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권호 목록

여자 대학생의 완벽주의와 신경성 폭식의 관계에서 지각된 스트레스의 매개효과
강미정(최영미마음상담센터) ; 김희경(동신대학교) pp.1-24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여자 대학생 526명을 대상으로 완벽주의와 신경성 폭식의 관계에서 지각된 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연구 도구는 신경성 폭식증 검사 개정판(Bulimia Test Revised; BULIT-R), 다차원적 완벽주의 척도(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Scale; MPS), 지각된 스트레스 척도(Perceived Stress Scale; PPS)였다. 상관분석을 통해 연구 변인들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았으며, Hayes(2013)의 SPSS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완벽주의와 신경성 폭식의 관계에서 지각된 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상관분석 결과, 다차원적 완벽주의, 지각된 스트레스, 신경성 폭식 간에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 완벽주의 성향이 높을수록 지각된 스트레스가 많았으며, 지각된 스트레스가 심할수록 신경성 폭식을 많이 했다. Macro 분석 결과, 지각된 스트레스가 다차원적 완벽주의와 신경성 폭식의 관계를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지향 완벽주의, 타인지향 완벽주의,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는 신경성 폭식에 직접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지각된 스트레스의 하위 요인인 부정적 지각을 매개로 신경성 폭식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지각된 스트레스의 하위 요인인 긍정적 지각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신경성 폭식의 후속 연구 및 치료를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str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ectionism and bulimic behavior in 526 female university students. Research instruments were follows: the Bulimia Test Revised; BULIT-R, the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Scale; MPS, and the Perceived Stress Scale; PPS.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the relationship between research variables were examined. And using the SPSS PROCESS Macro of Hayes (2013), the mediating effects of perceived stress in perfectionism and bulimic behavior were verified. As a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perceived stress, and bulimic behavior. The higher the perfectionism behavior, the more perceived stress was, and the more perceived stress, the more bulimic behavior was. Macro analysis showed that perceived stress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and bulimic behavior. Self-oriented perfectionism, other-oriented perfectionism, and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had a directly affect bulimic behavior, and as the negative perceptions which is a sub-factor of perceived stress, it had an indirect effect on bulimic behavior. The mediating effect of positive perception, which is a sub-factor of perceived stress, was not significant. Finally,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and the follow-up study and treatment of bulimic behavior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were suggested.

사회적 지지가 이주여성의 행복과 적응에 미치는 영향: 감사, 마음의 빚과 보은의 매개효과
남순현(경복대학교) pp.25-48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이주여성이 한국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겪게 되는 심리적 내면을 살펴보기 위해서, 사회적 지지가 이주여성의 행복과 한국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칠 때, 감사, 마음의 빚 과 보답의 매개효과를 검증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2017년 11월 15일부터 2018년 1월 30일까지 종합사회복지관, 건강가정지원센터, 다문화가족지원센터 및 이주여성 모임 등의 도 움을 받아 동아시아 5개국 225명을 유목적 편의표집하였다. AMOS 통계프로그램 22.0을 활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배우자와 고국친구의 지지는 이주여성의 감사 정서에 유의 영향을 미쳤다. 둘째, 시부모의 지지는 이주여성의 행복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한국친구의 지지는 이주여성의 한국생활 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넷째, 감사와 마음의 빚은 배우자와 고국친구의 지지가 이주여성의 행복에 영향을 미칠 때만, 유의한 간접효과를 보였다. 다섯째, 감사와 보답은 배우자와 고국친구의 지지가 행복과 한국생활의 적응에 영향을 미칠 때, 유의한 매개효과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동아시아 5개 민족의 모형에서는 문화적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생활 적응과정에서 대상별 사회적 지지에 따른 이주여성의 지각에는 차이가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Abstract

This paper attempted to examine the psychological inner dynamics that the marriage-based female migrants undergo in adapting to Korea. When social support affects happiness and adjusting to life in Korea of the marriage-based female migrants, we investigated whether the paper will have direct effects or indirect effects of gratitude, return and indebtedness. This paper, involving 225 marriage-based female migrants from 5 East Asian countries, was conducted from Nov. 15, 2017, to Jan. 30, 2018 using purposive sampling method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using AMOS 22.0 showed the followings. First, it had a significantly direct effect on the gratitude of marriage-based female migrants when support from spouses and friends in their home countries. Second, the support of the in-laws onl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happiness of marriage-based female migrants. Third, support from Korean friends also had a significant effect on marriage-based female migrants’ adaptation to Korean life. Fourth, only when the support of a spouse and friends in their home affected the happiness of marriage-based female migrants, the gratitude and indebtedness showed a significant indirect effect. Fifth, when the support of a spouse and friends in their home affected the happiness and adaptation of Korean life of marriage-based female migrants, it showed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n the gratitude and return. Finally, the cross-cultural comparison of the 5 East Asian nations showed cultural differences. The paper suggested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perception among marriage-based female migrants depending on the each social support sources in the process of adapting to Korean life.

사회적 지지가 이주여성의 행복과 적응에 미치는 영향: 감사, 마음의 빚과 보답의 매개효과
남순현(경복대학교) pp.25-48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이주여성이 한국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겪게 되는 심리적 내면을 살펴보기 위해서, 사회적 지지가 이주여성의 행복과 한국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칠 때, 감사, 마음의 빚과 보답의 매개효과를 검증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2017년 11월 15일부터 2018년 1월 30일까지 종합사회복지관, 건강가정지원센터, 다문화가족지원센터 및 이주여성 모임 등의 도움을 받아 동아시아 5개국 225명을 유목적 편의표집하였다. AMOS 통계프로그램 22.0을 활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배우자와 고국친구의 지지는 이주여성의 감사 정서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시부모의 지지는 이주여성의 행복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한국친구의 지지는 이주여성의 한국생활 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넷째, 감사와 마음의 빚은 배우자와 고국친구의 지지가 이주여성의 행복에 영향을 미칠 때만, 유의한 간접효과를 보였다. 다섯째, 감사와 보답은 배우자와 고국친구의 지지가 행복과 한국생활의 적응에 영향을 미칠 때, 유의한 매개효과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동아시아 5개 민족의 모형에서는 문화적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생활 적응과정에서 대상별 사회적 지지에 따른 이주여성의 지각에는 차이가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Abstract

This paper attempted to examine the psychological inner dynamics that the marriage-based female migrants undergo in adapting to Korea. When social support affects happiness and adjusting to life in Korea of the marriage-based female migrants, we investigated whether the paper will have direct effects or indirect effects of gratitude, return and indebtedness. This paper, involving 225 marriage-based female migrants from 5 East Asian countries, was conducted from Nov. 15, 2017, to Jan. 30, 2018 using purposive sampling method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using AMOS 22.0 showed the followings. First, it had a significantly direct effect on the gratitude of marriage-based female migrants when support from spouses and friends in their home countries. Second, the support of the in-laws onl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happiness of marriage-based female migrants. Third, support from Korean friends also had a significant effect on marriage-based female migrants' adaptation to Korean life. Fourth, only when the support of a spouse and friends in their home affected the happiness of marriage-based female migrants, the gratitude and indebtedness showed a significant indirect effect. Fifth, when the support of a spouse and friends in their home affected the happiness and adaptation of Korean life of marriage-based female migrants, it showed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n the gratitude and return. Finally, the cross-cultural comparison of the 5 East Asian nations showed cultural differences. The paper suggested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perception among marriage-based female migrants depending on the each social support sources in the process of adapting to Korean life.

성인 초기 여성의 이미지 기반 SNS의 과도한 사용과 이상섭식행동의 관계 : 객체화된 신체의식과 외모 거부민감성의 매개효과
정수인(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양수진(이화여자대학교) pp.49-6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성인 초기 여성들의 섭식과 관련된 문제행동이 증가함에 따라, 이미지 기반 SNS의 과도한 사용과 이상섭식행동의 관계에서 객체화된 신체의식과 외모 거부민감성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만 18 ~ 29세의 성인 여성 385명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이미지 기반 SNS의 과도한 사용은 이상섭식행동을 직접적으로 예측할 뿐만 아니라 객체화된 신체의식을 매개하여 이상섭식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외모 거부민감성의 매개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객체화된 신체의식과 외모 거부민감성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도 유의하였다. 본 연구는 이상섭식행동을 유발하는 구조적인 과정을 밝혔으며, 그 과정에서 새롭게 등장한 미디어인 이미지 기반 SNS의 영향력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를 통하여 성인 초기 여성들의 이상섭식행동을 예방하기 위한 근거 자료를 제공하고,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효과적인 조기 개입 프로그램 마련에 기여하였다. 끝으로, 성인 초기 여성들이 외모에 대해 부여하는 사회문화적 압력에서 자유로워지고 보다 다양한 외모의 가치와 기준을 수용할 수 있는 인식의 개선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Abstract

According to eating-related problems, behaviors are increased in young adult women, this study verified the mediation effect between excessive use of image-based SNS and eating disordered habits resulting in objectified body consciousness and appearance-based rejection sensitivity. we surveyed 385 women aged 18 to 29 years. The structure equation model was used to analyze the results, not only is the excessive use of image-based SNS expected to directly effects eating disordered habits, but also through the mediation of objectified body consciousness affects. But, the mediation effect of appearance-based rejection sensitivity was not proved to be significant. In addition, the consequences of sequential dual mediation appears as objectified body consciousness and appearance-based rejection sensitivity. This study clarifies the structural processes that lead to eating disordered habits and it has proven that the influence use of SNS which is new media method. This research implies that awareness of appearance should be improved. The entire society ought to be free from sociocultural pressure about appearance, and understand various values. Therefore, the young adult women will be free from the eyes of others and can become self-confident.

성인 자폐 범주성 장애 자녀를 둔 어머니의 돌봄 스트레스에 대한 질적 연구
황정희(경일대학교) ; 고은영(경일대학교) ; 김신애(한국상담심리학회) pp.71-9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성인 자폐 범주성 장애 자녀를 둔 어머니가 경험한 돌봄 스트레스를 질적 연구를 통해 심층적으로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상북도 3개 중소도시에 거주하고 있는 성인 자폐 범주성 장애 자녀를 돌보고 있는 8명의 어머니들을 눈덩이 표집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면접 자료에 대한 질적 분석 결과, 63개의 개념, 7개의 하위범주, 2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2개의 핵심 범주는 첫째, 자녀의 발달단계에 따라 변화하는 어려움의 내용으로 영 유아기의 어려움, 학령기의 어려움, 성인기의 어려움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고, 둘째, 성장과정과 관계없이 지속되는 어려움의 내용으로 일상 활동 제한으로 인한 어려움, 문제행동 대처의 어려움, 정서적 어려움, 경제적 어려움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이렇듯 생애주기와 맥락에 따라 다앵하게 변화하는 특성과 영 유아기부터 성인기까지 생활전반에서 변함없이 지속되어 오는 어려움으로 돌보는 어머니는 스트레스를 겪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study sought to explore in depth the care stress experienced by mothers with children with adult autism categorical disabilities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ln view of such significance, eight mothers who were taking care of their children with autism and categorical disorder living in three small and medium cities in Gyeongsangbuk-do were analyzed using a snowball sampling method. ln-depth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wo categories, 7 sub-categories, and 63 concepts. The two categories are: The first category included difficulties due to differing and changing according to developmental stages and growth proccesses from infancy/ early childhood through school age to adulthood, The second category indicated the difficulties continuing even in adulthood, such as difficulties in everyday activities, difficulty coping with problem behavior, emotional difficulties, and economic difficulties. Such diverse characteristics of life cycle and context, and the mother who takes care of constant difficulties of life from childhood to adulthood, were under stress. Based on the study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findings was discussed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