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The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

A Phenomenological Study on Living As a Sister of the Victim of Sexual Violence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experiences of women whose sisters are victims of sexual violence using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Participants of this study are three women whose sisters are victims of sexual violence. The researcher mainly used the In-Depth Interview for this study including E-mail and phone call interviews. The researcher also used notes on non-verbal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and her own personal thoughts and feelings. As a result of analysis on experiences of women whose sisters are victims of sexual violence, the researcher derived 10 constituents and 27 sub-constituents. The constituents are: <getting to know what has happened to her sister>, <feeling a chill to the marrow of her bones about the hopeless news>, <experiencing post-traumatic stress>, <changes of family dynamics>, <ambivalent feeling toward her sister>, <duplicity of her own existence>, <way of handling crisis and survival strategies>, <difficulty choosing survival strategies>, <growth strategies>. In conclusion, first, although sisters of victims of sexual violence experience not only psychological shock but also emotional conflict, pain, somatic symptoms, and changes of family dynamics, they try to help their sisters and grow positively from the experience. Second, sisters of sexual abuse victims feel ambivalent toward their sisters and feel confused toward themselves because they are not the one who were raped, but they are also the victims of the rape. However, they try to obtain the legitimacy of their own existence by admitting that they are also the victims of sexual violence. Third, women whose sisters were sexually abused want to heal themselves and grow by knowing and expressing what they feel and getting professional help from others. Finally, the researcher discus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 systematic, professional development of treatment program women whose sisters were sexually abused.

keywords
violence sexuelle, sexual violence, experience of dam․age, duplicity of existence, A Phenomenological Study, 성폭력, 피해생존자, 피해경험, 존재의 이중성, 현상학적 연구

Reference

1.

강민아, 임경희 (2006). 성폭력 피해 자녀 어머니의 심리적 특성: MMPI, BDI, STAI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1(4), 419- 436.

2.

강민아, 김혜정, 이승재, 정운선, 정성훈 (2008). 성폭력피해아동에 대한 인지행동치료 적용 사례. 인지행동치료, 8(1), 15-29.

3.

고재홍, 윤병해 (2006). 양가적 성차별 태도에 따른 성폭력 피해자에 대한 비난 차이: 강간통념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1(1), 1-19.

4.

고정애 (2011). 청소년 성폭력 가해자의 피해자 공감향상 프로그램 개발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김경희 (2008). 근친성학대 피해 자녀 어머니의 생존경험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6.

김나연 (2002). 성폭력 심각성과 부정적 생활태도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김보경 (2012). 성폭력, 성매매 상담자의 이차적 외상 스트레스와 대리 외상의 관계에서 외상 신념의 매개 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복태 (2001). 성별과 성역할 고정관념에 따른 공감능력 및 성폭력 사건 지각의 차이. 전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김신영 (2010). 성폭력 피해자의 이차 희생 실태에 관한 질적 연구. 아주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

김유림 (2010). 성인초기 성폭력 범죄자의 재범 요인. 연세대학교 생활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김은지 (2011). 범죄에 대한 신념들이 성폭력 가해자 처벌에 미치는 영향: 일탈 청소년피해자와 일탈 성년 피해자간의 비교. 경기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김종현 (2011). 성폭력범죄피해자의 보호 및 지원방향에 관한 연구. 한양대 공공정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김종현 (2011). 청소년의 가정폭력 경험이 성폭력 가해에 미치는 영향 연구: 인터넷 음란물 중독의 매개효과 검증. 성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김희진 (2010). 성폭력 피해여성의 우울 및 외상 후 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문양만다라 중심의 미술치료사례연구.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권해수 (2007). 성폭력 피해자를 위한 집단상담프로그램. 서울: 한국성폭력상담소.

16.

권해수 (2008). 성폭력 피해청소년 치유프로그램 효과. 상담학연구, 9(2), 485-499.

17.

권해수, 김소라 (2006). 성폭력 상담자의 대리 외상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8(3), 1229-0688.

18.

나인형 (2006). 성폭력 피해 생존자의 경험분석 및 지원체계 연구. 조선대학교 정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박가람, 정남운 (2008). 성폭력 상담에서 내담자들이 지각한 도움경험: 질적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0(1), 161- 182.

20.

박태영, 박소영 (2007). 성폭력을 당한 여중생의 가족치료 사례 분석: 두려움과 분노를 넘어서. 한국치료학회지, 15(2), 343-363

21.

배경희 (2007). 친족 성폭력의 문제와 대책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서재선 (2012). 성폭력 피해 자녀를 둔 부모의 이차적 외상 스트레스 관련 변인 연구.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서혜석 (2006). 성폭력 가해자의 자기통제감, 자기존중감 및 의사소통기술 향상을 위한 집단치료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교정복지연구, 6, 67-88.

24.

서혜석 (2007). 집단 치료프로그램이 성폭력 가해자의 인생가치명료화 훈련변화에 미치는 영향. 인권복지연구, 1, 123-141.

25.

손지현 (1998). 소아암 환아 형제들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6.

신기숙 (2010). 성폭력 피해아동의 피해경험에 대한 합의적 질적 연구. 전남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7.

신식, 이수경, 이수정 (2006). 성폭력 범죄자들에 대한 인지행동 교정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한국교정학회소식, 31, 89-116.

28.

양선화 (2008). 성폭력 피해 아동 어머니의 심리적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23, 183-224.

29.

원경희 (2008). 성폭력 피해 생존자의 심리적 적응 모형 구축.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0.

이미경 (2012). 성폭력 2차 피해를 통해 본 피해자 권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1.

이민선 (2012). REBT 기법을 적용한 미술치료가 성폭력 가해 청소년의 비합리적 신념과 피해자 공감능력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이승희 (2010). 성폭력 외상 후 스트레스를 중심으로 한 미술치료의 현황분석과 프로그램 연구.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

이우송 (2011). 성폭력범죄자에 대한 성충동 약물치료의 도입과 그 개선방안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4.

이윤경 (2012). 성폭력 가해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친밀감 중심 치료프로그램의 효과.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5.

이은실 (2007). 소아암 환아 형제자매의 외로움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6.

이주용, 김정규 (2006). 성피해의 심리적 후유증에 관한 연구: 성적 영역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1(4), 511-537.

37.

이은진 (2009). 보호관찰 성폭력 가해 청소년과 부모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4(1), 109-131.

38.

임영선 (2009). 청소년 성폭력 가해자 집단프로그램의 효과성: 인지행동프로그램을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9.

정명희 (2004). 아동성폭력 고소과정에서의 어머니의 고통스런 ‘말하기’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0.

최재희 (2012). 성장기 폭력 경험과 성태도가 대학생의 성폭력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구: 분노조절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경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1.

최종하 (2012). 성폭력범죄자에 대한 전자감시제도의 효과성에 대한 경험적 연구: 전자감시제도 경험자의 인식 분석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2.

하혜숙, 김동일 (2007). 다시 생각해 본 성폭력 개입 프로그램: 성폭력 가해자 교육 및 상담프로그램 구성을 위한 소고. 열린교육연구, 15(2), 111-125.

43.

한인영, 김선민, 김진숙, 김진숙 (2008). 청소년 성폭력 경험자의 현상학적 연구 시선으로부터 살아남기.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30, 385-417.

44.

황승흠, 황성기 (2001). 청소년대상 성범죄자 신상공개제도에 관한 연구. 서울: 국무총리 청소년보호위원회.

45.

Beverly, B. L. (1995). Child sexual abuse; the female victim's relationship with her nonoffending mother Child Abuse and Neglect, 19(6), 729-738

46.

Broderick, C. B. (1993). Understanding Family Process: Basics of Family Systems Theory. Newbury Park: Sage Publications.

47.

Burge, S. K. (1983). Individual and family reactions, C. R. Figley & H. I. McCubbin (Eds.), Stress and The family; coping with Catastropb, 103-119. New York; Brunner/Mazel Publishers.

48.

Campbell, R. (2002). Emotionally Involved; The Impact of Researching Rape. New York: Routledge.

49.

Carol, A. P. (2006). Non-Abusivemothera of sexually abused children; The role of rumination in maternal outcomes. Journal of Child Sexual Abuse, 15(2), 103-122

50.

Cheryl, R. (1990). Parental respon to extrafamilial child sexual assault. Child Abuse and Neglect, 14, 113-120

51.

Dunn, J., & Kendrick, C. (1983). Sibling relationships in early childhood, Child Development, 54, 787-811.

52.

Giorgi, A., & Giorgi, B. (2003). “The descriptive phenomenological psychological method”. In Bamberg, M., Camic, P. M., Rhodes, J. E., & Yardley, L. (Eds.), Qualitative Research in Psychology: Expanding Perspectives in Methodology and Design. 243-273,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APA).

53.

Giorgi, A. (2004). 현상학과 심리학 연구[Phenomenology and Psychological Research].(신경림 외 역). 서울: 현문사.(원전은 1985년에 출판).

54.

Harper-Dorton, K. V. & Herbert, M. (1999). Working With Children and Their Families. Chicago: Lyceum Books, Inc.

55.

Serge Tisseron. (2003). 가족의 비밀. [Nos Secrets De Famille.] (정재곤 역 2005) 서울: 궁리

56.

Scarr, S. & Grajek, S. (1982).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mong Siblings, N. J: Erlbaum.

57.

Walters, L. H. (1982). Are families different from other group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44. 841-850.

The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