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성별과 성역할 고정관념에 따른 진로타협 과정에서 선호도 차이

The Differences of Preference in the Career Compromise Processes Depending on Gender and Sex-role Stereotype

초록

본 연구는 대학생 집단을 대상으로 진로타협 과정의 사회적 명성, 성특성, 흥미 간의 선호도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히 선행연구들에서 보고된 성별에 따른 차이와 성역할 고정관념이라는 심리적 변인을 고려하여 타협과정에서 성별과 성역할 고정관념에 따른 선호도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알아보았다. 연구 참가자들은 서울 소재 대학교에서 심리학 관련 과목을 수강하고 있는 대학생 370명(남자 237명, 여자 133명)으로 직업선호도 검사, 성 고정관념, 직업의사결정 타협과정 쌍별 비교표로 구성된 설문지에 응답하였다. 반복측정 결과 성별과 성역할 고정관념에 따라 세 개의 타협 요인들의 선호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사회적 명성, 흥미, 성특성 순으로 선호도를 보였지만 남학생들은 높은 사회적 명성을 위해 성특성과 흥미를 타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여학생들은 성특성보다는 사회적 명성에 유의미한 선호도를 보였으나 사회적 명성과 흥미 간의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또한 성역할 고정관념에 따른 진로타협과정의 선호도 차이도 나타났는데 성역할 고정관념을 덜 가지고 있는 집단일수록 자신의 흥미를 위해 성특성을 타협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성역할 고정관념을 많이 가지고 있는 집단에서는 자신의 흥미를 위해 성특성을 타협하지 않았다.

keywords
career compromise, gender differences, sex-role stereotype, interest, sex type, social prestige, 진로타협, 성차, 성역할 고정관념, 흥미, 직업적 성특성, 사회적 명성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areer compromise processes of university students by comparing the relative importance of sex type, social prestige, and interests based on Gottfredson's (1981) theory. A total of 370 undergraduates (237 males and 131 females) at two large universities in Seoul, South Korea participated in return for extra credit in their introductory psychology classes. The results of repeated measures analysis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s in the relative importance among three Gottfredson compromise aspects. Even though both men and women placed the greatest importance on social prestige, men seemed to sacrifice interests for higher social prestige, but women did not. In addition, there were significant effects of sex-role stereotype on the career compromise processes. Interests were preferred to sex type for students with lower levels of sex-role stereotype, but not for students with higher levels of sex-role stereotype.

keywords
career compromise, gender differences, sex-role stereotype, interest, sex type, social prestige, 진로타협, 성차, 성역할 고정관념, 흥미, 직업적 성특성, 사회적 명성

참고문헌

1.

김동일 (1991). 성의 사회학. 서울: 문음사

2.

김미연, 방희정 (2005). 진로타협과정에서의 성별과 출생순위에 따른 선호도 차이.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0, 173-188.

3.

김정택, 김명준, 심혜숙 (2000). 진로탐색검사 활용가이드. 서울: 한국심리검사연구소.

4.

노동부 (1999). 여성유망직종 70선. 노동부.

5.

안창규 (1997). 진로 및 적성탐구를 위한 코드 분류. 서울: 한국가이던스.

6.

이기학 (1997). 고등학생의 진로태도성숙과 심리적 변인들과의 관계.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7.

이기학 (2005). 진로선택타협과정에서 보이는 선호도에 대한 생물학적 성과 성역할 특성의 상호작용효과연구. 상담학연구, 6, 849-859.

8.

이기학, 조미랑 (2003). 인문계 고등학생의 진로의사결정 타협과정에서 보이는 남녀 간 선호도 차이.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8, 1-13.

9.

이성현 (1994). 초등학교 아동의 성역할 고정관념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정영희 (2002). 흥미 유형 및 성역할 정체감에 따른 진로 의사결정 타협과정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중앙고용관리소 (1998). 여성취업가이드. 노동부: 중앙고용정보관리소.

12.

탁진국 (1995). 한국 대학생의 직업에 대한 성고정관념: 성별, 성역할유형 및 문화에 따른 차이.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8, 161-174.

13.

통계청 (2001). 한국표준직업분류. 통계청.

14.

한국산업인력관리공단 (2002). 우리나라 직업지도: 산업직업별 고용구조. 노동부: 한국산업인력공단 중앙고용정보원.

15.

행동과학연구소 (2001). 직업선호도검사. 서울: 한국노동연구원.

16.

황매향, 김계현 (2001). 진로의사결정에서의 타협과정에 관한 연구동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3, 111-124.

17.

Beuf, A. (1974). Doctor, lawyer, household drudge. Journal of Communications, 24, 142-145.

18.

Blanchard, C. A., & Lichtenberg, J. W. (2003). Compromise in career decision making: A test of Gottfredson's theory.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62, 250-271.

19.

Erikson, E. (1968). Identity, youth, and crisis. New York: Norton.

20.

Gati, I. (1993). Career compromise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0, 416-424.

21.

Gati, I., Houminer, D., & Aviram, T. (1998). Career compromises: Framings and their implication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5, 505-514.

22.

Gottfredson, L. S. (1981). Circumscription and compromise: A developmental theory of occupational aspiration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Monograph, 28, 545-579.

23.

Gottfredson, L. S. (1996). Gottfredson's theory of circumscription and compromise. In D. Brown, L. Brooks, & Associates (Eds.#, Career choice and development #pp. 179-232). San Francisco, CA: Jossey-Bass Publishers.

24.

Hesketh, B., Durant, C., & Pryor, R. (1990). Career compromise: A test of Gottfredson's (1981) theory using a policy-capturing procedure.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36, 97-108.

25.

Hesketh, B., Elmslie, S., & Kaldor, W. (1990). Career compromise: An alternative account to Gottfredson's theory.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7, 49-56.

26.

Holland, J. L. (1973). Making vocational choices: A theory of careers.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27.

Holt, P. A. (1989). Differential effect of status and interest in the process of compromise.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6, 42-47.

28.

Leong, F. T. L. (1991). Career development attributes and occupational values of Asian American and White American college students. Career Development Quarterly, 39, 221-232.

29.

Leung, S. A. (1993). Circumscription and compromise: A replication study with Asian American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0, 188-193.

30.

Leung, S. A., Ivey, D., & Suzuki, L. (1994). Factors affecting the career aspirations of Asian Americans. Journal of Counseling and Development, 72, 404-410.

31.

Leung, S. A., & Plake, B. S. (1990). A choice dilemma approach for examining the relative importance of sex type and prestige preferences in the process of career choice compromise.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7, 399-406.

32.

Shepard, W. O., & Hess, D. T. (1975). Attitudes in four age groups toward sex role division in adult occupations and activitie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6, 27-39.

33.

Super, D. E. (1953). A theory of vocational development. American Psychologist, 8, 185-190.

34.

Taylor, N. B., & Pryor, R. G. L. (1985). Exploring the process of compromise in career decision making.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27, 171-190.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