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The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

The relationships between mothers’ psychological variables and their follow-up childbirth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mothers’ psychological variables and their follow-up childbirth. Total 1,550 subjects were selected from a sample of longitudinal Panel Study of Korean Children (PSKC), collected in 2008 when their child was under 1 year of age (wave 1) and in 2015 (wave 2), by the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KICCE). The results indicated that mothers’ age, parenting stress, and marital satisfaction in wave 1 has affected their follow-up childbirth in seven years. Also, for the mothers who had their first child in wave 1, mothers’ emotional value of children has affected their follow-up childbirth in seven years. These results suggest that psychological support should be considered in developing policies to increase follow-up birth rate.

keywords
mothers, low birth-rate, follow-up childbirth, parenting stress, marital satisfaction, child value, 어머니, 저출산, 후속출산행동, 심리적 변인, 양육스트레스, 결혼만족도, 자녀 가치

Reference

1.

강유선, 김찬우. (2018). 후속출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한국영유아보육학, 110, 59-84.

2.

강은미, 김순규. (2011). 맞벌이 남편과 아내의 양육스트레스와 보육서비스 만족도가 추가자녀 출산의도에 미치는 영향. 육아지원연구, 6(1), 67-88.

3.

김기현, 강희경. (1997). 양육스트레스 척도의개발. 대한가정학회지, 35(5), 141-150.

4.

김미영. (2006). 생태학적 관점에 따른 기혼여성의 출산행태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

김양은, 하지영 (2016). 여대생들의 출산 및 양육, 자녀가치관을 통해 살펴본 저출산에 관한 이해. 열린 부모 교육 연구, 8(3), 121-140.

6.

김용훈, 이경숙, 홍수종. (2018). 남편 대상 산후 우울 개입 상담프로그램 구성 및 개발.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23(4), 609-632.

7.

김정미, 양성은(2013). 자발적 무자녀가족의 선택 동기와 사회적 인식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1(5), 79-95.

8.

마미정(2006). 저출산 시대의 아동양육과 가족지원을 위한 아동복지 정책 탐구. 아시아아동복지연구, 4(4), 101-122.

9.

마미정. (2008). 맞벌이부부의 둘째 자녀 출산의도와 출산기피 요인 탐색 연구. 부모교육연구, 5(1), 75-116.

10.

배광일 (2011). 출산 의도 및 출산 행동에 대한생태학적 접근.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1.

배광일. (2015). 모의 심리적 요인 및 지역사회양육 환경이 출산포기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학, 67(1), 31-53.

12.

설진희, 박수현. (2019). 일-가정 다중역할 부정적 경험이 미취학 자녀를 가진 전일제 직장여성의 내재화 문제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25(1), 55-77.

13.

송유미, 이제상(2011). 저출산의 원인에 관한 연구: 산업사회의 변화와 여성의 사회진출을 중심으로. 보건사회연구, 31(1), 27-61.

14.

우영지, 이기학. (2018). 취업모의 다중역할수행 대처전략에 따른 다중역할 경험 및 태도수준 비교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23(4), 685-713.

15.

육아정책연구소. (2008). 한국아동패널 20081차년도 데이터.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http://panel.kicce.re.kr/kor/index.jsp

16.

육아정책연구소. (2015). 한국아동패널 2015 8차년도 데이터.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http://panel.kicce.re.kr/kor/index.jsp

17.

윤현수, 오경자. (2010). 사회적 지지가 빈곤계층 모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5(4), 673-689.

18.

이삼식, 유계숙, 박종서, 이성용, 조영태, 장보현 (2008). 최근 출산율 증가원인 분석 및 중기 출산율 예측. 서울: 저출산고령사회연구회.

19.

이삼식, 정윤선, 김희경, 최은영, 박세경, 조남훈, 신인철, 도세록, 조숙경, 강주희 (2005). 2005년도 전국 결혼 및 출산 동향조사. 서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

이정원(2009). 유자녀 취업여성의 후속출산의도 결정 경로 분석 - 가치관적 요인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40(1), 323-351.

21.

이정순. (2003). 아버지의 양육참여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23(3), 5-19.

22.

이철선. (2010) 글로벌 산업구조 재편과 우리의 대응전략: 희망자녀수와 출산자녀수간의 격차해소가 저출산의 해법!-저출산 원인과 대책에 대한 설문조사를 중심으로, VIP Report, 24, 1-22.

23.

이형민 (2012). 후속출산계획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의 영아기 자녀를 둔 가구를 중심으로. 한국영유아보육학, 70, 1-31.

24.

정현숙. (2004). “결혼전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2(1), 91-101

25.

최미란, 장경은 (2017). 영아기 첫 자녀를 둔 취업모의 양육스트레스와 후속 출산의도의 관계: 직업만족도의 조절효과,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3(4), 53-73.

26.

최순자 (2006). 육아불안 구조의 국제비교 - 한국ㆍ일본ㆍ대만 어머니의 자녀양육 의식을 중심으로: 육아불안 구조의 국제비교. 한국일본 교육학 연구, 11, 163-176.

27.

최항준. (2015). 취업모의 심리변인, 사회적 지원변인, 경제변인 및 자녀(영아)의 기질변인이 후속출산계획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 93, 89-114.

28.

통계청. (2018). 2017년 인구동향조사.

29.

통계청. (2019). 2018년 출생․사망통계 잠정결과.

30.

통계청. (2019). 장래인구추계: 2017-2067년.

31.

Ajzen, I.(1991).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es, 50, 179-211.

32.

Arnett, J. J. (2015). Emerging adulthood: The winding road from the late teens through the twenties. Oxford University Press, USA.

33.

Bandura, A. (1989). Regulation of cognitive processes through perceived self-efficacy. Developmental Psychology, 25, 729-735.

34.

Bandura, A. (1997).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Freeman, New York.

35.

Chung, H. (2004). Application and revision of the Kansas Marital Satisfaction Scale for use with Korean couples. Psychological Reports, 95, 1015-1022.

36.

Coleman, P. K., & Karraker, K. H. (1998). Self-efficacy and parenting quality: Findings and future applications. Developmental Review, 18, 47-85.

37.

Cowan, P. A., & Cowan, C. P. (2000). Working with couples during stressful transitions. In S. Dreman (Ed.), The family on the threshold of the 21st century (pp. 17-47). Mahwah, NJ:Erlbaum.

38.

Dew, J., & Wilcox, W. B. (2011). If momma ain't happy: Explaining declines in marital satisfaction among new mothers.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73, 1-12.

39.

Foster, C. (2000). The limits to low fertility: A biosocial approach. Population and Development Review, 26, 209-234.

40.

Lamer, B. (2018). South Korea’s most dangerous enemy: Demographics. New York Times. https://www.nytimes.com/2018/02/20/magazine/south-koreas-most-dangerous-enemy-demographics.html

41.

Lamm, B., & Keller, H. (2007). Understanding cultural models of parenting: The role of intracultural variation and response style. Journal of Cross-Cultural Psychology, 38, 50-57.

42.

Lavner, J. A., & Bradbury, T. N. (2010). Patterns of change in marital satisfaction over the newlywed years.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72, 1171-1187.

43.

Lu, L. (2006). The transition to parenthood: Stress, resources, and gender differences in a Chinese society.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34, 471-488.

44.

Mainieri, T. (2006). The panel study of income dynamics child development supplement: User guide for CDS-II. Ann Arbor, MI: Institute for Social Research, University of Michigan, 4.

45.

Markman, H. J., Stanley, S. M., & Blumberg, S.L. (2001). Fighting for your marriage. San Francisco: Jossey Bass, Inc.

46.

OECD. (2019). Fertility rates (indicator). doi:10.1787/8272fb01-en (Accessed on 01 April 2019)

47.

Pearlin, L. I., Menaghan, E. G., Lieberman, M. A., & Mullan, J. T. (1981). The stress process.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22, 337-356.

48.

Rubin, K. H., & Chung, O. B. (2008). Parenting beliefs, behaviors, and parent-child relations: A cross-cultural perspective. New York, NY:Psychology Press.

49.

Silver, E. J., Heneghan, A. M., Bauman, L. J., & Stein, R. E. (2006). The relationship of depressive symptoms to parenting competence and social support in inner-city mothers of young children. Maternal and Child Health Journal, 10, 105-112.

50.

Stifter, C. A., & Bono, M. A. (1998). The effect of infant colic on maternal self‐perceptions and mother‐‐infant attachment. Child: Care, Health and Development, 24, 339-351.

51.

Teti, D. M., & Gelfand, D. M. (1991). Behavioral competence among mothers of infants in the first year: The mediational role of maternal self‐efficacy. Child Development, 62, 918-929.

The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