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학업지속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xploring the academic persistence of universities students

초록

본 연구는 학업지속을 예측하는 요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탐색하기 위해 연구를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A대학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3,379명의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학업지속의도 및 학업지속영향요인에 대한 성별 및 학년별 차이분석 결과, 성별과 학년에 관계없이 모두 대학만족 요인이 가장 중요한 설명변인이었다. 그러나 다른 영향요인들 간에는 성별과 학년별 차별적 요인이 나타났다. 학업지속을 예측하는 요인으로 선정된 대학만족, 전공만족, 교육과정만족, 교수신뢰, 교수접근가능성, 대인관계만족, 대학활동만족, 대학서비스 및 기타 환경만족, 정서적 안정성, 학습습관, 통학만족, 경제적 어려움과 학업지속 의도를 준거로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대학만족, 통학만족, 교수신뢰, 경제적 어려움이 유의미한 예측력을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향후 연구 과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keywords
academic persistence, academic persistence intention, 대학생 학업지속, 학업지속 의도

Abstract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plore the predictors of academic persistence. A sample of 3,379 students who studies in A university were participated in this survey. In analysis of gender and grade level differences, university satisfaction was most important variable However, other factors that influence discriminatory factor between gender and grade level, respectively. Prediction of persistence consists of 12 factors including satisfaction of institution, major, curriculum, etc. We identified the relative effects between each of the 12 factors and intention of persistence. The results of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demonstrated that satisfaction of institution, distance between residence and location of institution, faculty trust, economic difficulties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intention of persistence. And, 6 of the 12 factors and intention of persistence had significant differential effect by the school year. Finally, the limitations and future directions of the present study were discussed.

keywords
academic persistence, academic persistence intention, 대학생 학업지속, 학업지속 의도

참고문헌

1.

강승호 (2010). 대학생의 학업성취와 중도탈락 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분석. 교육평가연구, 23(1), 29-53.

2.

권혜진 (2011). 개인, 교육기관, 사회적 변인이 사이버대 재학생의 중도탈락의도의 결정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0(3), 404-412.

3.

김경희 (2011). 지방대학생들의 학업중단 영향요인과 대학생활만족도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1(8), 378-387.

4.

김수연 (2006). 대학생의 학업지속과 중도탈락 요인분석. 한국교육, 33(4), 33-62.

5.

김수연 (2010). 대학생의 학업지속 경향성 척도 개발과 양호도 검정. 진로교육연구, 23(3), 1-29.

6.

김용남 (2009). 대학생의 학업중단 요인 분석.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7.

김재현 (2011). 전문대학생의 개인, 교육기관, 사회적 변인과 중도탈락의도의 위계적 관계. 한국직업교육학회, 30(2), 249-266.

8.

노혜란, 최미나 (2008). 대학생의 중도탈락 영향요인 분석을 통한 고등교육 인적자원개발 정책 방안. 인적자원개발연구, 11(1), 89-107.

9.

문은식 (2006). 청소년의 학교중도탈락행도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 동기적 변인들의 구조적 분석. 교육심리연구. 20(2). p405-423.

10.

박희민 (2009). 전문대학 학생중도탈락 요인분석.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1.

양병화 (2009). 다변량 자료분석의 이해와 활용. 학지사.

12.

오영재 (2005). 대학간 학생이동의 영향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교육행정학연구, 23(1), 327-356.

13.

이병식 (2003). 대학생의 학업중단에 영향을 미치는 대학 기관 특성의 탐색적 분석. 한국교육학회, 41(2), 135-154.

14.

정은이, 박용한 (2008), 대학생들이 교수신뢰와 학습동기 및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 아시아교육연구, 9(1), 73-93.

15.

천석준, 김영아 (2011). Tinto의「분리-전환-통합」모델에 입각한 대학생활적응검사 Ⅰ․Ⅱ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8(2), 235-262.

16.

최길순 (2010). 전문대학생의 중도탈락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비즈니스리뷰, 3(1), 95-118.

17.

최명선, 강지희 (2008). 대학생 중도탈락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청소년학 연구, 15(7). p203-225.

18.

한국 경제 뉴스 (2012). 거꾸로 가는 사립대…등록금 의존 더 심해졌다. 2012년 06월 03일.

19.

Astin, A. (1993). What matters in college. San Francisco: Jossey-Bass.

20.

Metzner, B. S., & Bean, J. P. (1987). The estimation of a conceptual model of nontraditional undergraduate student attrition. Research in Higher Education, 27(1), 15-38.

21.

Munro, B. H. (1981). Dropouts from higher education: Path analysis of a national sampl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18, 133-141.

22.

Pascarella, E. T. (1980). Student-faculty informal contact and college outcomes.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50(4), 545-595.

23.

Ramist, L. (1981). College student attrition and retention (Report No. 81-1).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Board, New York.

24.

Spady, W. G. (1970). Dropouts from Higher Education: An Interdisciplinary. Review and Synthesis. Interchange, 1(1), 64-85.

25.

Tinto, V. (1975). Dropout from Higher Education: A Theoretical Synthesis of Recent Research.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45, 89-125.

26.

Tinto, V. (1987). The Principles of Effective Retention. Paper presented at the fall conference of the Maryland College Personnel Association, Largo, MD.

27.

Tinto, V. (1993). Leaving College: Rethinking the Causes and Cures of Student Attrition. (Second Edition)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Chicago.

28.

Tinto, V. (2002). Promoting Student Retention: Lesson Learned from the United States. Presented at the 11th Annual Conference of the European Access Network, Prato, Italy. June 19.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