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권호 목록

임산부의 원가족 어머니애착과 태아애착 간의 관계에서 불안정 성인애착과 부부관계 질의 매개효과
강수경(가천대학교) ; 김해미(세살마을연구원) ; 정미라(가천대학교) pp.1-23 https://doi.org/10.18205/kpa.2018.23.1.00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임산부의 원가족 어머니애착, 불안정 성인애착, 부부관계 질, 태아애착의 구조적 관계와 원가족 어머니애착과 태아애착의 관계에서 불안정 성인애착과 부부관계의 질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서울·경기지역의 임산부 62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자료분석을 위해 상관분석,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원가족 어머니애착은 태아애착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원가족 어머니애착이 부부관계 질을 통해 태아애착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경로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원가족 어머니애착이 불안정 성인애착과 부부관계 질을 통해 태아애착에 영향을 미치는 이중매개경로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임산부의 태아애착을 높일 수 있는 방안과 원부모와의 애착형성 및 배우자의 지지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 among pregnant women’s attachment to mother, insecure adult attachment, marital quality, maternal-fetal attachment, and mediating effect of insecure adult attachment and marital quality. A self-reported survey was conducted on 625 pregnant women who participated in prenatal education program in Seoul and Gyeonggi,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ttachment to mother influenced directly maternal-fetal attachment. and Second, attachment to mother affected indirectly maternal-fetal attachment through marital quality. Third, attachment to mother affected progressively maternal-fetal attachment through insecure adult attachment and marital qualit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trategies to improve maternal-fetal attachment and support for parent and spouse were discussed.

예일음식중독척도 2.0(Yale Food Addiction Scale 2.0) 국내 타당화 연구
신성만(한동대학교) ; 윤지혜(한동대학교) ; 조요한(한동대학교) ; 고은정(한동대학교) ; 박명준(한동대학교) pp.25-49 https://doi.org/10.18205/kpa.2018.23.1.002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Gearhardt, Corbin과 Brownell(2016)이 음식중독의 측정을 위해 개발한 Yale Food Addiction Scale 2.0(YFAS 2.0)의 번안 및 타당화를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하여 인터넷 카페, 연구자 개인 SNS, 대구 소재 대학 1곳, 경북 소재 대학 1곳에서 성인 435명을 대상으로 연구대상자를 모집하였다. 예일음식중독척도 2.0의 문항별 진단을 위한 임계치를 ROC 곡선을 사용하여 국내 실정에 맞게 조정한 뒤, 요인구조의 적절성을 확보하기 위한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타당도와 신뢰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총 35문항 중 16개의 문항에서 임계치가 변경되었다. 둘째, 원척도와 마찬가지로 11개의 증상에 대한 단일 요인구조가 추출되었으며 내적 일치도는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단일 요인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예일음식중독척도 2.0은 폭식행동 척도(Binge Eating Scale; BES), 일반적 음식갈망-특질 척도(General-Food Cravings Questionnaire-Trait; G-FCQ-T)와 정적 상관을 보였다. 그러나 선행연구와는 달리 Three Factor Eating Questionnaire(TFEQ)의 하위요인 중 식이제한 및 BMI와는 부적 상관을 보였다. 종합적으로, 예일음식중독척도 2.0의 공인 타당도, 교차 타당도, 수렴 타당도는 유의미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validate the Yale Food Addiction Scale 2.0 (YFAS 2.0) developed by Gearhardt, Corbin and Brownell (2016) for the measurement of food addiction. For this purpose, 435 adults were recruited from internet cafes, researchers' personal SNS, one university in Daegu and one university in Kyungbuk. The ROC curve was used to adjust the thresholds for each item of the Yale food addiction scale 2.0 to fit the domestic situation.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re conducted to ensure the appropriateness of the factor structure, and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respectively. As a result, first of all, the threshold was changed in 16 of the 35 items. Second, as with the original scale, the single factor structure for 11 symptoms was extracted and the internal consistency was found to be appropriate. As a result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it was shown that they had better fit in single factor. Yale food addiction scale 2.0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Binge Eating Scale (BES) and the general food craving-trait scale (G-FCQ-T). However, unlike previous studies, sub-factors of Three Factor Eating Questionnaire (TFEQ)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dietary restriction and BMI. Overall, the validated validity, cross validity, and convergent validity of the Yale Food Addiction Scale 2.0 were significant.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한국 아동의 인지기능 성차: 언어능력, 공간능력, 일반지식, 처리속도의 비교
김홍근(대구대학교) pp.51-67 https://doi.org/10.18205/kpa.2018.23.1.00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아동에서 인지기능 성차가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7-15세의 한국 아동 557명(남아 314명, 여아 243명)에게 언어능력, 공간능력, 일반지식, 처리속도의 과제를 실시하였다. 선행 연구에 기초하여 여아는 남아보다 언어능력과 처리속도가 우세하며, 남아는 여아보다 공간능력과 일반지식이 우세할 것으로 가설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 세 가지였다. 첫째, 여아가 단어유창성과 기호쓰기 과제에서 남아보다 높은 수행을 보여서 언어능력과 처리속도가 우세하다는 가설을 지지하였다. 둘째, 남아가 빠진곳찾기, 토막짜기, 상식 과제에서 여아보다 높은 수행을 보여서 공간능력과 일반지식이 우세하다는 가설을 지지하였다. 셋째, 단어유창성과 토막짜기 과제에서는 성차와 연령의 상호작용이 있었다. 아동의 나이가 많아짐에 따라 단어유창성의 여아 우세는 증가하는 경향, 토막짜기의 남아 우세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 결과의 주요 의의는 성인에서 보고된 인지기능 성차가 초등학교 아동 시기부터 존재함을 입증한 점이다. 또한, 서구 아동에서 보고된 성차와 유사한 점에서 이러한 인지기능 성차가 상당히 문화 보편적인 현상임을 입증한다.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gender differences among Korean children in cognitive abilities. To this end, 557 Korean children (314 boys and 243 girls) aged 7 to 15 years were given cognitive tests measuring verbal ability, spatial ability, general knowledge, and processing speed. Based on previous studies, it was expected that girls would outperform boys on tests measuring verbal ability and processing speed, whereas boys would outperform girls on tests measuring spatial ability and general knowledge. Major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girls scored higher on tasks of Verbal Fluency and Coding, consistent with the hypothesis that girls are superior to boys in verbal ability and processing speed. Second, boys scored higher on tasks of Picture Completion, Block Design, and Information, consistent with the hypothesis that boys are superior to girls in spatial ability and general knowledge. Third, a Gender by Age interaction was found in tasks of Verbal Fluency and Block Design. With increasing age, gender differences in Verbal fluency increased, but those in Block Design decreased. In conclusion, this study provides evidence that gender differences in verbal ability, spatial ability, general knowledge, and processing speed are established in relatively early childhood. Given that similar gender differences were also reported for Western children, these gender differences are to a large extent cross-cultural.

소셜미디어 이용행동과 여성의 신체상의 관계: 자기대상화 이론을 중심으로
전소정(고려대학교) ; 성용준(고려대학교) ; 양은주(고려대학교) pp.69-89 https://doi.org/10.18205/kpa.2018.23.1.004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여성의 소셜미디어 이용과 부정적 신체상의 관계를 자기대상화 이론에 기초하여검증하였다. 자기 대상화 이론에서는 사회문화적 맥락으로 인해 여성들이 자신의 신체가 대상화되는 경험을 하게 되고 이로 인해 부정적인 신체상을 가지게 된다고 보았다. 구체적으로 대상화 경험으로써의 소셜미디어 이용 행동을 브라우징과 업로딩 행동으로 나누어, 각 행동이 신체 감시와 신체 수치심을 거쳐 섭식 절제 행동을 예측하는 구조적 모형을 설정하고 20대와 30대 여성을 대상으로 적합도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대상자는 인스타그램을 이용하는 20대~30대 여성 219명이었다. 신체감시, 신체 수치심, 섭식절제는 설문을 통해 측정하였으며 인스타그램 업로딩 행동은 연구 대상자의 계정에 업로드된 본인이 등장하는 사진의 수로, 브라우징 행동은 연구 대상자가 팔로잉하는 여자 아이돌 가수 계정, 여성 모델, 패션, 뷰티 관련 쇼핑몰 등의 계정의 수로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업로딩 행동과 브라우징 행동이 서로 다른 경로를 통해 자기 대상화 관련 변인에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업로딩 행동은 신체 감시와신체 수치심을 완전 매개하여 절제된 섭식 행동을 예측하였고, 브라우징 행동은 신체 수치심을 매개하여절제된 섭식 행동을 예측 하였다. 즉, 업로딩 행동이 높을수록 신체 감시와 신체 수치심이 촉진되고, 절제된 섭식 행동이 높아졌다. 또한 브라우징 행동은 직접적으로 신체 수치심에 영향을 미쳐 절제된 섭식 행동을 예측하였다. 끝으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시사점 및 추후 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media use and negative body image with a basis on the self-objectification theory. In the self-objectification theory, women experience the objectification of their body in the socio-cultural context, leading to developing negative body image. This study considered the social media use as the objectification experience. We specified the behaviors of social media use as browsing and uploading behaviors, and tested a mediation model in which browsing and uploading predicted eating behaviors via body surveillance and body shame, respectively. Participants were 219 women in the 20s and 30s who were using Instagram. The body image-related Instagram uploading behaviors were measured by the number of selfie, and browsing behaviors measured by the number of body image-related accounts followed by the participants, such as accounts of female idol singer, female model, or fashion, beauty shopping mall. The results showed that uploading and browsing behaviors predicted restricted eating through different routes. Uploading behaviors positively predicted restricted eating via a serial mediation of body surveillance and body shame. Browsing behaviors directly predicted body shame, which, in turn, predicted restricted eating. Last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어머니의 우울증상과 양육효능감이 유아의 정서적 공감에 미치는 영향: 취업여부에 따른 다집단 분석석
이희연(가천대학교 세살마을연구원) ; 정미라(가천대학교) pp.91-109 https://doi.org/10.18205/kpa.2018.23.1.00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의 우울증상이 유아의 정서적 공감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양육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이러한 구조적 관계가 취업여부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경기도에 거주하면서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 432명이다. 연구결과는 첫째, 어머니의 우울증상이 유아의 정서적 공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양육효능감이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나 최종모형으로 선정하였다. 둘째, 어머니의 취업유무에 따른 다집단 분석결과, 비취업 어머니가 취업어머니에 비해 우울증상이 양육효능감에 강력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부분 조절효과가 입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어머니의 우울증상이 유아의 정서적 공감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양육효능감의 매개로 유아 발달에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비취업모의 우울증상이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이 더 크므로 전업주부의 심리적 문제에 대한 적극적 개입방안이 모색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 mediation effect of parenting 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depressive symptoms and affective empathy of preschoolers and to analysis the differences of structural relationship by mother’s employment status. It was confirmed as a final model. 432 mothers of preschoolers were participated to examine of this relationship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mother's depressive symptoms were found to be complete mediated by the parenting efficacy in the preschoolers affective empathy. Second, as a result of multi-group analysis according to mother's employment status, the partial moderating effect was proved that the depressive symptoms had a influence on the parenting efficacy in non-working mot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maternal depressive symptoms may have an indirect effect on the affective empathy of preschoolers and positively influence the development of preschoolers through mediation of parenting efficacy. In addition, the effect of non-working mothers' depressive symptoms on parenting efficacy is greater, suggesting that active housekeeping intervention should be sought.

어머니의 우울수준과 양육효능감이 유아의 정서적 공감에 미치는 영향: 취업여부에 따른 다집단 분석
이희연(가천대학교 세살마을 연구원) ; 정미라(가천대학교 유아교육과) pp.91-10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의 우울수준이 유아의 정서적 공감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양육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이러한 구조적 관계가 모의 취업여부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경기도에 거주하면서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 432명이다. 연구결과는 첫째, 어머니의 우울수준이 유아의 정서적 공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양육효능감이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나 최종모형으로 선정하였다. 둘째, 어머니의 취업유무에 따른 다집단 분석결과, 비취업모가 취업모에 비해 우울수준이 양육효능감에 강력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부분 조절효과가 입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어머니의 우울수준이 유아의 정서적 공감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양육효능감을 매개로 유아 발달에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비취업모의 우울수준이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이 더 크므로 전업주부의 심리적 문제에 대한 적극적 개입방안이 모색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 mediation effect of parenting 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depressive symptoms and affective empathy of preschoolers and to analysis the differences of structural relationship by mother's employment status. It was confirmed as a final model. 432 mothers of preschoolers were participated to examine of this relationship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mother's depressive symptoms were found to be complete mediated by the parenting efficacy in the preschoolers affective empathy. Second, as a result of multi-group analysis according to mother's employment status, the partial moderating effect was proved that the depressive symptoms had a influence on the parenting efficacy in non-working mot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maternal depressive symptoms may have an indirect effect on the affective empathy of preschoolers and positively influence the development of preschoolers through mediation of parenting efficacy. In addition, the effect of non-working mothers' depressive symptoms on parenting efficacy is greater, suggesting that active housekeeping intervention should be sought.

소년범 재범위험요인에서의 성차연구 : JDRAI-D를 중심으로
양은경(경기대학교) ; 이수정(경기대학교) ; 김병배(법무부) pp.111-125 https://doi.org/10.18205/kpa.2018.23.1.006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비행 청소년들의 재범위험요인 중 어떠한 요인이 비행 청소년들의 재범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비행 청소년들의 재범 유발요인에 있어서 남․여 성차에 따라 서로 다른 특성의 요인이 재범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준법지원센터와 소년원에 재원 중인 비행 청소년 총 188명(남자: 95명, 여자: 93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비행 청소년들의 재범위험성을 측정하기 위해 JDRAI-D(Juvenile Delinquency Risk Assessment Inventory-Dynamic)를 사용하였다. JDRAI-D는 성격․태도, 학교/직장, 가족, 또래 친구, 정신건강, 여가/생활양식, 성 요인을 포함하는 소년 동적 재범위험성 평가도구이다. 그리고 향후 대상자들이 미래의 비행을 저지르는 것을 예측할 수 없으므로, 대상자들의 비행력 등을 반영하여 향후 비행 청소년들의 재범 발생에 대하여 예측하고자 하였다. 더하여 비행 청소년들의 재범 발생 요인에 있어서 남․여 성차에 따라 서로 다른 특성의 요인이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에 대하여 알아보기 위하여 비행 청소년들의 데이터를 남․여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비행 청소년들의 비행에 대한 재범위험요인의 설명력을 살펴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남자 비행 청소년들은 성격․태도 요인이 비행력에 유의한 설명력을 보였으며, 여자 비행 청소년은 성격․태도 요인과 정신건강 요인이 비행력에 유의한 설명력을 보였다. 이를 통해 비행 청소년들이 재비행을 저지르는데 어떠한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 수 있었고, 특히 재범위험요인에서 남․여 성차가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는 데 의의를 둘 수 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the factors influencing the recidivism of delinquent juveniles. This study also tried to find out whether male and female adolescents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causing recidivism or not. 188 juvenile delinquents (95 males and 93 females) in South Korea, who were put either on probation or in a juvenile detention center,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the factors influencing the recidivism of delinquent juveniles. This study also tried to find out whether male and female adolescents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causing recidivism or not. 188 juvenile delinquents (95 males and 93 females) in South Korea, who were put either on probation or in a juvenile detention center,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Juvenile Delinquency Risk Assessment Inventory-Dynamic (JDRAI-D) was used to measure the risk of recidivism. JDRAI-D is a dynamic risk assessment tool measuring dynamic factors such as a personality·attitude, school/workplace, family, peer friends, mental health, leisure/lifestyle and sexual behavior factor. The history of delinquency used to predict the recommitted crime. Also, male and female data separately were analyzed in order to see the gender differences in recidivism risk factors.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used to examine the explanatory power of factors of JDRAI-D in delinquent juveniles.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personality․attitude factor’ has more meaningful explanatory power (β=.39, p<.001) in the male adolescents. Also, we can read off that female delinquents affect significant explanatory powers on the 'personality․attitude factor'(β=.45, p<.001), and on the 'mental health factor'(β=.20, p<.05).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how the ‘personality․attitude and mental health factors’ impinge on recidivism by the juvenile delinquents. Especially, it was found that the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 exists in recidivism risk factors.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used to examine the explanatory power of factors of JDRAI-D in delinquent juveniles.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personality·attitude factor’ has more meaningful explanatory power (β=.39, p<.001) in the male adolescents. Also, we can read off that female delinquents affect significant explanatory powers on the 'personality·attitude factor'(β=.45, p<.001), and on the mental health factor(β=.20, p<.05).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how the ‘personality·attitude and mental health factors’ impinge on recidivism by the juvenile delinquents. Especially, it was found that the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 exists in recidivism risk factors.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