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Parenting Training Program which was designed to improve the self-esteem, parenting stress and attitude of mothers of children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The subjects were 13 mothers of children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attending a special school in G Metropolitan City and 13 waiting mothers as a comparison group. The Parenting Training Program consisted of eight sessions (120 minutes per session). Data was analysed using ANCOVA and content analysis of the descriptions about the experience of changes caused by the participation of the program.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elf-esteem of program participants were improved more than the waiting group and positive changes appeared in both affectionate and positive parenting attitudes, but there was not a significant decrease in parenting stress. Additionally, the results of content analysis showed that the program participants experienced positive changes in themselves, as well as, in relationships with their family and others. These results mean that the Parenting Training Program is useful for the mothers who have high risk of various psychological problems. Som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direction for future study were discussed.
강 웅 (1997). 장애아 가족의 가족기능 향상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권요한, 박종흠, 박찬웅, 최성규, 홍종선 (1998). 장애학생 부모교육 프로그램. 국립특수교육원.
김기홍 (2003). 중도․지체부자유아(뇌성마비)의 사회화과정에서 장애 및 장애자녀에 대한 부모의 태도 및 역할. 특수교육연구, 10(2), 208-228.
김미혜 (2006). 장애아 어머니의 자아존중감, 스트레스 및 대처행동 간의 관계. 연세대학교 생활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영미 (1990). 뇌성마비 아동 어머니의 스트레스와 대처행동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정진, 김미옥 (2002). 장애아동 어머니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집단프로그램의 효과 연구. 한국아동복지학, 14, 7-36.
김호영, 최문실 (2002).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태도의 관계 연구. 천안대학교 진리논단, 7, 309-321.
박화문 (2001). 지체부자유아 심리. 대구대학교 출판부.
반순주 (2003).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에 관한 비교 연구. 인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변종숙, 김영희 (2001). 아동과 어머니의 특성에 따른 장애아동의 가족영향력. 충북대학교 생활연구논총, 4, 65-83.
송경선 (2000). 문제해결전략을 사용한 가족지원프로그램이 발달지체아동 부모의 양육스트레스와 가족능력부여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심미경 (1997). 장애아 어머니의 자아존중감, 대처유형, 삶의 질에 관한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27(3), 673-682.
심연웅 (1994). 뇌성마비 아동 어머니와 정상아동 어머니의 스트레스 비교 분석.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양귀화 (2001). 자폐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자아존중감 및 사회적 지지 간의 관계.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오세철 (2000). 중증장애인의 고용 전략에 관한 연구. 중복․지체부자유아교육, 35, 119-133.
유희정 (2002). 아동의 장애유형과 어머니의 애착유형에 따른 양육태도와 양육스트레스. 한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윤미정 (1998). STEP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어머니의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경우 (2006). 당신도 유능한 부모가 될 수 있다. 서울: 창지사.
이숙자 (2005).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 적극적 대처방식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검증.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이애현, 오세철 (1998). 지체부자유아 부모의 대처행동 분석. 특수교육학회지, 19(1), 345-364.
이영주 (1998). 장애아동 어머니와 정상아동 어머니의 자녀양육스트레스, 사회적 지원 및 양육태도에 관한 연구. 경성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영호 (2002). 장애아동 어머니의 자기존중감과 대처방식 증진을 위한 집단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10, 67-97.
이원영 (1983). 어머니의 자녀교육관 및 양육태도와 유아발달과의 관련성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은덕 (1999). 장애아 가족의 가족기능과 가족지지에 관한 연구.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지연 (1996). 장애아동과 비장애아동 아버지의 자녀 양육참여에 관한 일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한선, 이경희, 최성규 (2005). 중중․중복 장애자녀의 조기발견․진단에 따를 어머니의 양육경험에 대한 사례 연구. 중복․지체부자유아교육, 46, 187-201.
이한우 (1998).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부모의 양육태도 및 양육스트레스 비교연구. 대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한우, 강위영, 이상복 (1999). 장애아동 부모의 양육태도 및 스트레스 간의 관계적 특성연구.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연구, 22(1), 99-117.
전병재 (1974). Self-esteem: a test of its measurability. 연세논총, 11, 107-124.
정길수, 이경숙 (1994). 장애아어머니의 자아존중감과 불안에 관한 연구. 중앙의학, 404, 879-887.
정청자 (1989). 장애아 가정의 긴장과 적응에 관한 일 연구: 어머니의 대처자원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학과 석사학위논문.
조성은 (2003). 장애아동 어머니의 심리적 적응훈련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조인수, 한옥희 (2006). 정신지체아의 사회적응기술과 부모의 양육태도와의 관계. 특수교육 저널: 이론과 실천, 7(4), 431-449.
표선숙 (1995). 학령 전 장애아를 가진 어머니의 자존감과 대인관계 증진을 위한 집단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일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허효순 (2006). 지체부자유아 어머니의 자존감, 양육스트레스 및 스트레스대처.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황경자 (2002). 중복 장애아 가족의 스트레스 영향요인에 관한연구. 목원대학교 산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황옥자 (1988). STEP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어머니의 자아개념, 양육태도 및 유아 행동지각에 미치는 효과. 아동학회지, 9(1), 93-118.
Asberg, K. K., Vogel, J. J., & Bowers, C. A. (2008). Exploring Correlates and Predictors of Stress in Parents of Children Who are Deaf: Implications of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Mode of communication. Journal of Child and Family Studies, 17(4), 486-499.
Dyson, L. L. (1993). Response to the presence of a child with disabilities: Parental stress and family functioning over time. American Journal of Mental Retardation, 98(2), 207-218.
Friedrich, W. N., Greenberg, M. T., & Crnic, K. (1983). A short form of the questionnaire on resources and stress. American Journal of Mental Deficiency, 88(1), 41-48.
Friedrich, W. N., Wilturner, L. T., & Cohen, D. S. (1985). Coping resources and parenting mentally retarded children. American Journal of Mental Deficiency, 90, 130-139.
Holroyd, J. (1974). The questionnaire on resources and stress: an instrument to measure family response to a handicapped member.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2, 92-94.
Rosenberg, M. (1965).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Solomon, M., Pistrang, N., & Barker, C. (2001). The Benefits of Mutual Support Groups for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merican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29(1), 113-1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