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사이버 스토킹 사건 판단에 피해자와의 관계와 대인관계 유능성, 관계적 공격성이 미치는 영향

Judgment of Cyber Stalking by Offender-Victim Relationship,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Relational Aggression

초록

사이버 스토킹 범죄가 날로 심각한 사회 문제로 부각되고 있으나, 이러한 사이버 스토킹에 대한 일반인들의 인식과 사건 판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우선 사이버 스토킹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피고인과 피해자 사이의 관계와 판단자의 성별을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더불어, 대인관계에서의 문제나 갈등 상황, 상호작용 능력과 관련이 높다고 알려진 대인관계 유능성, 관계적 공격성 등 판단자의 심리사회적 특성에 따라 사이버 스토킹 범죄의 심각성 및 피고인과 피해자의 책임이나 비난 등 사건에 대한 판단이 달라지는지 살펴보았다. 20대부터 50대까지 총 160명(남녀 각각 80명)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피고인이 전 연인일 때보다 서로 모르는 관계일 때 사이버 스토킹 사건의 심각성이 더 높다고 판단하고 피고인을 더 비난하며, 피해자의 책임은 더 적다고 판단하였다. 판단자의 관계적 공격성이 낮을수록 스토킹 사건의 심각성을 더 높게 판단하였으며, 피고인을 더 비난하였다. 판단자의 성별이 사이버 스토킹 사건에 대한 판단에 미치는 영향에서 관계적 공격성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즉, 여성일수록 관계적 공격성이 높고, 관계적 공격성이 높을수록 스토킹 사건의 심각성을 낮게 평가하고 피고인을 덜 비난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사이버 스토킹 피해자 보호 등에 대해 갖는 형사정책적 시사점과 한계에 대해 논의하였다.

keywords
사이버 스토킹, 대인관계 유능성, 관계적 공격성, 피고인-피해자 관계, 피고인 비난, stalking, interpersonal competence, relational aggression, offender-victim relationship, offender blame

Abstract

Although cyber stalking has become one of the most serious social issues, there are a few studies on factors related to judgment of cyber stalking. We investigated factors affecting judgment of cyber stalking such as offender-victim relationship and gender. We also explored whether judgment of seriousness of cyber stalking, offender/victim responsibility, and offender/victim blame were affected by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relational aggression, which is known to be related to interpersonal problem and conflict, and interaction skills. Based on a sample of 160 people (80 males, 80 females) in their twenties to fifties, the study showed that the seriousness of cyber stalking which occurred between strangers than ex-lovers was evaluated more highly, the offender was blamed more, and the responsibility of the victim for the cyber stalking was evaluated lower. The lower the relational aggression, the higher the seriousness of cyber stalking was evaluated, and the more highly blamed the offender. The effect of gender on judgment of cyber stalking was mediated by the level of relational aggression. Women than men were more likely to have a high level of relational aggression, which in turn led to lower judgment of the seriousness of cyber stalking and offender blame. Based on the results, we discussed criminal justice policy implications on cyber stalking victim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keywords
사이버 스토킹, 대인관계 유능성, 관계적 공격성, 피고인-피해자 관계, 피고인 비난, stalking, interpersonal competence, relational aggression, offender-victim relationship, offender blame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