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Factor structure of Revised Adolescent Personality Assessment Inventory(PAI-A) : to normal juveniles and juvenile delinquents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and compare the factor structure inherent in the Adolescent Personality Assessment Inventory(PAI-A) data of general and delinquent adolescents. And analysing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deducted factor structures of two target groups. For the purpose, there was carrying out of analysis with 39 scales which contains 31 subscales of Revised PAI-A. As the result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4 to 6 factors model seems to appropriate for both target groups, but the results, except for the model which contain low explained variance or corss loading, were as follows: In case of normal juvenile group, 6 factors model is appropriate for normal juvenile. And in case of juvenile delinquents group, 5 factors model is appropriate for juvenile delinquents. Next, result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conformity of the two preceding models is acceptable level. Therefore, subscale of Revised PAI-A can differentiate well between characteristics of normal juveniles and juvenile delinquents. At the end of this paper, there is discussion of this research’s significant meaning and the limits of this research. after explanation of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deducted factor structures of two target groups.

keywords
Revised PAI-A, Juvenile delinquents, factor structur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PAI-A 증보판, 요인구조, 비행 청소년,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Reference

1.

강현철 (2013). 구성타당도 평가에 있어서 요인분석의 활용. 대한간호학회지, 43(5), 587-594.

2.

김대진, 박민철, 이귀행, 이상열, 오상우 (2015). 청소년 성격평가질문지 요인분석. 소아청소년정신의학, 26(3), 226-235.

3.

김시형, 이동훈, 최준섭, 이도영 (2018). 청소년의 학교적응과 우울, 불안의 관계에서 모와 부애착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30(4), 1301-1326.

4.

김영환, 권해수, 김지혜, 박은영, 박중규, 오상우, 이수정, 이은호, 조은경, 황순택, 홍상황 (2019). 청소년용 성격평가 질문지 증보판. 서울; 학지사.

5.

김영환, 김지혜, 오상우, 이수정, 조은경, 홍상황 (2006). 청소년 성격평가질문지 지침서(개정판). 서울: 인싸이트.

6.

김영환, 김지혜, 오상우, 이수정, 조은경, 홍상황 (2014). 청소년 성격평가질문지 지침서(개정판). 서울: 인싸이트.

7.

김영환, 오상우, 홍상황, 박은영 (2009). PAI의 임상적 해석. 서울: 학지사.

8.

김정민, 장영희 (2015). 청소년 스트레스와 신체화증상의 관계: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스트레스硏究, 23(4), 187-196.

9.

김효창 (2013). 혼자서 완성하는 통계분석. 서울;학지사.

10.

노나나, 홍창희 (2017). 청소년의 학대 경험과 복합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Complex PTSD)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와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30(1), 1-19.

11.

남정민, 성현란, 권선영 (2014). 지각된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애정적 양육이 남․여 중학생의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7(3), 147-167.

12.

민수홍 (2002). 여자청소년의 자기 통제력이 비행과 범죄에 미치는 영향. 형사정책연구, 13(1), 35-66.

13.

민원홍 (2014). 비행청소년의 재비행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보호관찰대상 청소년을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연구, 25(2), 265-290.

14.

박은영, 홍상황, 강덕규, 김영환 (2001). PAI의 요인구조.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0(3), 583-594.

15.

서수균 (2007). 자존감과 자기애 수준에 따른 분노사고, 신념, 분노표현의 차이. 한국심리학회지:상담 및 심리치료, 19(3), 719-734.

16.

송보경, 이주영 (2014). 냉담-무정서 특질과 자기애적 성격성향이 보호관찰대상 청소년의 비행에 미치는 영향 및 성차.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33(3), 633-658.

17.

신영훈, 박선영 (2016). 청소년의 대인관계 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 검토. 청소년복지연구, 18(1), 235-259.

18.

심응철 (1999). 청소년의 충동성 및 공격성과 폭력행동의 상관관계.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2(2), 24-34.

19.

오상우 (2006). 성격평가질문지의 탐색적 요인분석. 원광의과학, 21(1), 93-102.

20.

이나영, 하수홍, 장문선 (2017). 아동기 정서적외상경험과 성인기 우울 간의 관계에서 분노억제와전위공격성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8(2), 203-222.

21.

이동원 (2004). 비행 청소년의 자아개념과 재범가능성. 교정연구, 24, 39-68.

22.

이순묵 (2000). 요인분석의 기초. 서울: 교육과학사.

23.

이순성 (2010). 청소년 삶의 만족도와 관련 변인의 종단적 추이 분석(박사학위논문). 강원대학교, 춘천

24.

이슬아, 김근향, 육기환 (2012). 청소년의 내재화 및 외현화 장애 평가와 진단에서 K-CBCL과MMPI-A의 유용성.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31(1), 391-399.

25.

이은주 (2000). 청소년 비행에 대한 자아개념과 사회적 지지의 상호작용효과. 청소년학연구, 7(1), 149-168.

26.

임소희, 황순택, 권해수, 김지혜, 박은영, 박중규, 이수정, 이은호, 홍상황 (2018). PAI-A (Personality Assessment Inventory for Adolescent) 재표준화 연구: 신뢰도와 타당도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임상심리 연구와 실제, 4(3), 435-454.

27.

장지윤, 이경순, 장은영 (2014). 수형자들의 기질과 아동기 외상경험이 공격성과 충동성에 미치는 효과: 도덕 판단력과 도덕 정서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7(3), 1-20.

28.

정진경, 오경자, 문경주, 조아라 (2005). 부모와의 관계에 대한 청소년의 지각과 비행: 정서적 자율성과 행동적 자율성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4(4), 755-770.

29.

한상철 (2006). 청소년의 위험행동과 삶의 질: 위험행동에 대한 보호요인의 역할. 한국심리학회지:사회문제, 12(5), 99-116.

30.

탁진국 (2007). 심리검사 개발과 평가방법의 이해. 서울: 학지사.

31.

홍상황, 한태희 (2010). 한국판 성격평가질문지(PAI) 하위척도의 요인구조. 한국심리학회지:임상, 29(3), 895-905.

32.

홍세희 (2000). 구조 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선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9(1), 161-177.

33.

홍세희, 정송, 노언경 (2016). 청소년의 자살생각과 위험요인에 대한 메타분석. 청소년학연구, 23(5), 153-179.

34.

홍태화, 황순택, 김율리 (2018). 한국판 DSM-5 성격질문지(K-PID-5) 타당화. 한국심리학회지:임상, 37(4), 558-572.

35.

홍슬기, 박경 (2017). 청소년의 강박적 신념이 강박행동에 미치는 영향. 재활심리연구, 24(3), 457-472.

36.

Barber, B. K., Bean, R. L., & Erickson, L. D. (2002). Expanding the study and understanding of psychological control. In B. K. Barber (Ed.), Intrusive parenting:How psychological control affects children and adolescents, (pp. 263-289).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37.

Boyle, G. J., & Lennon, T. J. (1994). Examination of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Personality Assessment Inventory. Journal of Psychopathology and Behavioral Assessment, 16(3), 173-188.

38.

Byrne, B. M. (2001).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mos: Basic concepts, applications, programming.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39.

Cicchetti, D., & Rogosch, F. A. (2002). A developmental psychopathology perspective on adolescence.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70 (1), 6-20.

40.

Deisinger, J. A. (1995). Exploring the factor structure of the Personality Assessment Inventory. Assessment, 2(2), 173-180.

41.

Floyd, F. J., & Widaman, F. K. (1995). Factor analysis in the development and refinement of clinical assessment instruments. Psychological Assessment, 7(3), 286-299.

42.

Hoelzle, J. B., & Meyer, G. J. (2009). The invariant component structure of the Personality Assessment Inventory (PAI)Full Scales.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91(4), 175-186.

43.

Irwin, C. E., Jr. (1993). Adolescent and risk taking: How are they related?. In N. J. Bell & R. W. Bell (Eds.), Adolescent risk taking, Newbury Park, CA: Sage.

44.

Kaiser, H. F. (1974). An index of factorial simplicity. Psychometrika, 39(1), 31-36.

45.

Marsh, H. W., Balla, J. R., & McDonald, R. P. (1988). Goodness-of-fit indexes i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effect of sample size. Psychological bulletin, 103(3), 391.

46.

Morey, L. C. (1991). The Personality Assessment Inventory professional manual. Odessa, FL: Psychological Assessment Resources.

47.

Morey, L. C. (2007). Personality Assessment Inventory-Adolescent professional manual. Lutz, FL: Psychological Assessment Resources.

48.

Nimon, K., & Reio, T. G. (2011). Regression commonality analysis: a technique for quantitative theory building. Human Resource Development Review, 10 (3), 329-340.

49.

Proctor, C., Linley, P. A., & Maltby, J. (2009). Youth life satisfaction measures: A review. Journal of Positive Psychology, 4(2), 128-144.

50.

Schinka, J. A. (1995). Personality Assessment Inventory scale characteristics and factor structure in the assessment of alcohol dependency.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64(1), 101-111.

51.

Shapiro, F., & Maxfield, L. (2003). EMDR and information processing in psychotherapy treatment. In Solmon M. F., & Siegel D. J (Eds.), Healing Trauma; Attachment, Mind, Body, and Brain (pp. 196-220). NY:Norton.

52.

Thorndike, R. L. (1992). Intelligence tests:What we have and what we should have. Paper presented at the meeting of the National Association of School Psychologists, Nashville, TN.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