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권호 목록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낙관성과 심리적 안녕감이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
오옥선(제주대학교) pp.93-116 https://doi.org/10.18205/kpa.2014.19.2.00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가정 어머니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임파워먼트의 차이를 살펴보고, 낙관성과 심리적 안녕감이 임파워먼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전국에 있는 다문화가정 어머니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른 임파워먼트 차이에서는 연령과 결혼연수, 결혼유형, 학력, 직업, 자녀수에 따라 임파워먼트의 차이가 나타나고 있었다. 둘째, 낙관성 및 심리적 안녕감이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낙관성과 심리적 안녕감 중 자아수용, 환경에 대한 통제력과 삶의 목적, 개인적 성장은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낙관성과 심리적 안녕감 중 자아수용, 환경에 대한 통제력, 삶의 목적, 개인적 성장은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심리적 안녕감 중 환경에 대한 통제력과 긍정적 대인관계가 무기력-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낙관성과 심리적 안녕감의 자아수용, 자율성, 환경에 대한 지배력, 삶의 목적은 지역사회활동 및 자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This study was to look into the differences of the empowerment based on the social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mother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to find out how much influence the optimism and psychological well-being have on the empowerment. Data was collected by surveying the 400 mother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cross the nat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regarding the differences of the empowerment according to the factors of the demographic systematics, there were the differences of the empowerment depending on how old they are, how long they have been married, how much educated they are, what kind of jobs they have and how many children they have. Secondly, for the influence on the empowerment of the optimistic attitude and psychological well-bing, the self-acceptance, the power to control the environment, the goals of life, and the personal background of uprising have an influence on the sense of self-efficiency among other things. Thirdly, he self-acceptance, the power to control the environment, the goals of life, and the personal background of uprising also have an effect on the self-esteem. In addition, the power to control the environment and the positive relationships with others coming from the psychological well-being have an impact on the lethargy-power. Lastly, the self-acceptance, autonomy, the power to control the environment, the goals of life derived from the optimism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fluence the social activities in the local communities and their autonomy.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낙관성과 심리적 안념감이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
오옥선(제주대학교) pp.93-116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가정 어머니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임파워먼트의 차이를 살펴보고, 낙관성과 심리적 안녕감이 임파워먼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전국에 있는 다문화가정 어머니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른 임파워먼트 차이에서는 연령과 결혼연수, 결혼유형, 학력, 직업, 자녀수에 따라 임파워먼트의 차이가 나타나고 있었다. 둘째, 낙관성 및 심리적 안녕감이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낙관성과 심리적 안녕감 중 자아수용, 환경에 대한 통제력과 삶의 목적, 개인적 성장은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낙관성과 심리적 안녕감 중 자아수용, 환경에 대한 통제력, 삶의 목적, 개인적 성장은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심리적 안녕감 중 환경에 대한 통제력과 긍정적 대인관계가 무기력-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낙관성과 심리적 안녕감의 자아수용, 자율성, 환경에 대한 지배력, 삶의 목적은 지역사회활동 및 자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This study was to look into the differences of the empowerment based on the social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mother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to find out how much influence the optimism and psychological well-being have on the empowerment. Data was collected by surveying the 400 mother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cross the nat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regarding the differences of the empowerment according to the factors of the demographic systematics, there were the differences of the empowerment depending on how old they are, how long they have been married, how much educated they are, what kind of jobs they have and how many children they have. Secondly, for the influence on the empowerment of the optimistic attitude and psychological well-bing, the self-acceptance, the power to control the environment, the goals of life, and the personal background of uprising have an influence on the sense of self-efficiency among other things. Thirdly, he self-acceptance, the power to control the environment, the goals of life, and the personal background of uprising also have an effect on the self-esteem. In addition, the power to control the environment and the positive relationships with others coming from the psychological well-being have an impact on the lethargy-power. Lastly, the self-acceptance, autonomy, the power to control the environment, the goals of life derived from the optimism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fluence the social activities in the local communities and their autonomy.

강화학습과제에서의 어머니의 이타적 성향과 자녀의 공감 간의 관계
김은영(연세대학교) ; 설선혜(고려대학교) ; 유하나(연세대학교) ; 김학진(고려대학교) ; 송현주(연세대학교) pp.117-136 https://doi.org/10.18205/kpa.2014.19.2.002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이타성과 영유아기 자녀의 공감 능력 발달의 관련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어머니의 도덕성은 최근에 개발된 이타적 강화학습과제와 함께 이타적 행동의 빈도, 사회가치 지향성, 마키아벨리즘 성향을 측정하는 자기보고 척도들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자녀의 도덕성은 생애 초기부터 출현하는 도덕적 정서인 공감을 어머니의 설문으로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강화학습과제에서 이타적으로 행동했던 어머니의 자녀들이 높은 공감 수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보고 척도 측정치 중에서는 마키아벨리즘의 하위척도인 무도덕적 조작과 지위 욕구만이 자녀의 공감과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본 연구 결과는 자녀의 도덕적 정서 발달과 관련되어 있는 양육자의 도덕성을 타당하게 측정할 수 있는 방식이 무엇인지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공한다.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how infants’ and preschoolers’ empathy is related to maternal morality. Mothers’ altruistic behaviors were measured by using the reinforcement learning task in which the mothers learned the association between an ambiguous figure and a reward for either self, other, or both. The mothers also completed self-report questionnaires on altruism, social value orientation, Machiavellism, and children's empathy. The results showed the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mothers’ altruistic behaviors in the reinforcement learning task and their children’s empathy. Amoral characteristics of mothers in Machiavellism scale were negatively related to their children’s empathy. Mothers with high desire for status tended to have infants with the low level of empathy. Mothers who were willing to manipulate others for their benefit were more likely to have preschoolers who had the low level of empathy. The current research provides new perspectives on how to measure mothers' morality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morally relevant emotions.

중년여성의 꿈 경험에 관한 탐색적 연구 -상담 장면에서의 꿈 활용가능성을 중심으로-
주은선(덕성여자대학교) ; 정혜인(덕성여자대학교) pp.137-159 https://doi.org/10.18205/kpa.2014.19.2.00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중년여성들이 생각하는 꿈의 의미와 중년여성들을 대상으로 한 상담에서 꿈의 활용가능성을 탐색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중년여성들이 꿈을 개별적으로 체험하면서 받아들이는 주관적이고 현상학적인 의미에 중점을 두었다. 그리고 연구방법으로는 합의적 질적 연구법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CQR)을 사용하여 12명의 50대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하여 그들의 꿈에 대한 경험을 탐색하였다. 분석결과 꿈에 대한 태도, 자신 및 타인과의 관계, 꿈의 활용, 3개의 중심개념과 10개의 영역, 그리고 총 23개의 범주가 구성되었다. 첫 번째 중심개념 꿈에 대한 태도에서는 과거를 회상하는 태도, 현실의 심리와의 연결감을 갖는 태도, 미래를 예언하는 기능을 신뢰하는 태도 이 세 가지 결과가 도출되었다. 두 번째 중심개념 자신 및 타인과의 관계에서는 자녀와의 관계, 배우자와의 관계, 부모 및 조상과의 관계, 자신과의 관계 이렇게 네 가지 부분의 관계를 꿈을 통해서 체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 중심개념은 꿈의 활용으로, 꿈을 예방차원에서 활용하는 것, 종교적인 차원에서 활용하는 것, 실생활에서 활용하는 것 이렇게 세 부분으로 나뉘었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중년여성들이 과거·현재·미래를 통합하는 매개체이자, 주변관계를 자각하고 자아상과 욕구에 대해서 통찰할 수 있는 수단으로서의 꿈의 가능성을 논의하였으며, 본 연구결과에서 제시된 중년여성들의 초월적이고 종교적인 꿈에 대한 믿음을 반영하여 꿈 치료 프로그램을 구성하여야함을 주장하였다.

Abstract

This research aimed to explore the possibility and effectiveness of using dreams in counseling middle-aged women. In terms of the perspective on dreams, this research focused on the phenomenological approach on dreams. Using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CQR), 12 middle- aged women were interviewed on dream experiences. Based on the analysis, 3 core ideas, 3-4 domains in each core idea, and 23 categories were drawn. In the “Attitude on dreams” core idea, “Reflecting the past”, “Sense of connection with the feeling in reality”, and “Trust in the ability to predict the future” domains were retrieved. In the “ Relationships with myself and others” core idea, “Relationship with children”, “Relationship with spouse”, “Relationship with parents and ancestors” and “Relationship with myself” domains were drawn. Finally, “In the usage of dreams” core idea, “Usage of dreams as precautions”, “Usage of dreams as a means of religious spirit”, and “Usage of dreams in real life” were developed. Based on the findings, several suggestions were discussed for the possibility and the effectiveness of using dreams in counseling middle-aged women.

남녀의 일과 삶의 균형에 영향을 미치는 인과변인과 결과변인의 차이연구: 기혼직장인을 대상으로
손영미(서울과학종합대학원) ; 박정열(서울과학종합대학원) pp.161-190 https://doi.org/10.18205/kpa.2014.19.2.004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일과 삶의 균형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과 가족, 조직관련 변인에 있어서 남녀 간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아울러 삶의 질, 결혼만족도,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일과 삶의 균형 요인을 살펴보고, 남녀에 따라 이들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기혼직장인 520명(남성 258명, 여성 262)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분석결과 남녀 간에 유사점과 차이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남녀에 따라 일과 삶의 균형에 영향을 미치는 인과변인이 다른지를 살펴본 결과, 남성은 비효율적 업무문화가 일과 삶의 균형에 매우 주요한 변인이었으며, 여성은 비효율적 업무문화 이외에도 가사분담만족도, WLB 조직문화가 주요한 변인으로 드러났다. 남녀에 따라 일과 삶의 균형이 삶의 질, 결혼만족도,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삶의 질과 이직의도는 남녀 간 유사한 경향을 보이고 있었다. 반면 결혼만족도의 경우, 남성은 ‘일-가족 균형’이 결혼만족도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반면, 여성은 특히 일-여가 균형의 영향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variables that affect married workers’ work-life balance and to verify gender differences in individual variables(WLB belief, resilience), family variables(work support, satisfaction to sharing family work), organization variables(WLB culture, inefficient working system). Moreover, this study assessed the relationships between work-life balance and quality of life, marital satisfaction, intentions to withdraw in a sample of 520 married workers(mal2: 258, female: 262). The results were as followed. Firstly, regression analyses showed that the inefficient working systems were strongly associated with men’ work-life balance, while satisfaction to sharing family work and WLB culture, as well as inefficient working systems, were strongly associated with women’s work-life balance. Secondly,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ere no sexual differences in the effects of work-life balance on quality of life and intentions to withdraw, while there were significant sexual differences in marriage satisfaction. Especially, marital satisfaction was affected by work-family balance in men. On the other hand, work-leisure balance was the key factor to affect on women’s marital satisfaction.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