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권호 목록

기혼자녀를 둔 중년기 전업주부의 생활사건 스트레스와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에서 배우자지지와 자녀지지의 조절효과
정문주(한양대학교) ; 홍영희(한국가톨릭상담심리학회) pp.313-334 https://doi.org/10.18205/kpa.2018.23.3.00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중년여성의 생활사건 스트레스와 삶의 만족의 관계에서 배우자 지지와 자녀지지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 및 경기 지역에 거주하고 실제 결혼생활을 유지하고 있는 기혼여성 350명에게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이중 330부를 회수 하였다. 본 연구는 회수된 자료 중 기혼자녀 1인 이상을 포함한 45세에서 60세 사이의 중년기 전업 주부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기 때문에 불성실하게 답한 설문지 2부와 미혼 자녀만을 둔 중년기 전업주부의 설문지 5부를 포함하여 총7부를 제외하고 최총 323명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 본 연구의 결과 배우자 지지는 가족관계스트레스를 제외하고 중년여성의 생활사건 스트레스와 삶의 만족의 관계를 조절하는 역할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반면에 중년여성의 생활사건 스트레스와 삶의 만족감의 관계에서 자녀지지는 역할관계, 경제적 문제 전체 생활사건 스트레스를 조절하는 역할변인으로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기반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추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oderate effect of support of the child and spouse on life event stress and life satisfaction in middle - aged women. For this purpose, we surveyed 350 married women who live in Seoul and Gyeonggi - do, and 330 of them were collected. A total of 323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except for 7 questions including two questionnaires that were unfaithfully answered and five questionnaires of middle - aged full - time housewives with unmarried children becau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middle-aged full-time housewives between 45 and 60 years of age, including one or more married childre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spousal suppor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moder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event stress and life satisfaction in middle - aged women, except family relationship stress. On the other ha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event stress and life satisfaction of middle-aged women, child suppor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a role variable moderating the life event stress of all life including economic problems, role relation stress. Based on these results, It presented to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성차별경험과 우울간의 관계에서 반추 하위유형의 매개효과: 침습적 반추와 의도적 반추
김은하(아주대학교) ; 김보라(아주대학교) pp.335-354 https://doi.org/10.18205/kpa.2018.23.3.002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성차별경험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침습적 반추와 의도적 반추의 매개 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취업 여성 221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여 성차별경험, 침습적 반추, 의도적 반추, 우울을 측정하였고, 성차별경험이 침습적 반추로 가는 경로, 성차별경험이 의도적 반추로 가는 경로 그리고 침습적 반추가 의도적 반추로 가는 경로가 포함된 가설적 연구 모형을 설정하였다. 또한 성차별경험이 의도적 반추로 가는 경로를 제외한 경쟁모형 1, 침습적 반추가 의도적 반추로 가는 경로를 제외한 경쟁 모형 2, 침습적 반추와 의도적 반추를 합쳐 반추의 매개효과만 포함시킨 경쟁 모형 3을 설정하였다. 연구 결과, 경쟁 모형 1이 최종모형을 채택되었는데, 구체적으로, 성차별경험은 침습적 반추를 매개로 우울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침습적 반추와 의도적 반추를 순차적으로 매개하여 우울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성차별경험은 높은 침습적 반추를 통해 높은 우울 수준과 관련이 있지만 침습적 반추가 의도적 반추로 이어지면 결과적으로 낮은 우울 수준이 나타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상담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intrusive and deliberate rumin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gender discrimination and depression. For this purpose, two models were established: a hypothesized model and a comparison model. A total of 221 employed women participated in paper-and-pencil and online surveys and responded to the scales that measured the experience of gender discrimination, intrusive and deliberate rumination, and depression. We developed a hypothesized model that included a path from perceived gender discrimination to intrusive rumination, a path from perceived gender discrimination to deliberate rumination, a path from intrusive rumination to deliberate rumination. In addition, three alternative models were developed (Model 1 not including a path from perceived gender discrimination to deliberate rumination, Model 2 not including a path from intrusive rumination to deliberate rumination, and Model 3 examining a total score of rumination as a mediator).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ediating effect of intrusive rumin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gender discrimination and depression was signifiant. Further, the path that perceived gender discrimination led to depression by dual mediating effects of intrusive rumination and deliberate rumination was significant. Such findings implied that perceived discrimination was associated with depression thought intrusive rumination, but, if intrusive rumination turned to deliberate rumination, it could decrease a level of depression. The implications for counseling and future research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임신기 부부의 불안정 성인애착이 긍정적 갈등해결전략을 매개로 부부관계 질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강수경(가천대학교) ; 정미라(가천대학교) ; 김해미(세살마을연구원) pp.355-375 https://doi.org/10.18205/kpa.2018.23.3.00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임신기 부부의 불안정 성인애착이 긍정적 갈등해결전략을 매개로 부부관졔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긍정적 갈등해결전략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서울·경기지역의 임신기 부부 281쌍(총56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자료분석을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을 통한 APIM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불안정 성인애착이 부부관계 질에 미치는 자기효과가 나타났다. 둘째, 불안정 성인애착이 긍정적 갈등해결전략에 미치는 자기효과와 임산부의 상개방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긍정적 갈등해결전략이 부부관계 질에 미치는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가 나타났다. 넷째, 불안정 성인애착이 긍정적 갈등해결전략을 통해서 부부관계 질로 가는 간접경로의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가 모두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임신기 부부의 부부관계 질을 높일 수 있는 방안과 긍정적 갈등해결전략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effect of insecure adult attachment on marital quality through positive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and mediating effect positive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281 pairs of pregnant couples in Seoul and Gyeonggi(total 562). APIM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for data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ctor-effect of insecure adult affection on marital quality appeared. Second, actor-effect of insecure adult affection on positive conflict resolution strategy and the partner-effect of pregnant women were revealed. Third, positive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showed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effect on marital quality. Fourth, both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effect of the indirect path to insecure adult attachment on marital quality through the positive conflict resolution strategy were foun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ions for improvement of marital quality and positive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were suggested.

임신기 부부의 불안정 성인애착이 긍정적 갈등해결전략를 매개로 부부관계 질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강수경(가천대학교) ; 김해미(세살마을연구원) ; 정미라(가천대학교) pp.355-37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임신기 부부의 불안정 성인애착이 긍정적 갈등해결전략을 매개로 부부관계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긍정적 갈등해결전략의 매개효과를 살펴 보았다. 서울·경기지역의 임신기 부부 281쌍(총56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자료분석을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을 통한 APIM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불안정 성인애착이 부부관계 질에 미치는 자기효과가 나타났다. 둘째, 불안정 성인애착이 긍정적 갈등해결전략에 미치는 자기효과와 임산부의 상대방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긍정적 갈등해결전략이 부부관계 질에 미치는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가 나타났다. 넷째, 불안정 성인애착이 긍정적 갈등해결전략을 통해서 부부관계 질로 가는 간접경로의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가 모두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임신기 부부의 부부관계 질을 높일 수 있는 방안과 긍정적 갈등해결전략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effect of insecure adult attachment on marital quality through positive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and mediating effect positive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281 pairs of pregnant couples in Seoul and Gyeonggi(total 562). APIM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for data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ctor-effect of insecure adult affection on marital quality appeared. Second, actor-effect of insecure adult affection on positive conflict resolution strategy and the partner-effect of pregnant women were revealed. Third, positive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showed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effect on marital quality. Fourth, both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effect of the indirect path to insecure adult attachment on marital quality through the positive conflict resolution strategy were foun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ions for improvement of marital quality and positive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were suggested.

워킹맘의 일 가정 양립 촉진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검증
유성경(이화여자대학교) ; 임영선(이화여자대학교) ; 임인혜(이화여자대학교) ; 김태원(이화여자대학교) ; 정혜림(이화여자대학교) ; 황민혜(이화여자대학교) pp.377-407 https://doi.org/10.18205/kpa.2018.23.3.004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워킹맘의 일 가정 양립 촉진을 지원하는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 경인지역 워킹맘 230명을 대상으로 요구조사를 실시하여 예비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구성된 예비 프로그램을 시연해 본 후, 본 프로그램을 4회기로 구성하였다. 본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을 위해 실험집단에 23명, 통제집단에 19명의 워킹맘이 참여하여 본 프로그램이 워킹맘의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지, 마음챙김 주의 알아차림을 증진시키는지, 삶의 만족도를 높이는지 그리고 워킹맘의 일 가정 양립 촉진 능력을 증가시키는지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는 첫째, 본 프로그램에 참여한 워킹맘의 스트레스는 프로그램 전에 비해 유의미하게 감소하지는 않았지만, 2주 후 스트레스가 감소하였다. 둘째, 본 프로그램에 참여한 워킹맘의 마음챙김 주의 알아차림 능력은 프로그램 전과 비교했을 때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으나, 2주 후 그 점수가 증가하였다. 셋째, 본 프로그램에 참여한 워킹맘들의 삶의 만족도는 프로그램 전에 비해 증가하였으며, 통제 집단의 점수보다도 높았다. 넷째, 본 프로그램에 참여한 워킹맘들의 일 가정 양립 촉진 능력은 프로그램 참여 전에 비해 그 점수가 유의미하게 증가하였지만 그 점수가 2주 후까지 지속되지는 않았다. 반면, 통제 집단에 비해 그 점수는 유의미하게 높았다. 이 연구는 워킹맘에게 특화된 집단 상담이 가능하도록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것과 지속적인 업데이트가 가능하도록 구조화된 프로그램을 개발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Abstract

The present study aimed to develop group counseling program supporting work-family reconciliation for employed mothers and verify its efficacy. It conducted a survey of 230 employed mothers and constructed a preliminary program. After the preliminary program was demonstrated, the present program was organized into four sessions. To investigate the efficacy, working mothers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23 and 19 respectively and the study examined if the program reduced their stress, improved mindfulness attention awareness, increased life satisfaction, and enhanced work-family reconciliation. First, the result showed that the stress of the employed mothers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not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they participated in the program, but their stress was reduced after two weeks. Second, their mindfulness attention awareness ability after the program did not reveal a significant difference but the score was increased after two weeks. Third, their life satisfaction was increased after the program and the score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Fourth, for those who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score of work-family reconciliatio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ut it did not last after two weeks. However, it was significantly high compared to that of the control group. The present research has significance in that it provided the basic data to implement group counseling specialized for employed mothers and developed the structured program, which can be consistently updated.

성차별경험과 자아존중감간의 관계에서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의 조절효과: 세계관입증이론을 토대로
김은하(아주대학교) ; 정보현(아주대학교) ; 김경희(아주대학교) ; 박한솔(아주대학교) pp.409-429 https://doi.org/10.18205/kpa.2018.23.3.00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세계관입증이론(worldview verification theory: WVT)을 토대로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이 성차별경험과 자아존중감간의 관계를 조절하는지 살펴보았다. WVT에 따르면,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이 높을수록, 성차별경험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증가시킨다. 먼저, 연구 1에서는 20세 이상의 일반 여성 200명을 대상으로 성차별경험,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 자아존중감을 측정하였고, 분석 결과,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이 성차별경험과 자아존중감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이 높을수록, 성차별경험이 자아존중감에 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연구 2에서는 점화를 통해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의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는데, 이를 위해, 20세 이상의 일반 여성 160명을 비성차별 집단과 성차별 집단으로 무선 할당시키고, 해당 점화 과제를 실시한 결과,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이 집단(비성차별 집단, 성차별 집단)과 자아존중감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비성차별집단에 비해 성차별집단에서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과 자아존중감간의 정적 상관이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Abstract

Based on the Worldview Verification Theory (WV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belief in a just world would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gender discrimination and self-esteem. According to WVT, greater belief in a just world increases the negative effect of perceived discrimination on self-esteem. In study 1, we measured perceived gender discrimination, belief in a just world, and self-esteem among 200 women (aged at least 20). and the result indicated that the moderating effect of belief in a just world was significant. That is, as belief in a just world was greater, the negative effect of perceived gender discrimination on self-esteem increased. In study 2, using priming approach, we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 of belief in a just world. For this, 160 women (aged at least 20) randomly assigned to either gender non-discriminatory group or gender discriminatory group and completed priming tasks. Findings suggested that belief in a just world moderated the association between group and self-esteem. Specifically, the positive association between BJW and self-esteem was smaller in gender discriminatory group, compared to non-discriminatory group.

성인 초기 여성의 젠더 고정관념과 연인관계 만족도: 자기침묵과 성적 자기주장의 매개효과
최효선(이화여자대학교) ; 양수진(이화여자대학교) pp.431-450 https://doi.org/10.18205/kpa.2018.23.3.006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성인 초기 여성의 젠더 고정관념과 연인관계 만족도의 관계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그 관계에서 자신의 사고나 행동을 억제하는 자기침묵과 성적인 맥락에서 자신의 의사를 표현하는 성적 자기주장이 매개 역할을 하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현재 연애 중인 성인 미혼 여성 355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자료를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하였다. 분석 결과 젠더 고정관념은 연인관계 만족도를 직접적으로 예측하지 못하였지만, 자기침묵과 성적 자기주장을 단순 매개하였을 때 연인관계 만족도에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기침묵과 성적 자기주장의 이중매개효과도 유의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본 연구는 여성이 만족스러운 연인관계를 형성하는 과정을 통합적으로 밝히고자 하였으며, 그 과정에서 여성이 내는 목소리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젠더에 대한 고정관념이 개인의 연인관계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함으로서, 개인과 사회가 나아가야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gender stereotypes and the satisfaction of couple relationships in early adulthood women. In addition, tried to find out whether self-silencing, which suppresses their own thinking or behavior, and sexual assertiveness which expresses their intention in sexual context play a mediating role. For this purpose, we surveyed 355 unmarried women who are currently engaged in dating for more than 3 months, couple relationship satisfaction, gender stereotypes, self-silencing, and sexual assertivenes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gender stereotypes did not directly predict the satisfaction of the couple relationship but it showed that the satisfaction of the couple relationship was influenced by the simple mediation of self-silence and sexual assertiveness. The dual mediation effect of self-silencing and sexual assertiveness was also proved to be significan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women's voices in the process of women's thoughts and actions into forming a satisfying relationship. In addition, by examining the influence of stereotypes about gender on individual's relationship, presented directions for individuals and society to move forward.

경력단절 여성 취업지원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 메타분석
손강숙(중앙승가대학교) ; 정소미(부산외국어대학교) pp.451-468 https://doi.org/10.18205/kpa.2018.23.3.00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경력단절 여성을 대상으로 실시된 프로그램의 효과를 체계적이고 종합적으로 보고하고자 메타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선행연구를 분석함에 있다. 이를 위해 국내에서 수행된 관련 연구 12편을 선정하고, 각 연구에 포함된 여러 변인의 효과크기를 산출하였다. 또한, 경력단절 여성에 대한 프로그램의 전체 효과크기, 주요 변인(학술지 게재 여부, 통제집단 유무, 회기 수, 프로그램의 효과 영역, 참여 세대, 참여 인원 등)에 따른 프로그램의 효과크기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력단절 여성을 대상으로 하는 취업지원 프로그램의 전체 효과크기는 .985로 나타나, 큰 효과크기로 해석할 수 있다. 둘째, 경력단절 여성을 대상으로 하는 취업 지원 프로그램과 관련된 변인을 살펴보기 위하여 주요 변수를 중심으로 효과크기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학술지 게재 여부에 따라서는 학술지에 게재되지 않았을 때가 효과크기가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제집단 여부에 따라서는 통제집단이 없을 때의 효과크기가 큰 것으로 났다. 회기 수에 따라서는 10회 이상 실시하였을 때 효과크기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프로그램의 효과 영역에 따라서는 취업·진로관련 변인, 심리·정서관련 변인, 프로그램 만족도 순으로 효과크기가 나타났다. 참여 세대에 따라서는 두 개 세대가 참여했을 때 큰 효과크기가 나타났으며, 참여 인원에 따라서는 10명 미만이 참여했을 때 큰 효과크기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에 대해서 논의하고 본 연구의 결과가 경력단절 여성의 진로·취업 지원에 시사 하는 바와 향후 연구에 대한 제안점에 대해서 기술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ystematically and synthetically the effect of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career-interrupted women’s employment support by reviewing previous research using meta-analysis. To do this, twelve related studies conducted in Korea were selected and the effect sizes of various variables included in each study were calculated. In addition, we calculated the effect size of the program according to the total effect size of the program for career-disrupted women, the main variabl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overall effect size of the career support program for career-disrupted women is .985, which can be interpreted as a large effect size. Second, to examine the variables related to the career support program for career-disrupted women, the effect size was analyzed based on the main variables As a result,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y were published in journals, the effect size was larger when they were not published in academic journals. Depending on the control group, the effect size was larger when there was no control group. According to the number of sessions, the effect size was larger when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for more than 10 sessions. The effect size of the program effect area was in the order of employment and career variables, psychological and emotional variables, and program satisfaction. Participation generation showed a large effect size when two generations participated and there was a large effect size when less than 10 participants participated. Finall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nd described the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and career and employment support for career-disrupted women.

소아암 환아 어머니들의 수용전념치료 참여 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김민정(서울여자대학교) ; 김종남(서울여자대학교) pp.469-498 https://doi.org/10.18205/kpa.2018.23.3.008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소아암 환아 어머니들이 수용전념 치료(ACT)경험을 심층적으로 분석한 질적 사례연구이다, 기존 연구에서는 프로그램 효과성에 초점이 맞추어져 ACT의 핵심인 삶의 맥락에서 태도의 변화 내용을 상세하게 알기가 어려웠다. 이에 본 연구는 ACT의 주요 관점인 삶의 태도를 심층적으로 탐색하여 환아 어머니들의 변화 과정에서 도움이 되는 임상적 개입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다섯 명의 참여자를 대상으로 ACT프로그램을 개별 치료적 접근로 주 1회 90분씩 총 6회기로 진행하고,. 분석 방법으로 Stake(1995)의 질적 사례연구 자료 분석과 해석방법을 사용하였다. 이를 통해 사례 내 분석에서 힘들고 지쳐가는 삶, 복잡한 마음을 그대로 경험하며 전념행동을 시도함, 고통ㄱ과 편안함이 공존하는 삶의 태도의 과정으로 분석되었고, 사례 간 분석에서 참여자들의 삶의 맥락에서 경험되는 유사점 및 차이점이 분석되었다. 이를 근거로 ACT 과정에서 경험되는 어머니들의 기대, 어려움, 시도해보기, 자기 성찰, 가치를 추구함에 대한 논의 및 환아 어머니들을 위한 실천적 개입 방안에 대해 제언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is a qualitative case study that contextualizes experiences through the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ACT) on the mothers of pediatric cancer patients. The previous study focused on program effectiveness. It was difficult to analyze the details of the change of attitude in the context of life with respect to 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clinic intervention to improve the wellbeing of the mothers of pediatric cancer patients by analyzing their attitude of the changed life. Five mothers of pediatric cancer pati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for six sessions, 90 minutes a week for individual therapy. The method of data analysis used were those used by Stake(1995). Assessing the results of the case analysi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reported to have a difficult and stressful life as well as a changed outlook on life. Between the case analysis,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experiences were analyzed in the context of each participant. The results of this study discussed the mothers’ expectations, difficulties, effective practice, self-reflection, and seeking value through the ACT program and suggested implications for future clinical practices for mothers of pediatric cancer patients.

20∼30대 여성의 미묘한 성차별 경험과 심리적 디스트레스의 관계: 여성주의 정체성 차원에 의해 조절된 분노의 매개효과
김예은(서강대학교) ; 연규진(서강대학교) pp.499-523 https://doi.org/10.18205/kpa.2018.23.3.00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여성의 미묘한 성차별 경험과 심리적 디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여성주의 정체성 차원(수동적 수용, 폭로, 새김-감화, 통합, 적극적 헌신)에 의해 조절된 분노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국의 20∼30대 여성 387명을 대상으로 젠더 마이크로어그레션 척도, 여성주의 정체성 차원 척도, 상태 분노 척도, 일반 정신 건강 척도 설문을 온라인으로 진행하였다. 설문의 결과는 SPSS 22.0과 PROCESS MACRO 2.16(Hayes, 2012)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미묘한 성차별 경험과 심리적 디스트레스의 관계를 분노가 매개할 때, 여성주의 정체성 차원이 분노와 심리적 디스트레스의 관계를 조절했다. 구체적으로 여성주의 정체성 차원의 수동적 수용은 분노와 심리적 디스트레스의 정적 관계를 강화했으며, 폭로는 분노와 심리적 디스트레스의 정적 관계를 약화시켰다. 새김-감화와 통합의 조절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았으며, 적극적 헌신의 경우 그 수준이 높아질수록 분노와 심리적 디스트레스의 정적 관계를 약화시켰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미묘한 성차별 경험으로 인한 여성의 분노와 심리적 디스트레스의 상황에서 상담의 적용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끝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explored if feminist identity dimensions(Passive Acceptance, Revelation, Embeddedness-Emanation, Synthesis, Active Commitment) respectively moderate the relation between anger and psychological distress, when anger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gender microaggressions and psychological distress. Participants were 387 women in 20s and 30s and they completed the on-line survey which measured gender microaggressions, feminist identity composite, state anger, and general health. The data was analyzed with SPSS 22.0 and PROCESS MACRO 2.16(Hayes, 2012). As a result, anger mediated between gender microaggressions and psychological distress when feminist identity dimensions moderated between anger and psychological distress. Specifically, Passive Acceptance strengthened the relationship between anger and psychological distress. In contrast, Revelation and Active commitment weakened the relationship between anger and psychological distress. Whereas Embeddedness-Emanation and Synthesis had no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nger and psychological distress. Based on the results, the implications of the results,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경력단절여성의 진로탄력성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정서조절 능력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김애심(대구가톨릭대학교) ; 장진이(대구가톨릭대학교) pp.525-548 https://doi.org/10.18205/kpa.2018.23.3.010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경력단절여성의 진로탄력성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조절 능력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경력단절여성 243명을 대상으로 진로탄력성, 정서조절 능력,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진로탄력성은 진로준비행동, 정서조절 능력,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진로탄력성은 정서조절 능력에 영향을 미치고,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정적 영향을 미쳐 궁극적으로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정서조절 능력은 직접적으로 진로준비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그리고 추후 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고, 경력단절여성의 진로 발달을 촉진시키기 위한 상담적 함의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among career resilience,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career decision making self efficacy on career interrupted women. For this, survey on career resilience,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has been conducted among 243 women nationwide whose career has been interrupted. The survey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career resilience has a positive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while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with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with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Second, career resilience directly or indirectly affects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through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did not have an impact on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while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indirectly affects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through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Therefore, this study have turned out to have double mediating effects. The study has showed a variety of psychological and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career resilience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among women with career discontinuation. Based on results,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가정폭력 노출경험과 파트너 통제가 데이트 폭력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손연우(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 권호인(전주대학교) pp.549-566 https://doi.org/10.18205/kpa.2018.23.3.01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가정폭력 노출경험이 데이트 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파트너 통제의 매개효과를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를 포함하여 탐색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 대상은 3개월 이상 교제중인 20대 남녀커플 총 139쌍으로, 커플 각자에게 가정폭력 노출경험, 파트너 통제, 데이트 폭력에 대한 자기보고 척도를 실시하였다. 이런 결과를 바탕으로 자기-상대방 상호의존 모델(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을 사용하여 경로모형을 분석한 결과, 남성의 가정폭력 노출경험은 여성의 데이트 폭력 가해와 피해경험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남성의 파트너 통제를 매개로 남성의 데이트 폭력 가해와 피해경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여성의 가정폭력 노출경험은 남녀의 데이트 폭력 가해와 피해경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여성의 파트너 통제가 남녀의 데이트 폭력 가해와 피해에 직접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 후속 연구들을 위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mediating effect of partner control, including the Actor-effect and Partner-effect in the process of experience of exposure to family violence influencing on the dating violenc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39 couples of men and women in 20s who have been in relationship for 3 months or longer and the self-report scale of experience of exposure to family violence, dating violence, and partner control was implemented for respective coupl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ath model using the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the experience of men’s family violence exposure has a direct effect on the perpetration and victimization of dating violence of women and it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perpetration and victimization of dating violence of men through the partner control of men. On the other hand, the experience of women's exposure to family violence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erpetration and victimization of dating violence in men and partner control has a direct effect on the perpetration and victimization of dating violence of men and women. Such a result shows that the experience of exposure to family violence would have mutually different influence to the dating violence of men and women and the partner control of the couples would have the reciprocity. This study is limited to applying to couples who have experience of family violence exposure because they have conducted general couples who have not been exposed to family violence exposure. Despite of such limitations, this study is the first domestic study of dating violence by adult male and female couples using APIM. also, It is meanigful that the variables affecting dating violence have been systematically studied.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