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한국 남성의 페미니즘 성향에 대한 인구통계학적 특성별 차이 및 페미니즘 성향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Explorations on the Feminism of Korean Men on the bases of their Social Structural Variables and its Effect on Well-being

초록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남성들의 자유주의 페미니즘 성향이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와 구체적으로 어떠한 요인들에서 차이가 나는가를 살펴보았다. 또한 페미니즘 성향이 삶의 질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의 20-65세에 해당하는 성인 남자727명을 대상으로 자유주의 페미니즘 성향, 심리적 안녕감과 주관적 안녕감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학력, 결혼관계, 직업 및 소득수준에 따라 페미니즘 성향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페미니즘 척도의 하위 영역별로 살펴보면, 성역할과 여성활동의 목적은 학력이 높고, 연령이 낮으며, 학생과 전문직에 종사하는 사람들에게서 높게 나타났다. 이와 달리 페미니즘 이데올로기를 반영하는 차별과 경시 및 집합적 행동, 자매애는 연령이 높거나 미혼이고 수입이 높을수록 높았다. 또한 자유주의 페미니즘 성향은 남성들의 심리적 안녕감, 주관적 안녕감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성역할과 여성 활동 목적, 세부적인 정치적 협약, 차별과 경시는 심리적 안녕감과 주관적 안녕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집합적 행동은 심리적 안녕감에만, 자매애는 주관적 안녕감에만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들을 한국여성들의 자유주의 페미니즘과 삶의 질 연구(2006)와 비교해 논의하고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 및 앞으로 연구 과제를 제시하였다.

keywords
자유주의 페미니즘, 삶의 질, 심리적 안녕감, 주관적 안녕감, Liberal Feminism, Subjective Well-being, Psychological Well-being, Well-being

Abstract

The current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1) the liberal feminism of Korean men on the bases of their social structural variables and (2) the its impact on their well-being. The Liberal Feminist Attitude and Ideology Scale as well as two quality of life scales( Subjective Well-being Scal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Scale) were administered to a nationwide sample of 727 Korean men. Results showed that the degree of liberal feminist attitude and ideology differed according to their social structural variables such as individuals marriage status, occupation, income, and educational level. The levels of gender roles, and global goals were higher for those men who were better educated, younger, and professionals or students. On the contrary, the levels of discrimination and subordination as well as collective action were higher for those who were older and had higher income. A Series of regression analyses revealed that most of liberal feministic attitude and ideology factors affected the Korean men's perception on their quality of life. Specifically, gender role, global goals, specific political agendas, and discrimination and subordination positively affected both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ubjective well-being. However, collective actions positively affected the psychological well-being, while sisterhood positively affected the subjective well-being. Theses results were discussed in comparison with the study on the feminism of korean women and its effects on well-being, and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as well as the future directions of this area were discussed.

keywords
자유주의 페미니즘, 삶의 질, 심리적 안녕감, 주관적 안녕감, Liberal Feminism, Subjective Well-being, Psychological Well-being, Well-being

참고문헌

1.

한국여성연구소 (2003). 새여성학강의, 동녘출판사.

2.

김금미, 한영석 (2002). 차별지각과 성별사회정체성이 여성의 남녀동등추구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7, 1-15.

3.

김금미, 한영석 (2003). 남성의 양성평등지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사회정체성이론의 관점에서. 여성연구, 제64호, 5-44.

4.

김명소, 김혜원, 차경호, 임지영, 한영석 (2003). 한국성인의 행복한 삶의 구성요인 탐색 및 척도개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8(2), 415-442.

5.

김명소, 이헌주, 한영석 (2006).한국 여성의 페미니즘 성향에 대한 인구통계학적 특성별 차이 및 페미니즘 성향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1(1), 83-105.

6.

김명소, 임지영 (2003). 대학생의 ‘바람직한 삶’ 구성요인 및 주관적 안녕감과의 관계 분석: 남녀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8(1), 83-97.

7.

김양희, 정경아(2000). 한국형 남녀평등의식검사 개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4, 23-44.

8.

김의철, 박영신 (2004). 청소년과 성인의 삶의 질 인식에 대한 토착심리 분석: 가정, 학교, 직장, 여가생활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9, 973-1002.

9.

이명신, 이훈구(1997). 주관적 삶의 질에 나타난 성차의 원인.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2(1), 89-101.

10.

이정희 (2004). 자유주의 페미니즘에서 제3세계 페미니즘까지 (From Liberal Feminism to Third Feminism), 한국비평문학회, 비평문학, 19, 192-220

11.

홍기원, 김명소, 한영석 (2003). 성정체성,자신의 성에 대한 만족, 그리고 집단자존심이 남녀평등의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8(1), 19-33.

12.

Andrews, F. M., & Withey, S. B. (1976). Social Indicators of Well-Being: America's Perception of Life Quality. New York: Plenum.

13.

Andrews, M. (2006). Breaking down Barriers: Feminism, Politics and Psychology, Feminism and Psychology, 16(1), 13-17.

14.

Bradburn, N. M. (1969). The structure of psychological well-being. Chiago: Aldine.

15.

Campbell, A. (1976). Subjective measures of well-being. American Psychologist, 31(2), 117- 124.

16.

Campbell, A. (1981). The sense of well-being in America: Recent patterns and trends. New York: McGraw Hill.

17.

Campbell, A., Converse, P. E., & Rodgers, W. L. (1976). The Quality of American Life. New York: Russell Sage Foundation.

18.

Diener, E. (1984). Subjective well-being, Psychological Bulletin, 95, 542-575.

19.

Diener, E. (1994). Assessing subjective well-being: Progress and opportunities. Social Indicators Research, 31, 103-157.

20.

Diener, E., & Emmons, R.A. (1984). The independence of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7, 1105-1117.

21.

Edley, N., & Wetherell, M. (2001). Jekyll and Hyde; Men's Constructions of Feminism and Feminists, Feminism and Psychology, 11(4), 439-457.

22.

Groenhout, R. E. (2002). Essentialist Challenges to Liberal Feminism. Social Theory and Practice, Vol. 28.

23.

Hooks, B. (1984). Feminist Theory: From Margin to Center. Cambridge, MA: South End Press.

24.

Morgan, B. L. (1996). Putting the feminism into feminism scales: Introduction of a Liberal Feminist Attitude and Ideology Scale (LFAIS). Sex Roles, 34, 359-390.

25.

Riley, S. (2001). Maintaining Power: Male Constructions of 'Feminists' and 'Feminist Values', Feminism and Psychology, 11(1), 55-78.

26.

Ryff, C. D. (1989). Happiness is everything or is it? Explorations on the meaning of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7, 1069-1081.

27.

Ryff, C. D., & Keyes, C. L. M. (1995). The structure of psychological well-being revisited.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9, 719-727.

28.

Szalai, A. (1980). The meaning of comparative research on the equality of life. In Szalai & F.M.Andrews(Eds). The Quality of Life: Comparative studies(7-12). Beverly Hills, California: SAGE Publication.

29.

Schmitte, P. S., & Ryff, D. C. (1997). Personality and well-being: What is the connec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3, 549-559.

30.

Taifel, H. & Turner, J. (1986). The social identity theory of intergroup behavior. In W. Austin and S. Worchel (Eds), The social psychology of intergroup relations (pp.7-24). Chicago: Nelson-Hall Publishers.

31.

Watson, D., & Tellegen, A. (1985). Toward a consensual structure of mood. Psychological Bulletin, 98, 219-235.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