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The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

메뉴

The Effect of Object Relationship Level and Frequency of Partner Behavior on Limerence in Romantic Relationships

Abstract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object relationship level and frequency of partner behavior on limerence in romantic relationships. For this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from 300 adults who were dating. The Questionnaire contained Object Relationship Inventory, Jibchack Behavior Scale, The Frequency and Acceptability of Partner Behavior Inventory (FAPBI), Scale for Satisfaction of Romantic-relationship. The result showed that object relationship level was predictive of limerence and level of limerence was predictive dissatisfaction of relationship in male and female. And Frequency of partner's negative behavior showed that moderating effect between object relationship level and limerence only for female. The result would helpful understanding limerence of romantic relationship and improving in romantic relationship. The clinical implications and several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in conclusion.

keywords
love factor, romantic relationship, jealousy, level of object relationship, limerence, frequency of partner behavior, gender category, 사랑, 이성관계, 집착행동, 대상관계 수준, 파트너 행동, 성차

Reference

1.

강진희 (2011). 남녀 대학생의 교제유형, 정서경험특성, 갈등해결전략 및 이성관계만족도 간의 관계,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곽소영 (2007). 이성관계에서의 심리적 욕구충족에 따른 관계 만족도: 자율성 정도와 갈등해결전략의 매개검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권석만 (2005). 젊은이를 위한 인간관계 심리학. 서울: 학지사.

4.

권정혜, 채규만 (1998). 한국판 결혼 만족도 검사의 표준화 및 타당화 연구Ⅰ. 한국임상심리학회지, 18, 123-139.

5.

권희경, 장재홍, 권영민 (2005). 애정관계 행동척도의 개발과 타당도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0, 497-524.

6.

김은희 (2002). 집착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김진희 (2005). 대학생의 이성 교제에 관한 사이버 상담 사례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3, 137-151.

8.

박선미 (2003). 미혼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부부관계와 부모와의 애착이 자녀의 이성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박부형 (2000). 자기비난적 우울과 의존적 우울의 분리-개별화 수준 및 대상관계 특징.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변은주 (1996). 대학생의 건강한 이성교제를 위한 집단상담 효과분석. 부산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11.

설기문 (1993). 우리나라 대학상담의 이론적 모형: 현황과 방향. 한양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11, 25-52.

12.

양서연 (2011). 사랑에 대한 환상, 자존감, 자아분화 및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이성관계 집착행동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

우아미 (2008). 이성관계에서 집착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과 집착행동척도 개발.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

우아미, 박준성, 정태연 (2008). 집착행동의 구성요인 및 집착행동이 이성관계에 미치는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3, 521- 546.

15.

유소영 (2000). 사랑요소의 지각된 불일치와 책임귀인양식에 따른 이성관계만족도.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이경은 (2007). 대학생의 성행동-태도 일치도 및 갈등해결전략과 이성관계 만족도와의 관계.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이복동 (2000). 성인 애착과 이성관계 만족.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이선희 (2011). 한국부부의 배우자수용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통합적 행동부부치료를 중심으로. 충북대학교 문학박사학위 청구논문.

19.

장재홍 (2006). 이성교제의 경험, 애정관계 행동 및 성인 애착 차원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8, 137-155.

20.

정 민 (2006). 이성교제 시 낙관성과 자기효능감이 갈등대처방식과 이성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정태연, 최상진, 강진경 (2000). 성인기 애착특성과 낭만적 사랑 및 성격특성과의 관계: 성차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5, 85-102.

22.

한영숙 (2007). 부부의 자아분화 수준에 따른 부부갈등과 결혼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16, 259-272.

23.

Baxter, L. A. (1990). Dialectical contradictions in relationship development.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 Relationships, 7, 69-88.

24.

Bell, M., Billington, R., & Becker, B. (1986). A scale for the assessment of object relations: Reliability, validity, and factorial invariance.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42, 733-741.

25.

Bellak, L., Hurvich, M., Gediman, H. (1973). Ego functions in schizophrenics, neurotics, and normals. New York: Wiley.

26.

Bowen, M. (1990). Family therapy in clinical practice. Northvale London: Jason Aronson.

27.

Collins, W. A., & Sroufe, L. A. (1999). Capacity for intimate relationships. The Development of Romantic Relationships in Adolescence, 6, 125- 142.

28.

Dicks, H. V. (1967). Marital tensions: Clinical studies towards a psychoanalytic theory of interaction. London: Karnac Books.

29.

Doss, D. D., & Christensen, A. (2006). Acceptance in romantic relationship: The frequency and acceptability of Partner Behavior Inventory. Psychological Assessment, 18, 289-302.

30.

Feeney, J. A., & Noller, P. (1990). Attachment style as a predictor of adult romantic relationship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8, 281-291.

31.

Furman, W., & Wehner, E. A. (1994). Romantic views: Toward a theory of adolescent romantic relationships. Advances in Adolescent Development, 6, 168-195.

32.

Gilligan, C. (1982). In a different voice: Psychological theory and women's development. Cambridge, Massachusetts: Harvard University Press.

33.

Jacobson, N. S., & Christensen, A. (1996). Acceptance and change in couple therapy: A therapist's guide to transforming relationships. New York: Norton.

34.

Kring, A. M. & Gordon, A. H. (1998). Sex differences in emotion: Expression, experience, and physiolog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4, 686-703.

35.

Loyd, S. A., & Cate, R. M. (1985). The developmental course of conflict in dissolution of premarital relationship.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Relationships, 2, 775-773.

36.

Mahler, M., Pine, F., & Bergman, A. (1975). The psychological birth of the human infantile. New York: Basic Books.

37.

Maxwell, G. M. (1985). Behavior of lovers: measuring the closeness of relationships.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 Relationships, 2, 215-238.

38.

Rubin, L. B. (1984). Intimate strangers: Men and women together. New York: Harper Perennial.

39.

Sprecher, S. & Mckinney, K. (1993). Sexuality. Newbury Park: Sage.

40.

Wenzel, A., Graff-Dolezal, J., Macho, M., & Brendle, J. R. (2005). Communication and social skills in socially anxious and nonanxious individuals in the context of romantic relationships.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43, 505-519.

The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