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The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

메뉴

The Effectiveness of PTSD Program of North Korean Refugees: for North Korean Female Refugees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iveness of PTSD Program of North Korean Refugees for North Korean Female refugees. Participants for this study were 70 North Korean Female who is experimental group were 32 and control group were 38. This program was 8 sessions. It was used to Brief Psychological State Inventory for North Korean Refugees(BPSI-NKR) and Impact of Event Scale-Revised(IES-R) for pre and post evalua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that the mean difference in all tested scales but IES-R, PTSD, anxiety and somatizaion between two groups were statiscically significant. Before this program, Repatriation group was significantly low score on anxiety and somatization but after this program this group was higher in PTSD and IS score than non-repatriation group. Based on the results, the author mentioned the limitations of study and the suggestions for further studies.

keywords
탈북여성,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북송, PTSD 프로그램, North Korean Female Refugees, PTSD, repatriation to the North Korea, PTSD program

Reference

1.

강성록 (2000). 탈북자들의 외상척도 개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

강차연 (2005). 재중 탈북여성들의 스트레스 대처방식.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0(1), 61-80.

3.

국경없는 의사회 (2006). 한국 내 북한인을 위한 심리지원. 2005년도 연간보고서.

4.

김상미 (2010). 북한이탈주민의 외상 후 스트레스, 우울과 ‘빗속의 사람’ 그림의 반응 특성. 대구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5.

김지영 (2013). 심리적 외상을 경험한 새터민 아동의 집단미술치료 사례연구: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를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6.

김현경 (2009). 현상학으로 바라본 새터민(탈북이주자)의 심리적 충격과 회복경험. 한국학술정보(주).

7.

김희경 (2012). 북한이탈주민의 외상 유형에 따른 복합 PTSD와 PTSD 증상의 차이.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1(4), 1003-1022.

8.

오수성, 김희경, 최영미, 김혜숙, 김석웅, 정명인 (2008). 북한이탈주민을 위한 PTSD 극복 프로그램 개발 연구용역보고서. 통일부.

9.

오수성, 김희경, 최영미, 김혜숙, 김석웅, 정명인 (2008). 북한이탈주민을 위한 PTSD 극복 프로그램 매뉴얼. 통일부.

10.

유정자 (2006). 재중 북한이탈주민의 정신건강에 대한 연구 보호기관 대상자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1.

윤여상 (2004). 재외탈북자 실태-현황과 대안을 중심으로. 제 7기 북한인권․난민문제 아카데미 발표논문.

12.

이경화 (2012). 강력사건에 노출된 경찰관들의 PTSD증상에 관한 연구: 형사과 근무자들을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3.

이아람 (2010). 복합외상경험과 경계선 성격특성의 관계에서 자기개념의 중재효과와 매개효과. 덕성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4.

손의정 (2010). 북한이탈주민의 복합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에 따른 심리적 증상. 경북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5.

신지은 (2012). 마음챙김을 기반으로 한 표현예술치료가 PTSD증상 감소에 미치는 효과. 명지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6.

신현균, 임지영, 김희경 (2009). 북한이탈주민용 간이심리상태검사 매뉴얼. 통일부.

17.

신현균, 김희경, 임지영 (2010). 북한이탈주민용 간이심리상태검사 개발 및 신뢰도, 타당도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9(3) 777-798.

18.

임소희 (2013). 북한이탈주민의 남한사회 적응 예측 모형: 심리적 외상-회복력 통합모델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9.

조영아 김연희 유시은 (2009). 남한 내 7년이상 거주한 북한이탈주민의 정신건강 예측요인.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1(1), 329-348.

20.

최빛내, 김희경 (2010). 탈북 여성의 강제 북송 여부에 따른 정신건강 차이. 2010년도 한국임상심리학회 봄 학술대회 자료집, 299- 300.

21.

최빛내, 김희경 (2011). 탈북 여성의 외상 경험과 성격병리가 심리 증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3(1) 195-212.

22.

최영희, 김대호 (2004).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심리적 치료. 대한불안장애학회 2004년도 재난과 정신건강 학술대회 논문집, 259- 279.

23.

홍창영 (2005). 북한이탈주민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에 대한 3년 추적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4.

Allen J. G. (1995). Coping with trauma: A Guide to self understanding.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Press.

25.

Lee, Y., Lee, M. K, Chun. K. H., Lee, K. Y. & Yoon, J. S. (2001). Trauma experience of North Korean refugees in China. Americ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20(3), 225-229.

26.

Herman, J. (1992). Complex PTSD: A syndrome in survivors of prolonged and repeated trauma. Journal of Traumatic Stress, 5, 377-391.

27.

Horowitz, M., Wilner, N. and Alvarez, W. (1979). Impact of Event Scale: A .measure of subjective stress. Psychosomatic Medicine. 41(3), 209-218.

28.

Molica R. F, Cui X, & Massagli MP (2002). Science-based policy for psychsocial interventions in refugee camps. The Journal of Nervous and Mental Disease. 190, 158-166.

The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