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The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

A Life History Study on Women in 50s Who Started Studying Late: Focusing on Life Dimensions, Turning Points and Adaptatio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life history study was to analyz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meanings of studying in old age, and change processes in lives for women who started studying late. To achieve this purpose of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seven women in 50s who started studying, majoring in social welfare in s college. In the process of data analysis, common categories and sub-concepts were extracted according to Mandelbaum’s three conceptual frameworks: life dimensions, turning points, and adaptation. In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extracted categories were ‘family of origin’, ‘family of procreation’, and ‘school’ in life dimension, ‘frustration to further studying in advanced levels’, ‘getting jobs’, ‘marriage’, ‘parenthood for school’, ‘mid-life crisis’ and ‘entering middle and higher schooling’ in turning points, and ‘acception to their own circumstances’, ‘meeting their own expectations’, ‘the change of family relationships’, ‘making of a new identity’ and ‘vision of future’ in adaptation. Especially, in this study, some results to show enhance of self-esteem, construction of self-identity and improvement of family relationships though the experiences of studying in college among women who started studying late were emerged. By tracing the women’s life experiences and visualizing their issues, this study has some helpful implications: Late learning activities in their age were able to give opportunities to be a positive way to spend the extended ole ages more healthily and meaningfully as well as opportunities to achieve their self-actualization.

keywords
만학도, 생애사, 삶의 영역, 전환점, 적응, women who started studying late, life history, life dimensions, turning points, adaptation

Reference

1.

공은화 (2007). 성인 문해교육기관의 운영 실태 분석.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국립정신병원 (2001). 정신질환 실태 역학 조사. 보건복지부 용역보고서. 서울: 중앙문화사.

3.

김동훈 (2001). 학벌주의의 극복을 위한 교육정책적 대안.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4.

김영숙, 이근무 (2008). 탈성매매 여성들의 생애사 연구: 그 끝없는 탈주에 대하여. 한국사회복지학, 60(3), 5〜30.

5.

김영천 (2012). 질적연구방법론. 서울: 아카데미프레스.

6.

김현정 (2006). 한국의 학벌주의에 관한 연구.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혜숙 (2003). 성인학습자의 정체성에 관한 연구: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여성을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민선향 (2006). 성인들의 배움에 관한 연구: 학위과정의 참여자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9.

박연하 (2006). 중년여성의 학습경험 유형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

배성의 (1996). 한국 성인의 사회교육 참여 정도와 그 관련변인 분석.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1.

백종주 (2002). 저학력 비문해 여성의 경험 세계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신미식 (2002). 여성 성인학습자의 평생교육기관으로서의 대학. 평생교육학연구, 8(1), 121〜151.

13.

이기연 (2006). 성인여성의 학습체험에 관한 질적 연구: 방송대 주부학생의 사례.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4.

이화연 (2011). 생애사를 통해 본 공공부조수급 여성 가구주의 삶. 아시아여성연구, 50(1), 137〜138.

15.

이은정 (2003). 중년기의 부부관계 만족도 위기감 및 부부교육 요구도 연구.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이정의 (1997). 대학사회교육 참여 동기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이정희 (2007). 만학도의 대학생활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평생교육학연구, 13(3), 89- 116.

18.

정태화 (2003). 학벌주의 극복을 위한 종합대책 연구.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19.

정형돈 (2006). 블루오션 컨셉트 기반 성인 만학도 개별 맞춤식 교과목 개발․운영․평가 프로그램.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20.

조용환 (1999). 질적 연구방법과 사례. 서울: 교육과학사

21.

최 순 (1986). 한국의 인구와 인구 변동. 한국사회학, 19, 3〜12.

22.

최운실 (1986). 성인교육유형에 따른 교육 참여 동기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3.

최운실 (1990). 한국의 평생교육. 서울: 교학사.

24.

홍완호 (1978). 우울증 빈도의 남녀대비에 관한 고찰.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Creswell, J. W. (2005). 질적연구방법론 다섯 가지 전통.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Choosing among five traditions}. (조흥식, 정선욱, 김진숙, 권지성 역). 서울: 학지사(원전은 1998년에 출판).

26.

Dave, R. H.(Ed). (1976). Foundations of lifelong education. Oxford: Pergamon Christine.

27.

Hammen, C. (2003). Social stress and women's risk for recurrent depression. Archives of Women's Mental Health, 6, 9〜13.

28.

Hummel, C. (1977). Education today for the world tomorrow. Switzerland: UNESCO.

29.

Mandelbaum, D. G. (1973). The study of life history. Current Anthropology, 14(3), 177〜206.

30.

Northrup, C. (2002). 폐경기 여성의 몸, 여성의 지혜. {The wisdom of menopause}. (이상춘 역). 서울: 한문화(원전은 2001년에 출판). Mandelbaum

The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