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청소년 미혼모를 위한 자립 준비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Promoting Korean Adolescent Single Mothers’ Preparation for Independence: Development,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of an Intervention Program

초록

본 연구는 청소년 미혼모를 대상으로 그들의 자립의지, 양육효능감 등을 증진시키고, 자립수준, 자존감을 높이기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개발과 그 효과검증을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청소년 미혼모의 설문조사, 심층면담을 토대로 10회기 자립준비 개입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자녀와 함께 시설에서 퇴소할 예정인 만 24세 미만의 청소년 미혼모 9명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자립의지, 양육효능감, 자립수준 및 자존감에 대한 사전-사후-추후(2주 후) 시점에 수집하여, 자립준비 프로그램을 실시한 무처치 통제집단 9명과 그 수준을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자립준비 프로그램에 참여한 처치집단은 자립의지 수준이 프로그램 전후로 유의미하게 변화하였다. 이러한 변화는 프로그램 종결 후 2주 후까지 유지되어 경험적으로 프로그램 효과성을 확인하였다. 반면, 청소년 미혼모들의 양육효능감은 사전-사후 차이점증에서는 증가 경향성만 보였으나, 사전-추후에서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났다. 정서자립은 프로그램 사전-사후에서는 차이가 없었으나, 사후-추후 검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 미혼모의 자립준비를 위한 프로그램’이 지니는 의의, 제한점과 더불어 제언을 제시하였다.

keywords
청소년 미혼모, 자립 준비, 집단상담 프로그램

Abstract

This study develops an intervention program for Korean adolescent single mothers and evaluate its effectiveness in promoting their preparation for independence. The program comprised of 10 group counseling sessions based on the findings from a survey and in-depth interview research. Nine single mothers under the age of 24 who were planning to leave the primary residential care with their children participated in the program. To examine its effectiveness, the intervention group’s will for independence, perceived efficacy in child-rearing, current level of independence and self-esteem were assessed before-, after-intervention, and at 2-week follow-up to compare the levels with those in the control group (n = 9). In results, before- and after-intervention will for independence enhanced significantly, and the improvement was maintained at 2-week follow-up. Although before- and after-intervention efficacy in child-rearing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ir levels, it was enhanced significantly at the follow-up. Lastly, after-intervention and the follow-up emotional independence showed a significant enhancement, despite the insignificant difference when compared the levels before- and after-intervention. Practical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program,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keywords
adolescent single mother, preparation for independence, intervention program for adolescent single mother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