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권호 목록

청소년 미혼모를 위한 자립 준비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손하림(연세대학교) ; 강승림(연세대학교) ; 이동귀(연세대학교) ; 박종철(연세대학교) pp.203-22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청소년 미혼모를 대상으로 그들의 자립의지, 양육효능감 등을 증진시키고, 자립수준, 자존감을 높이기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개발과 그 효과검증을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청소년 미혼모의 설문조사, 심층면담을 토대로 10회기 자립준비 개입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자녀와 함께 시설에서 퇴소할 예정인 만 24세 미만의 청소년 미혼모 9명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자립의지, 양육효능감, 자립수준 및 자존감에 대한 사전-사후-추후(2주 후) 시점에 수집하여, 자립준비 프로그램을 실시한 무처치 통제집단 9명과 그 수준을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자립준비 프로그램에 참여한 처치집단은 자립의지 수준이 프로그램 전후로 유의미하게 변화하였다. 이러한 변화는 프로그램 종결 후 2주 후까지 유지되어 경험적으로 프로그램 효과성을 확인하였다. 반면, 청소년 미혼모들의 양육효능감은 사전-사후 차이점증에서는 증가 경향성만 보였으나, 사전-추후에서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났다. 정서자립은 프로그램 사전-사후에서는 차이가 없었으나, 사후-추후 검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 미혼모의 자립준비를 위한 프로그램’이 지니는 의의, 제한점과 더불어 제언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develops an intervention program for Korean adolescent single mothers and evaluate its effectiveness in promoting their preparation for independence. The program comprised of 10 group counseling sessions based on the findings from a survey and in-depth interview research. Nine single mothers under the age of 24 who were planning to leave the primary residential care with their children participated in the program. To examine its effectiveness, the intervention group’s will for independence, perceived efficacy in child-rearing, current level of independence and self-esteem were assessed before-, after-intervention, and at 2-week follow-up to compare the levels with those in the control group (n = 9). In results, before- and after-intervention will for independence enhanced significantly, and the improvement was maintained at 2-week follow-up. Although before- and after-intervention efficacy in child-rearing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ir levels, it was enhanced significantly at the follow-up. Lastly, after-intervention and the follow-up emotional independence showed a significant enhancement, despite the insignificant difference when compared the levels before- and after-intervention. Practical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program,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20-30대 여성의 일상 속 성차별 경험, 여성주의 정체성 차원 유형에 대한 잠재 프로파일 분석
이승연(이화여자대학교) ; 김보미(이화여자대학교) pp.225-246
20-30대 여성의 일상 속 성차별 경험, 여성주의 정체성 차원에 따른 잠재 프로파일 분류: 차별 대처전략 및 반응적 공격성의 차이
김보미(이화여자대학교) ; 이승연(이화여자대학교) pp.225-246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20-30대 여성의 일상 속 성차별 경험, 여성주의 정체성 차원에 따른 차별 대처전략, 반응적 공격성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39세 여성 370명의 자료를 바탕으로 잠재 프로파일 분석을 실시한 결과 총 4개의 잠재 프로파일 유형이 도출되었다. 구체적으로, '소경험-전통형'은 일상에서 성차별을 가장 적게 경험하고 여성에 대한 차별이 존재한다는 것을 부정하는 유형인 반면, '다경험-역동형'은 성차별을 빈번하게 경험함에 따라 성차별에 분노하여 기존의 성차별적 구조를 변화시키려는 의지가 강한 유형이다. '소경험-참여형'은 직접 경험한 성차별 사건의 빈도는 적지만 여성들과의 연대를 통한 사회 변화에의 참여 정도가 비교적 높은 유형이다. 마지막으로 '다경험-무관심형'은 일상에서 성차별을 경험한 경우가 비교적 높음에도 불구하고 크게 분노하지 않으며 사회 변화에도 애쓰는 정도가 높지 않은 유형이다. 잠재 프로파일 유형에 따라 차별 대처전략 및 반응적 공격성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차별 대처전략 중 내면화와 반응적 공격성을 제외한 모든 하위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차별 대처전략 중 분리는 '소경험-참여형'이 다른 세 유형보다 낮았고, 약물/알코올 사용은 '소경험-전통형'과 '다경험-무관심형'이 가장 높고, '소경험-참여형'이 가장 낮았다. 저항과 교육/옹호의 경우 모두 '다경험-역동형'에서 가장 높았으며, '소경험-전통형'에서 가장 낮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일상에서 성차별을 경험한 20-30대 여성의 심리적 부적응을 완화하기 위해 여성주의 정체성 형성에 대한 적절한 개입과 함께 각 프로파일 유형의 특성에 맞는 차별화된 심리적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patterns of everyday gender microaggression and feminist identity dimensions and examine differences in the level of discrimination coping strategies and reactive aggression among women in their 20s and 30s. For this purpose, latent profile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data from 370 women aged 20-39, and four types were derived: 'little experience-traditional type', 'many experiences-dynamic type', 'little experience-participative type' and 'many experiencesindifferent type'. As a result of examining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discrimination coping strategies and reactive aggression depending on the types, it was found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sub-factors of discrimination coping strategies except internalization and reactive aggression. Separation was lower in 'little experience-participative type' than in the other three types. Drugs and alcohol use was the highest in 'little experience-traditional type', 'many experiences-indifferent type' and the lowest in 'little experience-participative type'. Both resistance and education/advocacy were the highest in 'many experiences-dynamic type' and the lowest in 'little experience-traditional typ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a proper intervention in the formation of feminism identity as well as differentiated psychological intervention to sui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are necessary to reduce the psychological maladjustment of women in their 20s and 30s who have experienced everyday gender microaggression.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