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포스트 코로나 시대, 학령기 자녀를 둔 여성 중간관리자의 온라인 재택근무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Toward the post-COVID-19 era,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Remote Working Experience of female Intermediate Managers with School-Age Children

초록

본 연구는 학령기 자녀를 둔 한국의 여성 중간관리자의 코로나 19시기 재택근무의 현상학적 경험을 분석하여 다가오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새롭게 지각되는 여성 중간관리자의 일-가정 양립 경험의 의미와 본질을 이해하고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학령기 자녀를 둔 한국의 여성 중간관리자 7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하여 이들이 경험하는 중층적 의미들을 해석한 현상학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여성 중간관리자의 범위를 ‘국내 소재 대기업 및 공기업에서 일하는 학령기 자녀를 둔 과장급 이상, 조직 경험 10년 이상의 경력 단절하지 않은 40대 여성’으로 한정하였고 면담과 동시에 진행된 순환적 분석과정을 통해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총 18개의 소주제와 6개의 대주제가 도출되었고, 한국의 워킹맘 중간관리자들이 경험한 코로나 시기 온라인 재택근무의 체험적 의미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참여자들은 코로나 19시기 초반 공적 영역과 사적 영역의 불분명한 경계에서 자기정체성에 대한 혼란과 불안감을 느꼈으나 점차 새로운 상황에 적응해나가는 방법을 모색하였고, 둘째 코로나 넛지효과로 온라인 재택근무의 실효성과 더불어 그 명암을 몸소 체험하였으며, 셋째 여성 중간관리자로서 귄위와 돌봄 사이에서 분투하며 애로점을 경험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넷째 코로나 시대 멈춤과 돌봄의 소중함을 깨달을 수 있는 뜻밖의 기회를 가졌으나, 다섯째 여전히 조직에서의 여성 임원 자리는 돌봄에 힘쓸 필요가 없는 자의 것이라는 냉정한 현실도 함께 자각하였다. 마지막으로 코로나 19시기에 당위적으로 경험한 온라인 재택근무 제도가 다양성을 수용하는 유연한 자기(self)로 전환하는 데 일조했음을 밝혔다. 나아가 이러한 연구 결과로부터 도출된 핵심 주제들을 통해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향해가는 현 상황에서 중간관리자 워킹맘이 새롭게 지각하는 경험을 세밀하게 이해하여 이들의 일-가정 양립 및 개인적 성장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 및 함의를 논의하였다.

keywords
Key words: female intermediate managers, remote working experience, post-COVID-19 era, work-family balance, hermeneutic phenomenology, 주요어 : 여성 중간관리자, 재택근무 경험, 포스트 코로나 시대, 일-가정 양립, 해석학적 현상학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understand and clarify the work-family balance experience of female intermediate manager with school-age children by analyzing their experience of remote working during the COVID-19 perio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seven Korean female intermediate managers having school-age children, and phenomenological studies were conducted to interpret the layered meanings they experienced. As a result, a total of 18 sub-subsidies and 6 subsidies were derived. First, participants felt confusion and anxiety about self-identity due to the unclear boundary between the public and private areas in the early COVID-19 era, but gradually sought ways to adapt to new situations. Second, with COVID-19 Nudge effect, they experienced the effectiveness of remote working system and its pros and cons. Third, as a female intermediate manager, they struggled between authority and caring. Fourth, they had an unexpected opportunity to realize the importance of pausing and caring in the COVID-19 era, but fifth, they also realized that female executive positions still belong to those who do not need to work hard on caring. Finally, it was revealed that the remote working system, which was inevitably experienced during the COVID-19, helped transform themselves into a ‘flexible self’ that embraces diversity. Through the results of the study, implications for contributing to their work-family balance and personal growth were discussed by understanding in detail the newly perceived experience of intermediate managers in the current situation toward the post-COVID-19 era.

keywords
Key words: female intermediate managers, remote working experience, post-COVID-19 era, work-family balance, hermeneutic phenomenology, 주요어 : 여성 중간관리자, 재택근무 경험, 포스트 코로나 시대, 일-가정 양립, 해석학적 현상학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