가 더 많았다. 반면, 유괴 범죄를 저지른 남성의 경우 미혼에 전과가 있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더 높았으며, 대부분 여아를 대상으로 범행을 저질렀다. 범행 목적에 있어 여성이 저지른 유괴 범죄는 상당수가 피해 아동의 친모가 저지른 것으로, 양육을 목적으로 한 경우가 많았다. 한편 유괴를 저지른 남성들은 대부분 모르는 사람인 피해자를 대상으로 우발적으로 저지른 반면, 여성들은 계획적으로 저지른 경우가 더 많았다. 끝으로, 본 연구의 함의와 한계점, 후속 연구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Even though child abduction invokes extreme fear of the victim and their family as well as the fear of their community and nation, there is only a paucity of research on child abduction and perpetrators. The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child abduction committed by females, and compare them with those committed by male perpetrators. We compared 55 child abduction cases committed by female perpetrators with 135 child abduction cases committed by male perpetrators between 1997 and 2009. Compared to male perpetrators who committed child abduction, a significantly greater number of female perpetrators who committed child abduction were divorced at the time of offense, abducted preschoolers, and abducted male children. By contrast, male perpetrators who committed child abduction were more likely to be single, to have criminal record, and to abduct female children than female perpetrators. A majority of female perpetrators abducted their own child, mainly for the purpose of bringing up. By contrast, a significantly greater number of male perpetrators targeted victims who were unknown to them, and child abduction committed by male perpetrators was more likely to be unplanned.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and suggestions for subsequent studies were made.

취업모의 다중역할수행 대처전략에 따른 다중역할 경험 및 태도수준 비교 연구
우영지(동양미래대학교) ; 이기학(연세대학교) pp.685-713 https://doi.org/10.18205/kpa.2019.23.4.00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18세 미만의 자녀를 둔 대졸 이상의 취업모를 대상으로 다중역할 수행을 위한 대처전략의 군집을 도출하고, 이 군집들 간 맥락적 변인, 개인특성, 다중역할 수행 경험 및 만족도 및 직무소진에서의 차이가 나타나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다중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각기 다른 대처 전략을 쓰는 취업모들의 다양한 상황과 어려움들을 발견함으로써 각 군집에 따른 차별적인 개입의 방법을 모색, 제언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다중역할 대처전략의 6가지 군집이 도출되었는데, 각각 ‘탈 역할 전략집단’, ‘가족 내 대처전략집단’, ‘낮은 자기보상 전략집단’, ‘낮은 인지적 재구조화 전략집단’, ‘적극적 대처전략집단’, ‘소극적 대처전략집단’으로 명명하였다. 각 집단별로 가족관련 맥락적 변인에서는 모의 연령 및 자녀의 연령에서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고, 일 관련 맥락적 변인에서는 직업인 역할 선택의 자발성과 경제활동의 필요성에서 차이가 발견되었다. 또한 개인특성인 지각된 통제감 수준에서 유의미한 집단차이가 나타났다. 다중역할을 수행할 때 개인이 지각하는 긍정적 효과에서는 군집별로 차이가 없었으나, 부정적 효과에서는 하위 요소 중 가족-일 이점을 제외한 4가지 하위요인에서 군집별 차이가 나타났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각 집단에 대한 이해를 더욱 풍부히 하였으며, 각 집단에게 더욱 적절한 차별적 개입의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Abstract

The present study explored multiple-role coping strategies(MCS) of working mothers with child(ren) under age 18, and examined group difference in situational context in work and family domains, personal characteristics, multiple-role experience and adjustment. A total of 271 working mothers participated in the study. Six-clusters were identified usiong cluster analysis based on participants’ scores on the MCS factors; “Role-detached Strategy Group(group 1), Coping within Family Group(group 2), Low Self-rewarding Group (group 3), Low Cognitive Restructuring Group(group 4), Active Coping Group(group 5) and Passive Coping Group(group 6).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groups were found on observed variables.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understanding of various patterns in MCS and suggests effective interventions for each group in multiple role accomplishment.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se findings and recommendable topics for future study are discussed.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