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access
메뉴본 연구는 비자살적 자해를 하는 성인 진입기 여성이 경험하는 ‘자기’를 과거, 현재, 미래를 포함한 자서전적 내러티브를 통해 탐색하려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비자살적 자해 경험이 있는 성인 진입기 여성 10명을 대상으로 반구조화 면담을 실시한 후 현상학적 질적 연구의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과거의 자기로 ‘가정에서 내팽개쳐져 쪼그라든 자기’, ‘또래 집단에서 거부되어 홀로인 자기’, ‘아프고 약한 부끄러운 자기’를 확인하였다. 현재의 자기로 ‘채워지지 않은 공허한 자기’, ‘수치스럽고 용납할 수 없는 자기’, ‘감추어진 자기’, ‘몸으로 아픔을 드러내는 자기’를 확인하였다. 미래의 자기로 ‘성장하여 타인에게 도움을 주고 싶은 선명한 자기’, ‘막막하고 흐릿한 자기’, ‘아픔에 머물러 있으려는 자기’를 확인하였다. 자기의 맥락에서 비자살적 자해는 ‘자기를 물리적으로 확인하고자 하는 비자살적 자해’, ‘자기의 확인을 통해 몸과 마음의 고통을 달래는 비자살적 자해’, ‘자기를 훼손시키는 비자살적 자해’의 의미가 있었다. 본 연구는 비자살적 자해를 하는 20대 성인 진입기 여성이 체험하는 자기의 주요한 모습을 이들의 언어적 진술을 통해 탐색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autobiographical self of emerging adult women with non-suicidal self-injury(NSSI).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0 women aged 19 to 23 with experiences of NSSI within the last month.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collect the qualitative data.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nterview data by the method of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research, their past self experiences included ‘the abandoned and shriveled self’, ‘the rejected and stand-alone self’, and ‘the sick and weak self’. Their present self experiences included ‘the empty self’, ‘the shameful and unacceptable self’, ‘the hidden self’, and ‘the self manifesting via the bodily pain’. Future self included ‘the clear self which wants to grow up and help somebody’, ‘the hazy and blurred self’, and ‘the self which wants to stay in pain’. The meanings of NSSI in the context of the self included ‘NSSI as the physical confirmation of the suffered self’, ‘NSSI as the relief of the pain of the mind and body by confirming the self’, and ‘NSSI as the damage to the self’. The study explored the autobiographical self of the emerging adult women with NSSI through their language and discovered the NSSI as physical confirmation of the suffered self.
본 연구는 나르시시즘과 성별이 성폭력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대학생 133명으로 구성되었으며 참여자들은 데이트 상황에서 성폭력이 발생하거나 발생하지 않는 시나리오 중 하나를 읽고, 성폭력 인식과 관련된 5개의 문항(여성 거절의 진심, 여성의 불쾌감, 여성의 성적 만족, 남성 행동의 폭력성, 남성 행동의 남성성)에 답하였다. 그 결과, 대부분의 경우에서 참여자 성별과 성관계 여부 간, 그리고 나르시시즘과 성관계 여부 간 이원상호작용이 유의하게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여성에 비해 남성이, 나르시시즘이 낮은 사람에 비해 높은 사람이 성폭력에 대해 더 관대하였다. 본 연구는 일상에서 발생하기 쉬운 데이트 성폭력 상황을 사용하여 성별이 성폭력 인식의 관대함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재확인하였고, 더 중요하게는 나르시시즘이 성폭력 인식의 관대함과 관련이 있음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narcissism and gender on perceptions of sexual violence. Participants consisted of 133 undergraduate students who read one of two scenarios in which sexual violence did or did not occur in a dating situation and answered five questions related to perceptions of sexual violence: sincerity of woman’s refusal, woman’s unpleasantness, woman’s sexual satisfaction, violence of man’s behavior, and masculinity of man’s behavior. The results showed significant two-way interactions between participant gender and sexual violence (present vs. absent) and between narcissism and sexual violence in most cases. Specifically, men and individuals high in narcissism were more tolerant of sexual violence compared to women and those low in narcissism, respectively.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literature in that it replicated the effect of gender on perceptions of sexual violence using the everyday context of dating sexual assault. More importantly,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narcissism is related to tolerant perceptions of sexual assault.
최근 데이트폭력과 관련된 사회적 문제가 연일 증가하고 있어 근본적인 해결책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깊이 있는 현상이해가 필요하다. 특히, 데이트폭력 가해자로 주로 지목되는 성인 초기 남성의 데이트폭력 경험을 깊이 탐구해 봄으로써 이를 해결하기 위한 실마리를 찾아 나갈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데이트폭력 경험이 있는 성인 초기 남성 6인과의 인터뷰를 실시하였고, 그 자료를 질적 연구 분석 방법인 현상학을 통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34개의 소주제와 9개의 대주제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들은 ‘나야말로 집착의 희생양’, ‘내로남불의 끝없는 갈등’, ‘관계 만족도가 떨어진 연애’, ‘피해 앙갚음으로 시작된 가해’, ‘가해 행동에 대한 정당성 ’, ‘남자의 자존심을 건드린 분노와 수치심’, ‘주체할 수 없는 분노와 충동’, ‘참다가 터져버린 가해의 억울함’, ‘남자만 지목되는 사회의 부당함과 여성증오’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데이트폭력 경험이 있는 성인 초기 남성들에게 이성과의 관계에서 표현할 수 없었던 피해의 경험 및 해결이 힘든 갈등의 주제들이 있었음을 나타내 주었고, 분노조절의 어려움 및 가해 행위에 대한 정당성 부여 등 높은 폭력 허용성과 사회적 역할기대로 부과된 무의식적 압력의 영향을 드러내 줄 수 있었다. 이를 선행연구 결과와 비교하는 가운데 논의하였고, 한계점에 대해서도 언급하였다.
Recently, social problems related to dating violence have been increasing day by day. It is necessary to find clues to solve this problem by deeply exploring the experience of dating violence in early adult males, who are considered perpetrators of dating violence. For this purpose,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6 early adult males who experienced dating violenc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Phenomenology method. As a result, early adult male’s dating violence experience were categorized into 38 sub categories and 10 essential categories. The early adult male’s dating violence experience "I'm the victim of obsession," "Endless conflict relationship problem," "Love with poor romantic relationship satisfaction," "Injury and shame that touched a man's pride," "Uncontrollable anger and impulses," and "the injustice of the offense". These results were discussed in comparative analysis with previous studies and limitations were also presented.
사이버 스토킹 범죄가 날로 심각한 사회 문제로 부각되고 있으나, 이러한 사이버 스토킹에 대한 일반인들의 인식과 사건 판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우선 사이버 스토킹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피고인과 피해자 사이의 관계와 판단자의 성별을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더불어, 대인관계에서의 문제나 갈등 상황, 상호작용 능력과 관련이 높다고 알려진 대인관계 유능성, 관계적 공격성 등 판단자의 심리사회적 특성에 따라 사이버 스토킹 범죄의 심각성 및 피고인과 피해자의 책임이나 비난 등 사건에 대한 판단이 달라지는지 살펴보았다. 20대부터 50대까지 총 160명(남녀 각각 80명)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피고인이 전 연인일 때보다 서로 모르는 관계일 때 사이버 스토킹 사건의 심각성이 더 높다고 판단하고 피고인을 더 비난하며, 피해자의 책임은 더 적다고 판단하였다. 판단자의 관계적 공격성이 낮을수록 스토킹 사건의 심각성을 더 높게 판단하였으며, 피고인을 더 비난하였다. 판단자의 성별이 사이버 스토킹 사건에 대한 판단에 미치는 영향에서 관계적 공격성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즉, 여성일수록 관계적 공격성이 높고, 관계적 공격성이 높을수록 스토킹 사건의 심각성을 낮게 평가하고 피고인을 덜 비난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사이버 스토킹 피해자 보호 등에 대해 갖는 형사정책적 시사점과 한계에 대해 논의하였다.
Although cyber stalking has become one of the most serious social issues, there are a few studies on factors related to judgment of cyber stalking. We investigated factors affecting judgment of cyber stalking such as offender-victim relationship and gender. We also explored whether judgment of seriousness of cyber stalking, offender/victim responsibility, and offender/victim blame were affected by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relational aggression, which is known to be related to interpersonal problem and conflict, and interaction skills. Based on a sample of 160 people (80 males, 80 females) in their twenties to fifties, the study showed that the seriousness of cyber stalking which occurred between strangers than ex-lovers was evaluated more highly, the offender was blamed more, and the responsibility of the victim for the cyber stalking was evaluated lower. The lower the relational aggression, the higher the seriousness of cyber stalking was evaluated, and the more highly blamed the offender. The effect of gender on judgment of cyber stalking was mediated by the level of relational aggression. Women than men were more likely to have a high level of relational aggression, which in turn led to lower judgment of the seriousness of cyber stalking and offender blame. Based on the results, we discussed criminal justice policy implications on cyber stalking victim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본 연구는 초기 발달 단계에 있는 다문화 상담자가 어떠한 경험을 하며 어떤 과정을 거치는지 심도 있게 이해하여 다문화상담자의 초기발달 과정을 설명할 수 있는 이론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현재 다문화 관련 기관에서 일하고 있는 상담자 7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고, Strauss와 Corbin(1998)이 제시한 근거 이론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108개의 개념, 46개의 하위범주, 19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패러다임 모형을 구성하여 범주 간의 관계를 파악하였으며, 축코딩과 선택 코딩을 통해 초기 발달 단계에 있는 다문화 상담자의 경험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다문화상담자의 초기발달이 갖는 특징을 논의하였고, 전통적인 상담 접근보다 유연한 상담 접근이 효과적인 다문화 상담에 대한 상담자 교육방향을 제언하였다. 본 연구는 현재 우리나라의 다문화상담자들이 경험하고 있는 초기발달 과정에서 전문성 향상을 위한 방향을 제공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였다는 의의를 갖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theory with which the early development process of multi-cultural counselors can be explained. Therefore, in-depth interviews with 7 counselors currently working at an organization related with the multi-culture are conducted. For the data analysis, the grounded theory method suggested by Strauss and Corbin (1998) is used amo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he question of this study is ‘what do multi-cultural counselors experience in the early developments and what features do they have?’ From the analysis with grounded theory, 108 concepts, 46 sub-categories and 19 categories are drawn. The paradigm model was constructed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categories, and through axial coding and selective coding, the experiences of multi-cultural counselors in the early development stage were examined. This study suggests that more flexible counseling approach rather than traditional one is effective for clients from multi-culture. It has in implication in that it provides basic data for indicating the orientation for enhancing professionalism in the early development process most of multi-cultural counselors are experiencing in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