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권호 목록

'빈둥지의 새단장' : 자녀독립이후 부부관계 변화와 적응과정에 대한 근거이론 연구
김미라(하늘샘가족상담센터) ; 하영윤(Daybreak University) pp.381-405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자녀가 독립한 이후 부부관계에서 일어나는 변화와 적응과정을 이해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결혼 생활을 20년 이상 유지하며 1명 이상의 자녀를 함께 양육하였고, 막내 자녀까지 모두 독립시킨 뒤, 부부만 남게 된 남녀 15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의 전 과정은 Strauss와 Corbin(2003)이 제시한 근거이론접근방법을 기반으로 이루어졌고, 136개의 개념으로부터 57개의 하위 범주와 23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자료 분석에 따른 주요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녀를 독립이후 부부들이 경험한 중심현상은 ‘어떻게든 함께하기 위해 조율하기’로 나타났다. 둘째, 자녀독립 이후 부부들의 적응과정 핵심 범주는 ‘어떻게든 함께하기 위해 조율하기’ 를 위한 ‘부부만의 방식으로 관계를 재정립해 나감’이며, 적응과정은 ‘에너지 소진단계’, ‘에너지 재점화 단계’, ‘에너지 교환단계’, ‘조정․ 유지 단계’ 가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순환적으로 이루어졌다. 셋째, 자녀 독립 이후 부부관계의 변화와 적응과정에서 부부의 협력적 태도, 서로를 향한 측은지심, 좋은 부모이고 싶은 소망, 사회지지체계, 개인 내적 변인은 부부가 변화에 적응하는 원동력이 된 반면, 누적된 갈등을 풀어내지 못함, 비협력적 태도, 적정선에서 타협하기, 느슨한 연결 고려하기, 끊임없이 협박이나 비난하기는 관계의 변화를 위한 시도와 포기하기를 반복하며 적응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는 자녀독립 이후 부부관계 변화와 적응과정을 이해하고 가족생활주기 변화에 따른 상황과 맥락 안에서 요인 간 상호작용을 포괄적으로 탐색함으로, 자녀독립이후 부부가 경험하게 되는 적응과정에 대한 실체적인 이론을 도출하고, 나아가 가족생활주기 변화에 따른 부부의 적응과정을 이해하는 임상적 자료를 제공했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기본세계관이 외상후스트레스 증상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와 정서조절곤란의 순차매개효과
김주현(성균관대학교) ; 장혜인(성균관대학교) pp.407-42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친밀한 관계에서의 폭력 피해 이후, 자기, 세계, 타인에 대한 기본세계관이 외상후스트레스 증상으로 이어지는 심리적 기제를 알아보기 위해, 기본세계관과 외상후스트레스 증상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와 정서조절곤란의 역할에 주목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134명(남성 77명, 여성 57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통한 자료수집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본세계관은 외상후스트레스 증상을 부적으로 예측하였다. 둘째, 기본세계관과 외상후스트레스 증상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기본세계관과 외상후스트레스 증상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넷째, 기본세계관과 외상후스트레스 증상의 관계를 사회적 지지와 정서조절곤란이 순차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사회적 지지가 기본세계관과 정서조절곤란을 통해 외상후스트레스 증상을 설명하는 순차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기본세계관과 사회적 지지의 양방향 관계의 가능성이 제시되었다. 본 연구는 외상후스트레스 증상의 기제에서 중요한 것으로 여겨지는 인지적, 사회적, 정서적 요인을 하나의 모형에서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존재한다.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emotion dysregulation in the pathway from the world assumptions to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after suffering intimate partner violence. Considering the bidirectional relationship, the alternative model was established to verify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the world assumptions and emotion dysregul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For this study, a total of 134 college students (77 males, 57 females) completed questionnaires through online survey. As a result, there were significant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emotion dysregul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ld assumptions and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In other words, individuals with lower positive world assumptions showed lower perceived social support, higher levels of emotion regulation difficulties, and higher levels of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Furthermore,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an alternative model were also significant, supporting the bidirectional relationship between world assumptions and social support. Finally,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성폭력상담소 상담활동가의 여성주의상담 실천 과정에 대한 질적 연구
정종숙(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 성승연(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pp.425-44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성폭력상담소 상담활동가의 여성주의상담 실천 과정을 탐색하고 체계화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성폭력상담소에서 여성주의상담 정체성을 가지고 활동하는 5명의 상담활동가를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고, 질적 연구 중 Strauss와 Corbin(1998)의 근거이론 방법론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개방코딩을 통하서 80개의 개념, 24개의 하위범주, 13개의 상위범주를 도출하고, 축코딩을 통하여 패러다임 모형을 기반으로 범주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선택코딩을 통하여 핵심범주 ‘여성주의상담 원리 실천의 어려움으로 회의감이 듦에도 원리와 기법을 실천하려는 의지와 노력, 여성주의상담 역량강화, 성폭력 이슈대응 활동을 통해 개인적ㆍ사회적 변화를 보면서 자부심과 소명의식을 느낌’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성폭력상담소 상담활동가의 여성주의상담 실천 과정에 대해서 논의하였고, 연구의 의의와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nd systematize the process of practicing feminist counseling by counseling activists in sexual violence counseling centers. To this e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five counseling activists working with feminist counseling identity at the sexual violence counseling center, and th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trauss and Corbin’s grounded theory methodology among qualitative studies. As a result of the study, 80 concepts, 24 subcategories, and 13 upper categories were derived through open coding,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categories was analyzed based on a paradigm model through axial coding. Through selective coding, the core category ‘feels of pride and a sense of vocation while seeing individual and social changes despite skepticism due to difficulties in practicing the principles of feminist counseling, strengthening feminist counseling capabilities, and responding to sexual violence issues’ was deriv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process of practicing feminist counseling by counseling activists at sexual violence counseling centers was discussed, and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made.

일반 성인의 가정폭력 경험과 공격성의 관계: 사회적 지지로 조절된 자기통제의 매개효과
이경진(단국대학교 일반대학원) ; 이창현(하나임상심리연구소) pp.447-476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가정폭력과 공격성의 관계를 자기통제가 매개하는지 살펴보고, 사회적 지지가 이러한 매개효과를 조절하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전국의 성인 316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여 가정폭력 경험, 자기통제, 사회적지지, 공격성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고 조절된 매개효과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폭력 경험과 공격성의 관계에서 자기통제의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정폭력과 공격성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셋째, 가정폭력과 공격성의 관계에 대한 자기통제의 매개효과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조절 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가정폭력 경험이 자기통제를 통해 공격성으로 이어지는 경로는 사회적 지지의 수준에 따라 차이가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가정폭력 경험이 공격성으로 이어지는 과정에서 자기통제를 경유할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나아가 자기통제가 공격성으로 이어질 때 사회적 지지가 두 변인 사이를 조절할 가능성이 시사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갖는 의의와 한계, 후속 연구를 위한 제안점을 논의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whether self-control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domestic violence and aggression and verified whether social support moderated this mediating effect. To this end,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316 adults, and the mediating effect was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ediating effect of self-control was found to be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xperience of domestic violence and aggression. Second,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was found to be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omestic violence and aggression. Third,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mediating effect of self-contro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omestic violence and aggression was found to be significa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path from domestic violence experience to aggression through self-control is moderated by the social support. Therefore, when a person who has experienced domestic violence exhibits aggression, the provision of social support along with interventions including promotion of self-control may be useful.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