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권호 목록

위암 환자 보호자의 화병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정서적 반응성의 조절 역할
강유경(연세대학교) ; 정안숙(유타대학교아시아캠퍼스) ; 박수현(연세대학교) ; 안지영(성균관대학교) pp.93-111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Objective. The study was conducted to test the potential moderating effect of affective responsiven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wa-byung state, Hwa-byung trait, and life satisfaction. Methods. 67 responses were collected from family caregivers of patients diagnosed with gastric cancer at the Samsung Medical Center, South Korea. Results. The current findings explain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impact of Hwa-byung state on caregivers’ life satisfaction. Moreover, affective responsiveness of family functioning showed an interac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wa-byung state and life satisfaction. Conclusions. The result implies that providing psychoeducation and psycho-social interventions, such as family therapy,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to promote life satisfaction of caregivers.

중년 어머니의 자녀-수반 자기가치감과 심리적 통제와의 관계에서 자녀 성공에 대한 당위적 기대의 매개효과
이인영(부산대학교) ; 정영숙(부산대학교) pp.113-128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어머니의 자녀-수반 자기가치감과 심리적 통제의 관계에서 자녀 성공에 대한 당위적 기대가 갖는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모형검증을 위하여, 부산에 거주하는 중년 어머니 323명을 대상으로 자녀-수반 자기가치감, 자녀 성공에 대한 당위적 기대, 심리적 통제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AMOS 26.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분석한 결과, 자녀-수반 자기가치감이 심리적 통제에 미치는 직접효과가 유의하였다. 자녀 성공에 대한 당위적 기대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어머니의 자녀-수반 자기가치감과 심리적 통제와의 관계에서 자녀 성공에 대한 당위적 기대의 간접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이 연구는 부모의 심리적 통제를 유발하는 과정에서 자녀의 성공에 대한 부모 기대의 역할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 결과에 대한 제한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에 제시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hould expectation of child’s succ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child-based self-worth and psychological control. For model verification,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f 323 middle-aged mothers living in Busan by using such measures as child-based self-worth, should expectation of child’s success, and psychological control.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with the AMOS 26.0 program, the direct effect of child-based self-worth on psychological control was significant.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should expectation of child’s success, the indirect effect of should expectation of child’s succ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child-based self-worth and psychological control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confirmed the role of parent for child’s success in the process of inducing the psychological control by the parent.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provide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implications for further researches in discussion section.

시간관과 주관적 만족의 관계에서 감사와 후회 그리고 정서의 매개효과: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이현주(서울뇌과학연구소) pp.129-150
초록보기
초록

Zimbardo의 5가지 유형의 시간관과 주관적 만족의 관계에서 감사와 긍정정서 혹은 후회와 부정정서의 매개효과를 가정한 모형을 검증하였다. 260명의 40, 50대 중년여성들을 대상으로 한국판 Zimbardo 시간관 척도, 주관적 만족 척도, 한국판 감사척도, 삶의 전반적 후회 문항, 수정된 한국판 긍정정서 부정정서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모형 검증 결과, 시간관에 따라 주관적 만족에 영향을 주는 매개변인이 다르게 나타났다. 과거긍정적, 현재쾌락적, 미래지향적 시간관은 감사와 긍정정서의 다중매개로 주관적 만족에 영향을 주거나 감사 또는 긍정정서 단일매개로 영향을 주는 반면, 과거부정적, 현재숙명적 시간관은 후회를 단일매개로 주관적 만족에 영향을 주었다. 본 연구에서는 시간관이 감사와 후회 그리고 정서를 매개로 중년여성의 주관적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함으로써 중년여성의 상담방향 제시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each model that postulates the mediating effects of appreciation and positive affect, or regret and negative affect on the relation between 5 types of Zimbardo’s time perspectives and subjective satisfaction in middle-aged women. A total of 260 women in 40-50s completed a series of questionnaires including Zimbardo Time Perspective Inventory(ZTPI), Satisfaction with the Life Scale(SWLS), revised Korean version of Positive Affect and Negative Affect Scale(PANAS), Appreciation Scale, and overall regret of life. The result of verifying each model was that different mediating variables depending on the types of time perspective had effects on subjective satisfaction. For Past-Positive, Present-Hedonistic and Future time perspectives, “appreciation”, “positive affect” or “appreciation and positive affect” had mediating effects on subjective satisfaction. However, for Past-Negative and Present-Fatalistic time perspectives, “regret” had mediating effects on subjective satisfac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that the relation between time perspectives and subjective satisfaction is mediated by appreciation, regret, and affect can provide a direction for counseling of middle-aged women.

여성용 성적 자기결정능력 척도 개발을 위한 예비연구
현명호(중앙대학교) pp.151-172
초록보기
초록

성적 자기결정권은 자신의 성생활을 자유롭게 결정하고 성에 대한 불법적 침해를 받지 않을 권리를 의미한다. 본 연구는 신체적・정신적으로 미숙한 청소년 및 성인과 지적장애 또는 정신장애를 지닌 취약 대상의 성적 자기결정권을 행사할 수 있는 능력을 평가하는 척도를 개발하기 위한 예비연구를 진행하였다. 특히 전체 성범죄 피해경험자의 대다수를 이루는 여성에게 보다 적합하게 활용할 수 있는 여성용 도구를 만들고자 여성 청소년 집단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척도 개발 과정에서 문헌 연구와 전문가 심포지엄을 통해 성적 자기결정권의 구성요소를 개인의 성지식과 성의식 및 성태도, 성적 자기주장과 상황지각 및 대처능력으로 정의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예비문항을 제작하였고, 내용타당도와 안면타당도 검증을 통해 예비문항을 구성하였다. 일반적으로 성적 자기결정능력이 청소년기에 형성된다는 관점에 따라 940명의 중・고등학교 여학생을 대상으로 예비조사와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문항 확정을 위한 요인분석 결과, 자기보고식 질문 영역에서는 성지식 13문항, 성의식 및 성태도와 성적 자기주장의 2요인으로 이루어진 22문항을 확정하였고, 구체적인 성적 상황에서의 개인의 상황지각과 상황대처 능력을 파악하고자 상황판단형 5개의 시나리오에 따른 20문항을 도출하였다. 구인타당도 검증 결과, 각 척도는 양호하거나 수용 가능한 적합도를 보였으며, 자기보고식과 시나리오식 문항으로 구성하여 성적 자기결정능력을 보다 다차원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데 그 의의가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 추후 연구에 대하여 논하였다.

Abstract

Sexual self-determination refers to the right to freely decide one's sexual life and not to be illegally violated. The purpose of this preliminary study was to develop a measure to evaluate the ability to sexual self-determination in physically and mentally immature adolescents and adults and vulnerable individuals with intellectual or mental disabilities. In particular, it was intended to develop a women's tool that can be more appropriately utilized for women. For this purpose, based on theoretical considerations and symposiums, sexual self-determination was defined as the individual's sexual knowledge, sexual consciousness and attitude, sexual self-assertion, situational perception and coping ability. Preliminary items were constructed by verifying content validity and facial validity. Subjects were 940 middle and high school female student, the model fit was confirmed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s a result, self-reporting questionnaire confirmed sexual knowledge(13 items), sexual consciousness and attitude(12 items), sexual self-assertiveness(10 items), and 5 scenarios (20 items, situational judgement test) to identify an individual's perception of the situation and ability to deal with the situation in specific sexual situations. As a result of construct validity test, each scale is good or acceptable fit. It is a structure that can respond to self-report and scenario questions simultaneously, which makes it possible to evaluate sexual self-determination ability in a multi-dimensional scale.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