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권호 목록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문화적응과 정체성
박주희(충북대학교) ; 정진경(한양대학교) pp.395-432 https://doi.org/10.18205/kpa.2007.12.4.00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결혼을 통해 한국으로 온 이주여성들의 문화적응과 정체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알아보고 그들의 대처전략을 살펴보았다. 한국어 능력이 부족한 대상 집단의 특성 상 설문지를 이용한 조사는 적절하지 않아서 이주여성 10명을 대상으로 일 대 일 심층면접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다양한 관련 변인들을 체계적으로 밝혀내고 이들 간의 관계를 탐색하기 위해 질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범주화 결과 이주여성들의 문화적응 및 정체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은 크게 상황요인과 대처전략으로 나타났다. 상황요인의 하위범주로는 언어와 문화의 습득, 인간관계와 사회적 지원, 자녀양육, 한국사회의 이주여성 수용도가 발견되었다. 이주여성들은 이러한 상황요인으로 인해 발생하는 어려움에 대해 때로는 자신의 능력을 키우고 의견을 관철시키는 등 적극적인 문제해결책을 찾기도 하였고, 때로는 어려움을 그냥 참으며 상황이 바뀌기만을 소극적으로 기다리기도 하였다. 이주여성들의 문제 대처전략은 상황요인의 특성과 상호작용하였다. 상황이 호의적일 때는 좀 더 적극적으로 문제를 해결해가며 한국생활 만족감이 높아지는 반면, 사회적 지지가 미약하고 주변으로부터 단절된 경우 더 소극적이 되는 경향을 보였다. 상황요인과 대처전략은 이주여성들의 문화적응유형과 정체감에 영향을 미쳤는데, 이들의 문화적응유형은 대부분 동화와 통합으로 확인되었다. 동화와 통합을 적절히 혼합하여 사용하는 이주여성들의 경우 동화적 특성만 두드러지는 여성에 비해 더 활기차게 한국생활을 유지하는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일부 선행연구나 언론보도가 사회적 약자로서의 이들의 어려움과 부적응에 집중하여 이들이 차별과 고립 속에서 불행하게 산다는 고정관념이 형성된 것과는 달리, 이들이 단순한 사회적 약자, 피해자이기만 한 것이 아니고 어려운 상황에서도 다양한 적응전략을 구사하며 주체적으로 삶을 개척해가는 존재라는 점을 보여주었다.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actors influencing the acculturation and identity and the coping strategies of the immigrant wives of international marriages in Korea. Face-to-face in-depth interviews were carried out, and qualitative analyses were done in order to systematically identify the relevant factors and their relationships. Situational factors and coping strategies were found to be the two major categories influencing acculturation and identity. Sub-categories of the situational factors were found to be the acquisition of language and culture, relationships and social support, child rearing, and the acceptance by the Korean society. The women sometimes showed active problem-solving behaviors such as building up their abilities or taking assertive attitudes, and sometimes showed passive reactions such as enduring the difficulties or waiting for the situation to change. It was found that, when the situation was favorable, they tend to use more active problem-solving strategies, and achieved higher life satisfaction. The women's acculturation types were found to be mostly assimilation and integration. Those who freely adopt both types depending on the situation showed higher adjustment. The study revealed that these women are active builders of their new life using various strategies in the face of many difficulties, in contrast to the stereotype that they are maladjusted and isolated victims.

아동기 부모간 폭력 목격 경험이 대학생의 데이트 폭력에 미치는 영향 -폭력에 대한 태도와 분노 조절의 매개 효과-
이지연(연세대학교) ; 오경자(연세대학교) pp.433-450 https://doi.org/10.18205/kpa.2007.12.4.002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간 폭력 목격 경험이 데이트 폭력에 미치는 영향을 폭력에 대한 태도와 분노 조절이 매개하는지를 이론적 모형 검증을 토해 확인하려는 것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 설정한 폭력에 대한 태도 및 분노 조절의 완전매개 모형과 부분 모형을 비교함으로써 어떤 모형이 현상을 보다 효과적으로 설명해주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377명(남자 178명, 여자 199명)을 표집하여 아동기 부모간 폭력 목격 경험, 데이트 폭력 가해 경험, 폭력에 대한 태도, 분노 조절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는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가정한대로 아동기 부모간 폭력 목격 경험이 폭력에 대한 태도 및 분노 조절을 거쳐 데이트 폭력 가해 행동으로 가는 경로가 모두 유의하였으며, 폭력에 대한 태도 및 분노 조절의 완전매개 모형의 적합도는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간 폭력 목격 경험에서 데이트 폭력으로 가는 직접 경로를 추가한 부분매개 모형과 완전매개 모형을 비교한 결과, 부분매개 모형에 포함된 부모간 폭력 목격 경험에서 데이트 폭력으로 가는 직접 경로가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폭력에 대한 태도 및 분노 조절의 완전매개 모형이 부모간 폭력 목격 경험과 데이트 폭력 가해 행동 간의 관계를 이해하는 데 적절한 모형이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중심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attitudes toward dating violence and anger regul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experience of witnessing their parents' marital violence and dating violence among college students. 377college students enrolled in introductory psychology courses completed questionnaires on witnessing parental violence, attitude toward dating violence, anger regulation, and dating violence.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students exposed to greater parental violence were more likely to view violence as justifiable in a dating relationship and had more difficulty with anger management, which were associated with higher levels of physical and psychological violence toward their own dating partners. (2) The results further revealed that attitudes toward dating violence and anger regulation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witnessing marital violence and dating violence.

집단범주화, 개인 및 집단의 수행수준이 외집단 구성원 선택에 미치는 효과
장보현(인천아동보호전문기관) ; 장은영(한양대학교) ; 한덕웅(성균관대학교) pp.451-469 https://doi.org/10.18205/kpa.2007.12.4.003
초록보기
초록

내집단과 개인의 수행수준 및 집단간 범주화의 특출성 수준이 개인이동전략의 사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또한 외집단에 비해서 내집단을 더 편애하는 경향이 남성보다 여성에게서 더 높다는 선행연구들의 결과에 근거하여 성별이 내집단과 개인의 수행수준 및 집단간 범주화의 특출성 수준의 효과를 조절하는지도 알아보았다. 대학생 190명을 대상으로 성별범주를 달리해서 집단 범주화의 특출성을 조작하였으며, 집단 과제를 수행하고 나서 다른 집단과 수행을 비교하여 집단 수행수준을 조작하고, 옆 사람과의 수행을 비교하여 개인 수행수준을 조작하였다. 결과를 보면, 성공한 집단에 비해서 실패한 집단이 개인이동전략을 더 사용하였다. 또한 집단이 실패하고 개인이 성공하면 개인이 실패한 경우보다 개인이동전략을 더 사용하였다. 이러한 경향은 집단 범주가 특출한 조건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는데, 집단이 실패할 때 개인이 성공하면 개인이 실패한 경우보다 개인이동전략을 더 사용하였으나 집단 범주화가 특출하지 않은 조건에서는 이러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한편, 남성동성으로 범주화된 조건보다 여성동성으로 범주화된 조건에서 집단이 실패했을 때 개인이 성공하면 개인이동전략을 더 사용하는 경향을 보였다. 끝으로 이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추후 연구점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Abstract

Present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success/failure feedback of group and individual on the choice of individual mobility strategy with a factorial design of 3×2×2. In addition, the effect of social categorization was also tested. Salience level of social categorization was manipulated by gender composition of subjects of ingroup and success/failure of ingroup and individual was manipulated by a feedback of performance after novel perceptual test. The experimental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articipants who were informed that their group failed, chose outgroup member as their partner at the next test more than those who were informed that their group succeeded. Also, in the condition of ingroup failure, participants who informed their individual score was successful, chose outgroup member more than those informed their individual score was failure. Furthermore, significant three-way interaction showed that the choice of outgroup member among the participants who succeeded in failed group increased when social categorization was salient. Particularly, female subjects showed stronger response than male. Implication and limitation of present study were discussed.

성인애착과 성별에 따른 대인관계 양식의 차이
노경란(이화여자대학교) ; 방희정(이화여자대학교) ; 조혜자(이화여자대학교) pp.471-490 https://doi.org/10.18205/kpa.2007.12.4.004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우리나라 성인들의 애착특성 중에서 부, 모와의 애착안정성 및 애착유형에 따라, 그리고 성별차이에 따라서 대인관계 양식은 어떤 특성을 나타내는지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예비연구로 성인애착유형과 관련된 여러 애착검사들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으며 4범주 애착유형모델을 애착유형검사로 채택하였다. 본 연구에서 성인남녀들에게 부, 모 애착척도, 4범주 성인애착유형척도와 관계적 자아검사(Relational Self Scale)를 실시하여 이원다변량분석(MANOVA)을 하였다. 그 결과 부모와의 애착안정성이 높은 집단은 안정적이고 긍정적인 애착유형을 보였으며 대인관계에서 공감배려와 긍정경험을 많이 하고 관계회피를 적게 하는 양상을 나타냈다. 부,모 애착안정성과 애착유형과 같은 성인애착특성에서는 성별에 따른 차이가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에 대인관계에서는 부, 모 애착안정성과 애착유형의 주효과 뿐만 아니라 성별에 따른 주효과도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일반적인 대인관계에서 성별에 따라 관계표현과 패턴이 달라짐을 암시한다. 연구결과는 애착과 관련된 심리발달적인 측면과 사회문화적인 측면에서 논의되었으며, 대인관계 양식에 좀 더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관계대상이나 상황과 같은 맥락적 변수를 고려하여 추후 연구가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is conducted to explore how relationship patterns are different according to attachment security and attachment styles, focusing on differences between the sexes. After the correlational analysis among the several attachment style questionnaires, four-category adult attachment style questionnaire by Bartholomew & Horowitz(1991) is selected for the Korean adults. With the Inventory of Parent Attachment, the Relational Self Scale(2007) is used to investigate relationship modes, which measures relational selves multi-dimensionally, taken into account of Korean culture. These Scales were administered to 529 Korean adults aging from 18 to 65years ol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Multiple Analysis of Anova (MANOVA), there are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s in the relationship patterns, while no differences are found in attachment security and among the four attachment styles between the sexes: The more secure attachment with one's parents, the more positive and secure relationship with others: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the dependent variables of relationship patterns according to the attachment styles except dependency variable: Women show higher scores than men on the positive relational experiences: men show higher scores than women on the instrumental relations. These results reflect that there are gender differences in general relationship patterns during the process of socialization, which is in accord with the former findings. In conclusion, main effects of the attachment security, attachment styles and gender differences on relationship patterns are found but no interaction effect. The results were discussed in terms of emotional-developmental and sociocultural viewpoints.

공공부문 여성 리더가 처한 조직 환경에 대한 인식: 조직 유형별 차이 분석
이선이(아주대학교) ; 윤소연(연세대학교) ; 김혜숙(경인교육대학교) pp.491-518 https://doi.org/10.18205/kpa.2007.12.4.00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공공부문의 조직에 존재하는, 여성 리더들의 업무수행을 불리하게 하는 조직 환경적 요인에 대한 인식과 그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정부와 공기업에서 NGO나 대학교에 비해 여성에게 불리한 조직 환경적 요인이 더 강하게 나타나리라는 가설을 검토하였다. 또한 여성 리더가 남성 리더보다 조직에서 여성에게 불리한 환경특성을 더 높게 인식하며, 아울러 심리적 건강과 리더십 효과성을 더 낮게 지각할 것이며, 이러한 남녀 리더의 성차는 정부와 공기업에서 대학교나 NGO에서보다 더욱 두드러질 것이라는 가설을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공기업, 정부, NGO 및 대학교에 재직하는 총 319명의 남녀 리더(여성 138명, 남성 181명)들에게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다른 조직 유형에 비해 공기업에서 여성에게 불리한 조직 환경에 대한 평가가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전반적으로 여성리더가 남성리더에 비해 조직 환경이 여성에게 더 불리하며 권력/지위가 더 낮고 집단자긍심 및 개인자긍심이 더 낮으며 또한 리더십 효과성이 더 낮다고 지각하였다. 또한 전반적으로 이러한 남녀간의 차이는 공기업에서 다른 조직에 비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의 이론적·실질적 의미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organizational environment of the public sector which put female leaders at a disadvantageous position. More specifically, we hypothesized that leaders in general would evaluate the anti-female organizational environments stronger for the government organization and the public enterprises than for the NGOs and the universities. We also hypothesized that female leaders in the government organization and the public enterprises in comparison with the NGOs and the universities, would perceive the organizational environment more at a disadvantage for females than male leaders would, and perceive their psychological strength as well as leader effectiveness lower than male leaders would. To investigate these hypotheses, we asked 319 leaders (females 138, males 181) in the public sector (i.e., the government, the public enterprises, the NGOs and the universities) to fill out a survey questionnaire.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in general people evaluated the anti-female organizational environment in the public enterprises stronger than in the other organizations.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in general female leaders evaluated the organizational environment for females more negatively, their power/status lower, self-esteem as well as collective self-esteem lower and their effectiveness as a leader lower than male leaders did. Furthermore, these gender differences were the most prominent in the public enterprises. These results were discussed in terms of theoretical as well as practical implications.

자아분화와 결혼적응의 관계: 우울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이명옥(충북대학교) ; 하정희(충북대학교) pp.519-535 https://doi.org/10.18205/kpa.2007.12.4.006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기혼여성을 대상으로 자아분화, 우울, 결혼적응의 관계를 살펴보고, 자아분화와 결혼적응의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자아분화 수준이 높을수록 결혼적응을 보다 잘한다는 선행연구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서, 본 연구에서는 자아분화 수준이 우울을 매개로 하여 결혼적응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가정하였다. 기혼여성 353명을 대상으로 회귀분석 및 경로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각 결혼적응 하위변인에 공통적으로 자아분화 하위변인인 인지적 기능 대 정서적 기능이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자아분화 하위변인인 가족투사, 인지적 기능 대 정서적 기능은 우울을 예측하는 중요한 변인이었다. 셋째, 자아분화와 결혼적응 간의 관계를 우울이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자아분화가 결혼적응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자아분화가 잘 이루어지지 않은 사람들의 효과적인 결혼적응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This study performed to inspect the relationship of differentiation of self, depression, marital adjustment, to find the mediational effect of depression in the relation between differentiation of self and marital adjustment. That is, if there is more differentiation of self, then depression might decrease, and hope would increase, which might be helpful to marital adjustment. The participants were 353 married women. The significant results were revealed as belows : Firstly, we found that cognitive function vs. emotional function, a commonly identified sub dimension of differentiation of self, influences each sub‐variation of marital adjustment. Secondly, we found that, when another dimension is controlled, as sub variation of differentiation of self, family projection, and cognitive function vs. emotional function significantly predicts depression. Thirdly, we found that depression has a role in medi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differentiation of self and marital adjustment. This study is meaningful as we examined the process that differentiation of self affect marital adjustment. Comprehension of this process has the potential to help the adjustment of people who have insufficient differentiation of self.

중·장년층 재취업 결정요인과 재취업 고용의 질에 관한 연구: 남녀 차이를 중심으로
김미희(중앙대학교) ; 탁진국(광운대학교) ; 한태영(충북대학교) ; 유태용(광운대학교) ; 한영석(광운대학교) pp.537-557 https://doi.org/10.18205/kpa.2007.12.4.00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성별, 연령, 결혼여부, 학력 등과 같은 인구통계적인 변인들이 재취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고, 성별에 따른 재취업여부와 재취업 고용의 질에 관해서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실직한지 2개월 이내의 중 장년층 실직자들(1539명)의 심리사회적 요인을 측정하고(T1), 1년 후 이들 중 959명의 재취업 실태를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재취업고용형태와 임금수준 예측요인에서 성별과 이전 직장 특성이 재취업자의 고용형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전 직장이 비정규직일수록, 임금수준이 낮을수록 비정규직으로 재취업할 확률이 높고 성별에 의해 낮은 고용의 질이 지속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재취업 성공과 실패에 따른 심리적 반응(불안, 우울, 신체화, 정신건강, 자존감)에 있어서는, 재취업자들보다는 취업에 성공했다가 다시 실직을 경험한 사람들과 계속 실직상태에 있는 사람들의 불안수준과 우울, 신체화 경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신건강과 자존감에 있어서는 재취업자들이 실직자들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재취업 실패로 인한 좌절감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남성보다는 여성들에게서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의의와 시사점 및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앞으로 실업자의 안정적인 고용형태로의 재취업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성과 연령에 의한 차별금지와 재취업에 관련된 다양한 정보의 제공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factors that influence on reemployment success and quality of Reemployed worker's job Quality of Middle aged People. First survey research was conducted using 1539 adult job seekers, and we examined the extent to job seeker's response of loss of job, psychological variable, social-economic variable and demographics variable. One year after, we conducted second research to investigate the states of reemployment 664 middle aged people. For the reemployment patterns, this research has the following result; sex(male), age(eraly 30's), marriage state, prior employment pattern(renured employment), prior wage level. are deteminant of reemplyment. On the other hand, reemployed worker's job quality, this research has following result: sex(male,), prror wage level, prior employment pattern are predicters. .Also success of reemployment has positively affected on mental health. The Level of anxiety and depression of unemployers are much higher than re-employer. To promote stable employment of unemployed people, we need to provide more information about re-employment and abolish sex and age discrimination of employment

중, 장년층 재취업 결정요인과 재취업 고용의 질에 관한 연구: 남녀 차이를 중심으로
김미희(광운대학교 산업심리학과) ; 탁진국(광운대학교 산업심리학과) ; 한태영(광운대학교 산업심리학과) ; 한영석(광운대학교 산업심리학과) ; 유태용(광운대학교 산업심리학과) pp.537-55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성별, 연령, 결혼여부, 학력 등과 같은 인구통계적인 변인들이 재취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고, 성별에 따른 재취업여부와 재취업 고용의 질에 관해서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실직한지 2개월 이내의 중 장년층 실직자들(1539명)의 심리사회적 요인을 측정하고(T1), 1년 후 이들 중 959명의 재취업 실태를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재취업고 용형태와 임금수준 예측요인에서 성별과 이전 직장 특성이 재취업자의 고용형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전 직장이 비정규직일수록, 임금수준이 낮을수록 비정규직으로 재취업할 확률이 높고 성별에 의해 낮은 고용의 질이 지속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재취업 성공과 실패에 따른 심리적 반응(불안, 우울, 신체화, 정신건강, 자존감)에 있어서는, 재취업자들보다는 취업에 성공했다가 다시 실직을 경험한 사람들과 계속 실직상태에 있는 사람들의 불안수준과 우울, 신체화 경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신건강과 자존감에 있어서는 재취업자들이 실직자들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재취업 실패로 인한 좌절감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남성보다는 여성들에게서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의의와 시사점 및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앞으로 실업자의 안정적인 고용형태로의 재취업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성과 연령에 의한 차별금지와 재취업에 관련된 다양한 정보의 제공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factors that influence on reemployment success and quality of Reemployed workers job Quality of Middle aged People. First survey research was conducted using 1539 adult job seekers, and we examined the extent to job seeker's response of loss of job, psychological variable, social-economic variable and demographics variable. One year after, we conducted second research to investigate the states of reemployment 664 middle aged people. For the reemployment patterns, this research has the following result; sex(male), age(eraly 30's), marriage state, prior employment pattern(renured employment), prior wage level, are deteminant of reemplyment. On the other hand, reemployed worker's job quality, this research has following result: sex(male), prror wage level, prior employment pattern are predicters. Also success of reemployment has positively affected on mental health. The Level of anxiety and depression of unemployers are much higher than re-employer. To promote stable employment of unemployed people, we need to provide more information about re-employment and abolish sex and age discrimination of employment

농촌지역 다문화가족의 초등학생들의 학교생활적응과 가족생활행복에 작용하는 요인
양순미(농촌진흥청농업과학기술원) pp.559-576 https://doi.org/10.18205/kpa.2007.12.4.008
초록보기
초록

국제결혼한 다문화가족의 아동들이 어머니의 언어적 장벽 및 2개 국어 병용, 문화적 차이로 인해 학습부진과 정체성 혼란 등의 발달적 장애를 가지는 것으로 지적되고 있으나, 이러한 주장을 경험적인 연구자료를 통해서 입증하는 데에는 상당한 한계를 갖는다. 본 연구의 목적은 농촌지역의 국제결혼한 다문화가족의 초등학교에 다니는 아동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학교생활적응과 가족생활행복에 다문화가족이 갖는 특성과, 지금까지 이와 같은 사회심리적인 적응에 중요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밝혀진 또래와 가족요인들이 어떻게 작용하는 가를 규명하는데 있다. 회귀분석결과에 의하면,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는 또래수용(β=.30), 아동의 연령(β=-.26)이 유의하게 작용하였다. 아동의 행복감에는 가족의 지지(β=.38), 어머니의 인지적 능력향상에 대한 아동 양육태도(β=-.31)가 유의하게 작용하였다. 그러나 어머니의 한국어 능통정도나 아동의 외모만족도, 어머니의 출신국가와 같은 다문화적인 요인들의 영향력은 유의미하지 않았다. 따라서 아동의 학교생활적응과 가족생활행복과 같은 적응에는 또래 수용과 가족의 지지와 같은 사회심리적 관계요인이 다른 무엇보다도 중요하게 작용한다고 할 수 있으며, 이의 향상을 지원하는 방안들이 다각적으로 모색되어야 한다고 본다.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variables impacting school life adjustment and happiness of the children attending a elementary school in international marriage family of rural. As a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peer accept(β=.30), and age of student(β=-.26) affected school life adjustment of the children significantly. Support degree of family(β=.38), and rear attitude on cognitive ability of mother(β=-.31) affected happiness of the theirs significantly. But the variables such as mother's skilful degree of Korean language, and satisfaction degree on appearance of the children were not significant. The study results suggest that in adjustment of the children social-psychological relation variables could affect importantly above all things.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