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s of mother and father's parenting self-efficacy on children’s academic self-efficacy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parental supports of learning. To achieve this, this study measured parenting self-efficacy of parents who have children in 4-6 grade of one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Gyeonggi-do province and their children’s academic self-efficacy by conducting survey. Among 240 distributed questionnaires, 200 from parents, 225 from children were used for analysis and it was verified the parenting supports of learning‘s complete mediation effects of parenting self-efficacy on children’s academic self-efficacy. It was also confirmed by the sub-factors,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learning environment management factors and the providing academic information factors. These results imply that mother and father's parenting self-efficacy is a variable to influence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academic self-efficacy and it is important to raise the level of parental supports of learning to improve children’s academic self-efficacy. It also has an academically and practically important meaning to show the effects and limitations of parenting supports of learning in improving children’s academic self-efficacy. Then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discussed.
권순영 (2007). 초등학생 학습기술향상을 위한 학부모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한국상담학회지, 8(2), 737-750.
김미옥 (2011). 부모코칭프로그램이 부모의 분노, 양육스트레스 및 부모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김민수 (2006). 자기결정성 및 부모의 학습지원 행동과 학습전략 및 학업성취의 관계. 전북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박사학위 논문.
김아영, 박인영 (1999).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교육평가학회 추계학술발 표대회 발표논문.
김아영 (2002).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교육학연구, 39(1), 95-123.
김아영 (2007). 학업적 자기효능감. 서울: 학지사.
김연수 (2007). 어머니의 학습관여와 자기주도학습능력과 학업자기효능감과의 관계. 대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종덕 (2001). 부모의 학습관여형태가 자녀의 학업동기에 미치는 영향. 제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현미, 도현심 (2004).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 및 양육행동과 아동의 사회적 능력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25(6), 279-298.
김효순 (2003). 사고양식, 자기효능감, 학업성취도의 구조적 관계분석. 전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남경인 (2010). 부모 학습기술향상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명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노명숙 (2009). 학습코칭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학령기 가족을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 회지, 29(4), 89-107.
문은식, 김충회 (2003). 부모의 학습지원행동과 초중학생의 학업동기 및 학업성취도의 관계, 한국교육심리학회, 17(2), 271-288.
문태형 (2002). 어머니의 사고양식 및 양육효능감과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 아동학회지, 23(6).
박영옥 (2008). 초등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의 양육태도와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관계.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영신, 김의철, 정갑순, 이상미, 권혁호, 양계민 (2000). 초․중․고등학생의 생활만족도 차이와 형성 및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5(1), 94-118.
변용수, 김경근 (2006). 부모의 교육적 관여가 자녀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제1회 한국교육종단 연구 학술대회 논문집, 3, 387-403.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박지홍 (1984). 자녀의 부모양육태도 지각과 자아수용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송현정 (1998). 부부관계 및 부모-자녀 관계가 장애아 형제 관계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신용주, 김혜수 (2003). 안드라고지의 실천적 개념으로서의 부모효능감: ANDRAGOGY TODAY, 6(1). 한국성인교육학회.
양난미 (2008). 초등학생의 진로포부에 대한 부모학습관여와 학업적 자기효능감과의 관계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0(2), 455-472
이수민 (2011). 완벽주의가 학업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스트레스,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3(3), 717-738.
이숙자 (2007). 학교폭력 진단 프로그램 활용방안(희망의 징검다리를 통한 ‘학교폭력관리진단’을 찾아서). 상담과 지도, 42, 233- 235.
이종각 (2003). 교육열 올바로 보기. 서울: 원미사.
이재현 (1994). 사교육비의 실태분석.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임은미 (1998). 학업동기 및 부모행동과 학업성취도의 관계.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우희정 (1992). 아동의 자기효능감 발달에 대한 이론적 고찰.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0(1), 15-25.
윤미선 (2006). 중학생의 부모 학습관여 지각과 교과흥미 및 교과성적의 관계. 교육방법연구. 18(2), 139-155.
정정애 (2010). 부모양육태도, 학업적 자기효능감, 성취목표지향성이 자기조절학습에 미치는 영향. 상담학연구. 11(3), 1191-1202.
최형성, 정옥분 (2001).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척도의 개발. 아동학회지, 22(3), 1-16.
최형성 (2002). 어머니의 사회적 지원 및 스트레스와 아동의 기질이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하정효 (2003). ICT활용 수업유형이 영어 학습태도, 학업 성취도 및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한신애 (2010). 학령기 아동의 자기효능감 관련변인들 간의 관계 구조분석.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홍영주 (2011).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과 초등학생 학업성취 간의 관계에서 부모의 학습관여와 초등 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Bandura, A. (1977). Social learning theory.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Bandura, A. (1982). Self-efficacy: Mechanism in human agency. American Psychologist, 37, 122-215
Bandura, A. (1986).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Bandura, A. (1993). Perceived self-efficacy in cognitive development and functioning. Educational Psychologist, 28, 117-118.
Bandura, A. (1997).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New York: W. H. Freeman and Company.
Bar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1182.
Coleman, P. K., & Karraker, K. H. (1997). Self-efficacy and Parenting Quality: Finding and Future Applications. Development review, 18(1), 47-85.
Coopersmith, S. (1967). The Antecedents of Self-Esteem. Palo Alto, Ca: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Dorsey, S., Klein, K., Forehand, R., & Family Health Project Research Group, (1999). Parenting self-efficacy of HIV-infected mothers: the role of social support.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1, 295-305.
Lanthan, G. P. & Locke, E. A. (1991). Self-regulation through goal setting.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es, 50, 212-247.
Mondell, S., & Tyler, F. B. (1981). Parental competence and style of problem-solving: Play behavior with children. Developmental psychology, 17, 73-78.
Sherer, M., Maddux, J. E., Mercandante, B., Prentice-Dunn, S., Jacobs, B., & Rogers, R. W. (1982). The self-efficacy scal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Psychological Reports, 51, 663-671.
Teti, O. M., & Gelfand, D. M. (1991). Behavioral competence among mothers of infants in the first year: The mediatorial role of maternal self-efficacy. Child Development, 62, 918-9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