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다문화사회의 이주여성에 대한 연구: 범죄피해에 대한 취약성을 중심으로

A Study on Female Immigrants in Multicultural Societies: Focusing on the vulnerability to criminal conducts

초록

한국사회에서 이주여성은 출신국가에 따른 차별뿐만 아니라, 여성으로서 겪는 차별과 폭력을 경험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주여성에 대한 폭력은 특성상 타인에게 드러나지 않는 경우가 많아 대처가 미흡할 수밖에 없다. 본 연구는 이주여성들이 빈번하게 경험하게 되는 범죄행위에 초점을 두고, 다음과 같이 조사하였다. 첫째, 한국사회에서 이주여성들이 경험하고 있는 성범죄와 가정폭력, 살인과 자살의 실태를 알아보았다. 둘째, 해당 범죄들의 원인에 대한 이론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이주의 여성화 추세는 한국사회의 경우도 예외가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체류자격의 불안정과 여성으로서 드러내기 어려운 현실이 범죄 피해에 대처할 수 없도록 하는 어려운 상황을 만들고 있다. 따라서 이주여성에 대한 범죄 방지 대책과 피해자 보호를 위한 체계적인 방안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강조하였다.

keywords
Multicultural Society, Female Immigrant, Marriage-related migration, Sex offense, Domestic violence, 다문화 사회, 이주여성, 국제결혼, 성범죄, 가정폭력

Abstract

The female immigrants in Korea are known to get exposed to various criminal conducts as well as racial discrimination. Nevertheless, many of criminal cases against migrant women are often concealed to the public and become tardy cases under police investigation. This study reviewed examples of victimization of immigrant women and how vulnerable they could be to various types of crime. First, actual profiles of migrant women were observed of sex offenses, violent crime, homicide, and suicide. Second, theories were explored to explain the causes of these criminal cases. At last, it was discussed the unstable condition of the status of migrant women might aggregate the possibility of their being criminally victimized. Hence, it must be necessary to develop a unique policy to prevent migrant women from crime.

keywords
Multicultural Society, Female Immigrant, Marriage-related migration, Sex offense, Domestic violence, 다문화 사회, 이주여성, 국제결혼, 성범죄, 가정폭력

참고문헌

1.

김상임 (2005). 상담사례를 통해 본 한국남성과 결혼한 이주여성의 삶. 이주여성인권센터 3주념 기념심포지엄 발표문, 한국이주여성인권센터.

2.

김이선 (2007). 다민족․다문화사회를 향한 길 위에 선 한국사회를 진단한다. 젠더리뷰, 2007년 여름호, 112-114.

3.

문경희 (2006). 국제결혼 이주여성을 계기로 살펴보는 다문화주의와 한국의 다문화현상. 21세기정치학회보, 16(3), 67-93.

4.

박영진 (2005). 농촌 이주 여성의 가정폭력 실태분석 및 해결방안. 대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법무부 (2006). 출입국관리통계연보.

6.

설동훈, 김윤태, 김현미, 윤홍식, 이혜경, 임경택, 정기선, 주영수, 한건수 (2005). 국제결혼 이주여성 실태조사 및 보건․복지 지원 정책방안. 보건복지부.

7.

양정화 (2005). 이주여성의 차별과 폭력경험에 관한 실태조사 연구. 경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이란주 (2002). 꽃도 십자가도 없어라: 어느 여성 이주노동자의 죽음. 중등우리교육, 130, 28-29.

9.

이문숙 (2005). 성산업에 유입된 이주여성. 아시아이주여성국제포럼 자료집. 한국이주여성인권센터

10.

이효민 (2007). 다인종․다문화 시대와 경찰활동 변화의 모색.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7(9). 148-155.

11.

이혜경 (2005). 이주의 여성화와 이주여성의 인권. 아시아이주여성국제포럼 자료집. 한국이주여성인권센터

12.

조용기 (2002). 자살에 대한 원인분석과 목회적 접근 방안. 목원대학교 신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통계청 (2007). 2006년 혼인통계 결과. 보도자료.

14.

홍기혜 (2002). 중국 조선족 여성과 한국 남성간의 결혼을 통해 본 이주의 성별 정치학.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한국염 (2005a). 국제결혼 영역에서의 이주여성. 아시아이주여성국제포럼 자료집. 한국이주여성인권센터

16.

한국염 (2005b). 이주의 여성화와 국제결혼. 이주여성인권센터 3주년 기념심포지엄 발표문, 한국이주여성인권센터.

17.

Bajbhandari, R. (2005). 이주과정에서의 인신매매: 현실과 과제. 아시아이주여성국제포럼 자료집. 한국이주여성인권센터.

18.

Baron, L. & Straus, M. (1989). Four Theories of Rape: A State Level Analysis. New Haven, CT: Yale University Press.

19.

Blocher, H. (1986). 자살. 한국기독교학생회출판부. 6-7,

20.

Block, C. R. & Christakos, A. (1995). Intimate partner homicide in Chicago over 29 years. Crime and Delinquency, 41(4), 496-526.

21.

Bowlby, J. (1984). Violence in the Family as a Disorder of the Attachment and Caregiving System. American Journal of Psychoanalysis, 44, 9-27.

22.

Burt, M. (1980). Cultual myths and support for rap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8, 217-230.

23.

Campbell, J, C. (1986). Assessing the risk of homicide for battered women. Advances in Nursing Science. 8(4), 36-51.

24.

Dobash, R. E., & Dobash, R. P. (1998). Violent Men and Violent Context, In Rethinking Violence against Women, R. E. Dobash & R. P. Dobash, (Eds.), Sage Publications, 141-163.

25.

Ellis, D. (1989). Theories of Rape: Inquiries into the Causes of Sexual Aggression, New York: Lexington.

26.

Howitt, D. (2002). Forensic and Criminal Psychology. Harlow: Pearson Education.

27.

Koss, M. P. & Harvey, M. R. (1991). The rape victim: Clinical and community interventions(2nd ed).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

28.

Madiguid, M. (2005). 국제결혼한 필리핀 여성들. 아시아이주여성국제포럼 자료집. 한국이주여성인권센터.

29.

Martin, G. L. (1986). Counseling for Family Violence and Abuse, 4. Resource for Christian Counseling Series.

30.

Meuhlenhard, C. L. & Hollabaugh, L. C, (1988). Do women sometimes say no when they mean yes? the prevalence and correlates of women's token resistance to sex.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4. 872-879.

31.

Morrison, K. M. (1997). A Survey of Massachusetts Batterer Intervention Programs Predicting Treatment Completion Ph. D Dissertation. antioch New England Graduate School.

32.

Polk (1997). A reexamination of the concept of victim-precipitated homicide. Homicide Studies, 1(2).

33.

Richards, L, (2001). Domestic Violence Sexual Offenders. Unpublished.

34.

Rosenbaum, A., & O'Leary, K. D. (1981). Marital Violence: Characteristics of Abusive Couple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49(1), 663-671.

35.

Saunders, D. G. (1984). Helping Husbands 쫴 Batter. Social Casework. 65(6), 347-353.

36.

Siegel, D. A. (1998). Resource competition in a discrete environment: Why are plankton distributions paradoxical? Limnology and Oceanography, 43, 1133-1146.

37.

Yllo, K. A. & Straus, M. A. (1992). Patriarchy and Violence Against Wives: The Impact of Structural and Normative Factors, In M. A. Straus & R. J. Gelles (Eds.), Physical violence in American Families. New Brunswick, NJ: Transaction, 383-399.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