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권호 목록

양가적 성차별주의 점화가 여자 대학생의 자기대상화와 외모관리 수행의도에 미치는 영향: 온정적 성차별주의를 중심으로
김경희(아주대학교) ; 김은하(아주대학교) pp.337-358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여자 대학생을 대상으로 양가적 성차별주의를 점화했을 때 자기대상화(신체 감시성, 신체 수치심)와 외모관리 수행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그리고 자기대상화가 성차별주의 점화와 외모관리 수행의도간의 관계를 매개하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수도권 소재 대학에 재학 중인 여자 대학생 74명을 적대적 성차별주의 조건, 온정적 성차별주의 조건, 통제 조건으로 무선 할당시킨 후, 해당 점화 과제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자기대상화(신체 감시성, 신체 수치심)의 경우, 세 조건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온정적 성차별주의를 점화시킨 집단이 다른 두 집단에 비해 높은 자기대상화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외모관리 수행의도는 세 조건에서 유의수준에 가까운(marginal)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는데, 온정적 성차별주의를 점화시킨 집단이 적대적 성차별주의를 점화시킨 집단보다 높은 외모관리 수행의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자기대상화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자기대상화가 성차별주의 점화와 외모관리 수행의도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점을 논의하였고, 외모불안을 보이는 내담자와 상담시 양가적 성차별주의와 자기대상화 수준을 탐색함으로써 거시적 차원에서 스스로의 문제를 이해하게 도울 수 있는 등의 상담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Abstract

In this study, we studied female college students to see how priming to ambivalent sexism effect self-objectification(body surveillance, body shame) and appearance management intention, and to examine whether self-objectification(body surveillance, body shame) mediates between priming to ambivalent sexism and appearance management intention. A total of one hundred and three participants completed a experiment, and randomly assigned to three conditions: hostile sexism condition, benevolent sexism condition, control condition. Due to the missing values, extreme measures and manipulation checks, seventy-four data were used for the analysis. First, body surveillance/body sham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hree conditions and participants in benevolent sexism condi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hostile sexism condition and control condition. Appearance management intention, on the other hand, showed marign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hree conditions, and participants in benevolent sexism condition was marginally significantly higher than hostile sexism condition, but control condition didn'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from the two conditions. Second, body surveillance/body shame mediated between priming to ambivalent sexism and appearance management inten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the proposals for the implication, limitations and subsequent studies were discussed. Also, the implication of counseling that when counseling client who show anxiety about her appearance, counselor help client exploring the level of ambivalent sexism and self-objectification were discussed.

미혼남녀의 자기관이 결혼가치관에 미치는 영향: 이성관계의 경험의 매개효과
김수경(신명중학교) pp.359-378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20대에서 30대 초반의 미혼남녀 266명(남성 134명, 여성 132명)을 대상으로 자기관이 결혼가치관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이성관계 경험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성별, 학력 및 경제수준 등 인구학적 변인에 따라 자기관 및 결혼가치관, 이성관계경험에서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었다. 둘째, 결혼의향을 예측하는 주요 요인들을 살펴본 결과, 이성관계경험 및 학력수준, 결혼가치관 등은 결혼의향을 유의하게 예측하고 있어 학력 수준이 높을수록, 긍정적인 이성관계경험 및 결혼가치관을 가지고 있을수록 결혼의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미혼남녀의 자기관과 결혼가치관 관계에서 이성관계경험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경로분석을 실시한 결과, 상호의존적 자기관이 이성관계경험을 매개로 결혼가치관에 영향을 미쳤다. 반면, 독립적 자기관은 보수도구적 결혼가치관에 직접효과만을 보였다. 연구 결과, 자기관의 유형에 따라 결혼가치관에 차이를 보였으며, 상호의존적 자기관이 건강한 이성관계를 매개로 유의하게 긍정적인 결혼가치관 형성을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This study has investigated the mediating effects of heterosexual dating experiences on the relations between self-construals and marital values of 266 single males and females (134 males and 132 females) in their 20s and early 30s. As a result, first,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self-construals, marital value, and dating experiences according to demographic variables such as gender, education, and economic level.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main factors for predicting marital intention, the heterosexual dating experience, educational level, and marital values predicts marital intention significantly. The marriage intention was high. Third, as a result of conducting path analys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dating exper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nstruals and marriage value of single males and females, interdependent self-construals influenced marital values through the experience of heterosexual relationship. Independent self-construals, on the other hand, had a direct effect on conservative marrital valu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marital values differed according to the types of self-construals, and interdependent self-construals predicted the formation of a positively positive marital-values through a healthy dating relationship experiences.

한국 미혼여성을 대상으로 한 결혼에 대한 양가태도 척도 개발 및 타당화
김은하(아주대학교) ; 최혜윤(한국방송통신대학교) ; 권민혁(아주대학교) pp.379-40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사회심리 분야에서 오래전부터 주목받아온 개인의 양가적 태도에 초점을 맞춰 결혼에 대한 양가적인 태도를 측정하는 척도인 ‘한국 미혼여성을 대상으로 한 결혼에 대한 양가태도 척도’(Ambivalent Attitudes toward Marriage Scale for Korean Unmarried Women; AAMS)를 개발 및 타당화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 연구 고찰과 개방형 설문지를 실시하였고 전문가 자문을 거쳐 총 23개의 예비문항을 개발하였다. 이후 이성교제 중이며 미혼인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 2요인, 18문항이 도출되었다. 또한 다른 미혼 성인 여성 표본을 대상으로 두 번의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앞서 확인된 2요인 18문항으로 구성된 측정 모형이 적합함을 재확인하였다. 또한 AAMS의 수렴 및 준거관련 타당도를 살펴보기 위해 해외에서 개발된 결혼태도와 기대척도의 하위 척도인 결혼 의도와 결혼에 대한 태도, 친밀감에 대한 두려움 척도, 성인 애착 척도의 회피애착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AAMS의 학문적 의의, 활용방안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Abstract

By focusing on the notion of ambivalence in attitudes, which has been a focus of social science fiel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Ambivalent Attitudes toward Marriage Scale for Korean Unmarried Women (AAMS). For this,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and the results of the open-ended questionnaire, and through expert review, we developed 23 items for AAMS. Then, we conducte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in a sample Korean unmarried women who were in a heterosexual relationship and found 2-factor structure, 18 items. We also tested the construct validity through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in two different samples, and the results reconfirmed the 2-factors structure, 18 items. In addition, convergent and concurrent validities were examined via correlations with measures of marriage intent, marriage attitudes, fear of intimacy, and avoidant attachment. Based on our study results, we discussed academic implication, ways to use AAM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정신건강 2요인 모델 타당화 연구: 젊은 성소수자(LGB) 집단을 중심으로
백인규(고려대학교 심리학과) ; 고영건(고려대학교) ; 문기범(고려대학교 심리학과) pp.403-422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국내 성소수자(LGB) 집단을 대상으로 정신건강 2요인 구조의 타당성을 검증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퀴어 포털사이트에서 모집한 464명을 대상으로 정신적 웰빙 척도(K-MHC-SF)와 한국형 정신장애 척도(K-MDI), LGB 정체성 척도(LGBIS)를 실시했다. 그 후 모형 적합도를 비교하기 위해 연구 모형과 경쟁 모형에 대해 각각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했으며, 이를 바탕으로 Keyes(2002)의 정신건강 집단 분류에 따라 성소수자의 정체성 측면에서 심리사회적 적응도의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일원변량분석과 사후분석을 실시했다. 연구결과 정신건강 모델은 정신건강을 긍정적 정신건강과 정신장애의 단일축으로 보는 단일모델과 정신건강을 긍정적 정신건강과 정신장애의 독립적인 관계로 보는 2요인 독립모델에 비해 두 변인이 독립적인 동시에 상호상관이 있다고 가정한 2요인 상관모델이 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소수자 집단 중 완전정신건강 집단은 나머지 집단에 비해 LGB 정체성 척도 하위 변인에서 심리사회적응 수준이 더 뛰어났고, 단순장애 집단이 단순쇠약 집단보다 심리사회적 적응 수준이 더 뛰어났다. 이러한 결과에 기초하여 성소수자 집단을 대상으로 한 긍정적 정신건강 연구와 개입의 필요성에 대해 논했다.

Abstract

In this study, we aimed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mental health two-factor structure for a group of sexual minority(LGB) in South Korea. To this end, 464 people who were recruited from the Queer portal site completed K-MHC-SF (Korean Mental Health Continuum-Short Form), K-MDI (Korean Mental Disorder Inventory), and LGBIS (The Lesbian, Gay, and Bisexual Identity Scale). To compare model fit, we then conducted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CFA) of the study and competition models. Based on this, We investigated one-way ANOVA and Post-hoc analysis whether mental health groups differ in psychosocial adaptations in terms of sexual minority identity depending on Keyes(2002)'s classification of mental health groups. CFA revealed that in comparison to the one-factor model and independent two-factor model, the correlated two-factor model was best fit. One-way ANOVA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various LGB Identity related variables according to mental health groups. Post-hoc analysis indicated the complete mental health group showed the best results regarding psychosocial adaptation, and the pure mental illness groups had a better level of psychosocial adaptation than the pure languishing group. Lastly, the importance of positive mental health research and intervention for sexual minority populations was discussed.

완벽주의가 신경성 식욕부진증 증상에 미치는 영향 : 신체점검행동과 신체회피행동의 매개효과
서보은(성균관대학교) ; 장혜인(성균관대학교) pp.423-442
초록보기
초록

완벽주의는 신경성 식욕부진증의 위험요인으로 연구된 대표적인 성격특질이나 여러 정신장애를 예측하는 간진단적인 요인이기도 하다. 따라서 완벽주의가 섭식문제로 이어지는 특수한 기제에 대한 설명이 필요하다. 또한 완벽주의는 적응적, 부적응적인 차원으로 구분되며, 각각 정신장애의 발달에 서로 다른 역할을 할 수 있으나 섭식장애와 관련해서는 이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적응적, 부적응적 완벽주의가 신체점검행동 및 신체회피행동을 거쳐 신경성 식욕부진증 증상을 예측하는 이중매개모형을 검증하였다. 여자 대학생 200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사용하여 다차원적 완벽주의, 신체점검행동, 신체회피행동, 신경성 식욕부진증, 우울을 측정하였다. 분석결과, 부적응적 완벽주의가 신체점검행동을 매개로 하여 신경성 식욕부진증 증상을 유의하게 정적으로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섭식문제에 취약한 초기 성인기 여성을 대상으로 완벽주의가 섭식문제에 기여하는 특수한 경로들을 살펴보았다는 이론적 의의가 있으며, 이는 고위험군의 선별 및 개입에 임상적 함의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Perfectionism is a widely-studied transdiagnostic factor that is known to contribute to the etiology and maintenance of various mental disorders including eating disorders. However, specific mechanisms underlying the link between perfectionism and anorexia nervosa has been relatively unexplored despite empirical findings that individuals with higher levels of adaptive or maldaptive perfectionism, adaptive or maladaptive, are more likely to develop more severe anorexic symptoms. Thus, the current study examined potential mediating effects of body checking and body avoidance behavio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ectionism and anorexic symptoms among female college students. A total 200 female college students completed a series of self-report inventories assessing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body checking behavior, body avoidance behavior, anorexic symptoms, and depress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body checking behavior significantly mediated the association between maladaptive perfectionism and anorexic symptoms controlling for individual variations in BMI and depression. Based on the finding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s well as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이상섭식행동 여대생의 신체불만족 감소 및 자존감 향상을 위한 평가조건화 개입 효과 검증
이지현(이화여대 학생상담센터) ; 유성경(이화여자대학교) pp.443-46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20대 이상섭식행동군 여대생을 대상으로 평가조건화 개입이 신체불만족 감소 및 자아존중감 향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검증하고자 했다. 연구대상으로 이상섭식행동군에 속하면서 심리치료를 받고 있지 않은 실험참여자 78명을 모집해 처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무선배정하였다. 처치집단 39명은 자신의 신체사진을 긍정적인 사회적 피드백과 연합하고 타인의 신체를 중성적 또는 부정적 피드백과 연합하도록 하는 개입을 받았으며, 개입 전과 후에 신체불만족과 자아존중감 척도에 응답했다. 통제집단 39명은 별도의 개입을 받지 않고 처치집단과 비슷한 시기에 신체불만족과 자아존중감 척도에 답했다. 평가조건화 개입 후 처치집단과 통제집단 간 신체불만족 및 자아존중감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가를 확인하기 위해 공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평가조건화 개입을 받은 처치집단 참여자들의 경우 사후 신체불만족 점수가 통제집단 참여자들에 비해 유의미하게 더 낮았다. 둘째, 평가조건화 개입을 받은 처치집단 참여자들과 통제집단 참여자들의 사후 자아존중감 점수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국내 20대 이상섭식행동군 여대생의 신체불만족 개선에 평가조건화 개입이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Abstract

This study tested whether body dissatisfaction and self-esteem of young women with abnormal eating behaviors could be improved by means of evaluative conditioning intervention in which photograph of participants' bodies were paired with positive social stimuli(smiling faces) and photographs of other bodies were paired with neutral(neutral faces) or negative social stimuli(frowning faces). 78 Korean female university students with abnormal eating behaviors were recruited and randomly assigned to evaluative conditioning intervention condition(n=39) or to a delayed waitlist control condition(n=39). Body dissatisfaction and self-esteem were assessed at baseline and post treatment. The intervention for this study was the replication of the experiments of Martijn et al.(2010) and Aspen et al.(2015). ANCOVAs were run to determine the effect of the intervention. The results showed that women in treatment condition demonstrated significantly decreased body dissatisfaction compared to women in the waitlist control condi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ost-treatment self-esteem scores between the intervent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body dissatisfaction of young women with abnormal eating behaviors may be improved by repeatedly pairing their photographs with positive social feedback.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with suggestions for further studies.

인지 및 정서적 공감과 연인의 관계만족도
전희정(가톨릭대학교) ; 양재원(가톨릭대학교) pp.465-48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연인 간 대화상황에서 객관적으로 측정한 인지적 공감, 정서적 공감과 관계만족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개월 이상 연애를 지속한 커플 50쌍(총 100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먼저 인구통계학적 정보와 관계만족도를 자기보고식으로 측정한 후 독립된 공간에서 연인과 좋았던 순간과 좋지 않았던 순간에 대해 3분씩 총 6분 동안 대화를 나누게 하고 이를 촬영하였다. 대화 후 참가자는 자신의 영상을 보며 대화 중 경험한 긍정/부정정서를 기록하였고, 상대방의 영상을 보고 상대방이 대화 중 경험하였을 것으로 추측되는 긍정/부정정서를 동일한 방식으로 기록하였다. 상대방의 긍정/부정정서를 얼마나 정확하게 추론하였는지를 계산하여 정서인식정확도라 명명하고 이를 인지적 공감이라 조작적으로 정의하였다. 실험 종료 후 제3의 평정자 2인이 영상을 보고, 영상 속 사람이 대화 중 표현하는 긍정/부정정서를 기록하였다. 이후 연인간의 정서 표현이 얼마나 일치하였는지를 계산하여 정서표현일치도라 명명하고 이를 정서적 공감이라 조작적 정의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긍정적 대화 중 정서인식정확도와 정서표현일치도는 관계만족도와 정적 상관이 있었다. 둘째, 긍정적 대화 중 여성의 정서인식정확도는 여성의 관계만족도를 예측하였고, 긍정적 대화 중 연인의 정서표현일치도는 남성의 관계만족도를 예측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가 가지는 의의와 한계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whether objectively measured cognitive empathy and affective empathy are associated with romantic relationship. The experiment involved 50 couple who had been dating for more than a month. They completed self-report measures of relationship period and satisfaction, then talked for six minutes about good and bad moments and memories with their partner. They were recorded in a room without the researcher. After the conversation, the participants recorded their positive/negative emotion every second during conversation and the positive/negative emotion that their partner may have experienced during the conversation in the same way. We calculated how accurately the partner's positive/negative emotion were inferred―emotion recognition accuracy―and operationally defined it as cognitive empathy. After the experiment, objective raters watched the video and recorded the positive/negative emotions expressed by each participant in the conversation. We calculated the match in emotional expressions of the romantic relation―emotional expression uniformity―and operationally defined it as affective empath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First, cognitive and affective empathy in positive conversation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relationship satisfaction. Second, women’s cognitive empathy in positive conversation predicts women’s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a couple’s affective empathy in positive conversation predicts men’s relationship satisfaction.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성적 자기애가 20대 남녀의 성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강간에 대한 왜곡된 신념의 매개효과
홍연주(동덕여자대학교) ; 이주영(동덕여자대학교) pp.485-504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20대 남녀의 성적 자기애적 성향이 성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강간에 대한 왜곡된 신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20대 남녀 46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 방식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적 자기애의 하위요인 중 성적 착취와 성적 스킬은 남성이 더 높았으며 성적 권리는 여성이 더 높게 나타났다. 강간에 대한 왜곡된 신념은 남성이 더 높게 나타났으며 성적 공격성은 남녀 차이가 없었다. 둘째, 남녀 모두 성적 자기애적 성향과 강간에 대한 왜곡된 신념은 정적 상관을 보였다. 성적 자기애적 성향에서 남성은 성적 스킬, 여성은 성적 권리와 성적 스킬을 제외하고 성적 자기애적 성향이 높을수록 성적 공격성을 보이는 경향을 나타냈다. 또한, 남녀 모두 강간에 대한 왜곡된 신념을 수용할수록 높은 성적 공격성을 보였다. 셋째, 성적 자기애적 성향과 성적 공격성의 관계에서 강간에 대한 왜곡된 신념의 매개효과는 남자 집단에서만 유의하였다. 여성의 경우, 성적 자기애의 하위요인 중 성적 착취만이 성적 공격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남성의 경우 성적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강간에 대한 왜곡된 신념과 같은 인지적 과정이, 여성의 경우 개인의 자기애적 성격 특성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을 보여준다. 본 연구의 시사점과 의의를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exual narcissism on sexual aggression an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rape myths. A total of 460 Korean men and women in their 20s completed online questionnaire.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subtypes of sexual narcissism, sexual exploitation and sexual skills were higher in males and sexual entitlement was higher in females. Rape myths was higher in men and sexual aggression did not differ between men and women. Second, both men and women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exual narcissism and rape myths. Higher sexual narcissism tended to correlate with higher sexual aggression except for sexual skills in males and for sexual entitlement and sexual skills in females. In addition, both men and women showed higher sexual aggression as they accepted the rape myths. Third, the mediating effect of rape myths was significant only in mal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xual narcissism and sexual aggression. For women, only sexual exploitation, a subtypes of sexual narcissism, directly affected sexual aggres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cognitive processes such as rape myths play an important role in men, while narcissistic personality traits are more critical in women.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further discussed.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