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가정폭력 목격이 자녀의 데이트 성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성역할태도의 매개효과

The Mediate Effect of Patriarchal Attitudes between Family Violence Witness and Dating Sexual Violence among College Students

초록

이 연구는 자녀가 성장과정에서 가정폭력을 목격하는 것이 성장후 데이트 성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성역할태도가 매개역할을 한다는 점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시내 남자 대학생 193명, 여자 대학생 190명을 대상으로 가정폭력 목격, 데이트 성폭력 가해 및 피해경험, 가부장적 성역할태도를 측정하였다. 모형의 검증을 위하여 구조방정식(SEM)을 통해 적합도를 검증하고 유의한 경로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남자의 데이트 성폭력 가해경험 관련하여, 가정폭력 목격이 데이트 성폭력 가해경험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성역할태도를 매개로 가해경험을 유발하기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여자의 데이트 성폭력 피해경험 관련하여, 가정폭력 목격이 데이트 성폭력 피해경험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가부장적 성역할태도를 매개로 피해경험을 유발하기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성장과정에서 가정폭력을 목격하는 것이 자녀의 성역할태도에 영향을 미쳐서 친밀한 관계에서의 성폭력 문제를 유발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keywords
가정폭력 목격, 가부장적 성역할태도, 데이트 성폭력, Witness of Family Violence, Patriarchal Attitudes, Dating Sexual Violence, Witness of Family Violence, Patriarchal Attitudes, Dating Sexual Violence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role of patriarchal attitud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violence witness and dating sexual violence among Korean college students. The participants were 383 college student (193 males and 190 females) who had the experience of dating relationship. The psychological tests used in this research included the following: Witness of Family Violence, Patriarchal Attitudes, Dating Sexual Violence Experiences. In order to verify the models, goodness of fit and significant paths were verified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SEM). According to the results, family violence witness, itself, had influence on male students' dating sexual assault, and patriarchal attitudes caused by family violence witness had influence on dating sexual assault. Also, family violence witness had influence on female students' dating sexual violence, and patriarchal attitudes caused by family violence witness had influence on dating sexual violence.

keywords
가정폭력 목격, 가부장적 성역할태도, 데이트 성폭력, Witness of Family Violence, Patriarchal Attitudes, Dating Sexual Violence, Witness of Family Violence, Patriarchal Attitudes, Dating Sexual Violence

참고문헌

1.

강희순 (2009). 여대생의 데이트 성폭력 피해경험 모형구축.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2.

김선영 (1989). 강간에 대한 통념의 수용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3.

김성희 (1998). 전남지역 여대생의 성폭력경험실태. 한국가정과학회지, 1(2), 37-47.

4.

김시업, 김정인 (2005). 아내구타와 그 가해자: 구타과정 및 가해자의 심리 행동적 특징.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0(4), 653-676.

5.

김예정, 김득성 (1999). 대학생들의 데이팅 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I): 가해자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37(10), 27-42.

6.

김용미, 김현옥 (2001). 남녀 고교생이 이성교제 단계에서 경험하는 심리적, 성적 폭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9(4), 185-199.

7.

김은주 (1997). 성폭력에 대한 대학생들의 태도 조사 연구. 강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8.

김재엽, 이효정, 송아영 (2007). 가정폭력 경험이 남자 청소년의 성폭력 가해행위에 미치는 영향: 폭력허용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17, 27-52.

9.

김정인, 최상진, 손영미 (2001). 성희롱문제 지각에서 성차 및 성역할태도의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6(3), 1-22.

10.

김필선 (1995). 성폭력의 행위에 대한 남녀대학생의 폭력인지도와 가해․피해 실태연구. 학생생활연구, 15(1), 131-144.

11.

남현미 (2003). 대학생 데이트 성폭력 실태와 가해 예측 요인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12.

박경규 (1994). 기혼남성의 스트레스와 폭력과의 관계분석. 효성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13.

박옥임, 도미향, 류도희, 박애선 백경숙, 성정현, 이규미, 이영석 (2004). 성폭력 전문상담. 시그마프레스.

14.

박종렬, 노상욱 (2008). 데이트 강간의 여성 인식에 관한 문헌통계학적 접근.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집, 13(6), 287-294.

15.

백주현 (2006). 대학생의 인구 통계적 변수, 데이트 관련변수 및 지각된 부모의 양육태도에 따른 데이트 폭력 경험의 차이.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16.

서경현, 안귀여루 (2007). 데이트 폭력의 공격적 피해여성들의 특성과 연인관계에 대한 개입.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3(2), 77-96.

17.

서경현, 최수동, 김익현 (2007). 아버지의 양육태도와 가정폭력이 대학생의 연인관계와 데이트 폭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2(1), 153-170.

18.

손승아 (2004). 대학생 성폭력 예방을 위한 심리건강교육: 데이트 성폭력을 중심으로. 여성건강, 5(2), 87-103.

19.

신성자 (1993). 데이트 강간에 대한 남ㆍ여 대학생들의 인식에 관한 연구. 경남법학, 5, 157-176.

20.

신성자 (1997). 남자 대학생들의 데이트 강간성향 파악과 대처 방안 모색을 위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32, 181-211.

21.

유선영 (2000). 여대생의 가정폭력 피해와 데이트폭력 피해간의 매개 요인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22.

윤진 (1981). 남녀차이에 대한 심리학적 한 고찰: 성역할 사회화과정과 그 결과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 15(1), 21-35.

23.

이지연, 오경자 (2007). 아동기 부모간 폭력 목격 경험이 대학생의 데이트 폭력에 미치는 영향: 폭력에 대한 태도와 분노 조절의 매개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2(4), 433-450.

24.

이지연, 이은설 (2005). 대학생의 데이트 성폭력 피해와 가해에 대한 설명모형.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7(2), 419 -436.

25.

장윤경 (2000). 한국성폭력상담소 운영 사례. 한국성폭력상담소 발간 자료, 229-237.

26.

장윤경 (2002). 데이트 성폭력 피해 경험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27.

장윤경 (2006). 유형별 성폭력: 데이트, 스토킹. 한국성폭력상담소 발간 자료, 148-154.

28.

장희숙 (2002). 부모의 폭력 및 지지행동이 이성교제폭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학, 50, 131-155.

29.

정희진 (2000). ‘아내폭력’ 경험의 성별적 해석에 대한 여성학적 연구. 여성학논집, 17, 323-325.

30.

현혜순 (2005). 아내폭력 가해자 집단치료 프로그램 개발 가능성 탐색: 여성주의 인지행동 접근을 중심으로.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31.

홍세희 (2000). 구조방정식 모형에 있어서 적합도 선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9, 161-177.

32.

Amir, M. (1971). Patterns of forcible rape.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33.

Bandura, A. (1973). Aggression: A Social Learning Analysis.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34.

Bem, S. L. (1981). A manual for the Bem Sex Role Inventory. Palo Alto, CA: Consulting Psychologist Press.

35.

Byers, E. S. (1996). How well does the traditional sexual script explain sexual coercion? Review of a program of research. Journal of Psychology and Human Sexuality, 8, 7-25.

36.

Carlson, B. E. (1990). Adolescent observers of marital violence. Journal of Family Violence, 5, 285-299.

37.

David, D., & Brannon, R. (1976). The male sex role: Our culture's blueprint of manhood, and what it's done for us lately. In David, D. & Brannon, R. (Eds.), The forty-nine percent majority: The male sex role (pp.1-45). Reading, MA: Addison-Wesley Publishing Company.

38.

Kalmus, D. (1984). The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of marital aggression.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31, 11-19.

39.

Gelles, R. J., & Straus, M. A. (1979). Violence in the American Family. Journal of Social Issues, 35, 15-39.

40.

Greendlinger, V., & Byrne, D. (1987). Coercive sexual fantasies of college men as predictors of self-reported likelihood to rape and overt sexual aggression. Journal of Sex Research, 23, 1-11.

41.

Gwartney-Gibbs, P. A., Stockard, J., & Bohmer, S. (1987). Learning courtship aggression: The influence of parents, peers, and personal experiences. Family Relations, 36, 276-282.

42.

Levy, B. (1991). Support groups: Empowerment for young women abused in dating relationships In B. Levy (Ed.), Dating violence: Young women in danger (pp.232-239). Seattle, WA: Seal Press.

43.

Lichter, E. L., & McCloskey, L. A. (2004). The effects of childhood exposure to marital violence on adolescent gender-role beliefs and dating violence. Psychology of Women Quarterly, 28, 344-357.

44.

Luthra, R., & Gidycz, C. A. (2006). Dating violence among college men and women: Evaluation of a theoretical model. Journal of Interpersonal Violence, 21, 717-731.

45.

Marshall, L. L., & Rose, P. (1988). Family of origin violence and courtship abuse. Journal of Counseling and Development, 66, 414-418.

46.

Muehlenhard, C. L., & Linton, M. A. (1987). Date rape and sexual aggression in dating situations: Incidence and risk factor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2), 186-196.

47.

O'Keefe, M. (1997). Predictors of dating violence among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Interpersonal Violence, 12, 546-568.

48.

O'Keefe, M., Brockopp, K., & Chew, E. (1986). Teen dating violence. Social Work, 31, 456-468.

49.

Riggs, D. S., O'Leary, K. D., & Breslin, F. C. (1990). Multiple correlates of physical aggression in dating couples. Journal of Interpersonal Violence, 5, 61-73.

50.

Shrout, P. E., & Bolger, N. (2002). Mediation in experimental and nonexperimental studies: New procedures and recommendations. Psychological Methods, 7(4), 422-445.

51.

Smallbone, S. W., & Dadds, M. R. (2001). Further evidence for a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insecurity and coercive sexual behavior in non offenders. Journal of Interpersonal Violence, 16(1), 22-35.

52.

Wetzel, K. M. (2006). Intimate partner violence in Appalachia: A study of relationship violence among community college students in Southern Appalachia. Dissertation Abstracts International: Section B: The Sciences and Engineering, 66(10-B), 5698.

53.

Wheeler, J. G. (2003). The Abstinence Violation Effect in a sample of incarcerated sexual offenders: A reconsideration of the terms Lapse and Relapse. Dissertation Abstracts International: Section B: The Sciences & Engineering, 63(8-B), 3946.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