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권호 목록

대학생의 애착, 분리-개별화와 불안의 관계: 사회적 지지의 완충효과를 중심으로
김효정(아이코리아 송파아이존) ; 이승연(이화여자대학교) ; 노경란(아이코리아 송파아이존) pp.339-359 https://doi.org/10.18205/kpa.2014.19.4.00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애착, 분리-개별화와 불안의 관계를 살펴보는 한편, 애착, 분리-개별화와 불안의 관계 속에서 사회적 지지의 완충효과가 성별에 따라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대학생 491명의 부모 애착 척도, 한국청소년개체화 척도, 사회적 지지 척도, 특성불안 척도 결과가 연구에 사용되었다. 첫째, 애착과 분리-개별화의 상관분석 결과, 두 변인 간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확인되었다. 둘째, 애착, 분리-개별화,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의 불안 예측력이 성별에 따라 어떻게 다른지를 보았을 때, 남학생의 불안에 있어서는 애착, 분리-개별화, 정서적 지지가 예측력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고, 여학생의 불안에 있어서는 분리-개별화, 평가적 지지가 불안을 가장 유의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애착, 분리-개별화와 불안과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완충효과가 성별에 따라 어떻게 다른지를 살펴본 결과, 남학생에서는 앞서 불안을 유의하게 설명한다고 밝혀졌던 정서적 지지의 완충효과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고, 여학생에서는 앞서 불안을 유의하게 설명한다고 밝혀졌던 평가적 지지의 완충효과가 유의함이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이 논의되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ausal relationship among attachment, separation-individuation and anxiety, and to compare the interaction effect of social support in each gender. The sample comprised 491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The measurements used 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IPPA), Korean late adolescent Individuation Questionnaire, Perceived Social Support Inventory, and State-Trait Anxiety Inventory(STAI).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ttachment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separation-individuation. Second. attachment, separation-individuation and emotional support significantly contributed to the prediction of male university student's anxiety. On the other hand. in female university student, separation-individuation and evaluative support significantly predicted to anxiety. Finally, interaction effect of emotional support was non-significant in male university student's. But in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teraction effect of evaluative support was significant. The findings of this study would contribute to more gender-specific, integrates approaches for anxiety prevention or intervention.

애착손상을 경험한 유방암 여성의 부부친밀감 및 정신건강에 대한 용서의 매개효과
서미아(단국대학교) pp.361-384 https://doi.org/10.18205/kpa.2014.19.4.002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부부간의 관계에서 애착손상을 경험한 유방암 여성을 대상으로 애착손상이 부부친밀감과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구조 모형을 구축하고 이들 간의 관계에서 용서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의 대상은 서울과 경기지역의 2개 종합병원 유방암 클리닉에 내원하는 유방암 진단을 받은 여성 216명이었다. 선행연구를 통하여 애착손상을 외생변인으로 하여 용서는 매개변인, 부부친밀감과 정신건강은 내생변인으로 하는 가설적 모형을 설정하였다. 모형의 적합도를 규명하고 경로를 분석하기 위하여 Amo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설적 모형의 적합도 지수들은 권장수준을 충족하지 못하여 모형의 수정을 가하였다. 그 결과 χ2=29.0, 표준 χ2= 1.61(CMIN/DF), GFI=.97, AGFI=.93, NFI=.90, SRMR=.06, TLI=.91, RMSEA=.05로 지수들이 적합한 모형을 구축하였다. 둘째, 수정 모형에서는 가설적 모형에서 설정한 5개의 경로 중 4개의 경로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즉, 애착손상에서 용서, 부부친밀감, 정신건강으로 가는 경로가 유의하였고, 용서에서 부부친밀감으로 가는 직접적인 경로도 유의하였다. 그러나 용서에서 정신건강으로 가는 경로는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용서는 애착손상과 부부친밀감의 관계에서 유의한 매개요인이었으나 정신건강과의 관계에서는 매개요인이 되지 못하였다. 모든 경로의 직접적인 효과에서 용서가 부부친밀감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강했으며 애착손상과 용서는 부부친밀감을 63% 설명하였고 정신건강은 8% 설명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애착손상을 경험한 유방암 여성의 부부친밀감을 증진시키기 위한 교육 및 상담 프로그램 개발 시 용서에 대한 개입의 필요성이 제언된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ttachment injury on marital intimacy and mental health and to test the mediating effects of forgiveness in breast cancer women. Total 216 women with breast cancer who had experience of attachment injury participated in this study. Data was collected at two clinics of breast cancer in general hospital in Seoul and Kyounggi province. Hypothetical model was consisted of variables with attachment injury, marital intimacy, mental health, and forgiveness. Amos 18.0 was used to identify fitness and analyze the paths of the model.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fitness indices of hypothetical model indicated that the data did not fit well and it needed to be modified. After modification model fit showed good with χ2=29.0, Normed χ2= 1.61(CMIN/DF), GFI=.97, AGFI=.93, NFI=.90, SRMR=.06, TLI=.91, RMSEA=.05. Second, four paths from attachment injury to marital intimacy, mental health, and forgiveness and from forgiveness to marital intimacy were significant. But path from forgiveness to mental health was not significant. Third, forgiveness was not a significant mediating variable between attachment injury and mental health but a significant mediating variable between attachment injury and marital intimacy. Forgiveness was the strongest influencing factor to marital intimacy in the model. Attachment injury and forgiveness explained 63% of marital intimacy and 8% of mental health. It is suggested to include forgiveness in development of education and marital therapy for breast cancer women with attachment injury.

배우자 폭력을 경험한 여성의 뇌 연구
김영윤(경기대학교) pp.385-408 https://doi.org/10.18205/kpa.2014.19.4.00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배우자 폭력을 경험한 피학대 여성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뇌 관련 연구들을 개관하였다. 피학대 여성의 외상적인 뇌손상 연구를 살펴보고, 신경심리검사를 이용한 인지기능 연구들을 알아보고, 뇌영상법을 이용한 뇌구조와 뇌기능에 대한 연구들을 정리하였다. 배우자 폭력에 의한 외상적인 뇌손상은 반복적인 머리구타와 목 졸림에 의해 형성되고, 피학대 여성들은 집행기능, 작업 기억, 주의와 같은 인지기능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피학대 여성들은 합리적 의사결정에 중요한 전두엽이 손상되고, 공포반응과 관련한 편도체와 정서를 조절하는데 관여하는 전측 대상 피질의 기능에 이상이 나타났다. 배우자 폭력의 경험은 심리적/생리적 스트레스를 일으키고, 만성적인 스트레스는 시상하부-뇌하수체-아드레날린 축의 과활성화를 통해 면역기능을 억제시킬 수 있다. 마지막으로 추후 연구 방향을 제안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brain studies of women with intimate partner violence. Previous studies about traumatic brain injury and cognitive function in battered women were examined. Several studies were reviewed with pivotal research results in brain structure/function of battered women using brain imaging. Head injuries and attempted strangulation injuries can result in traumatic brain injury. Battered women showed cognitive dysfunctions in executive function, working memory, and attention. Battered women may have an impaired ability to make a rational decision with frontal lobe damage. Battered women had hyperresponsiveness in amygdala to fearful stimuli and poor emotional regulation with deficit of anterior cingulate cortex. The chronic nature of intimate partner violence can cause psychological stress and physiological stress, which can suppress immune system with hyperreactivity of the hypothalamic-pituitary-adrenal axis. The limitations of the studies and directions for the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성폭력 피해 여성들의 ‘성장(thriving)’ 경험의 의미
공춘옥(숙명여자대학교) ; 김봉환(숙명여자대학교) pp.409-431 https://doi.org/10.18205/kpa.2014.19.4.004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성폭력 피해를 경험한 여성들에게 ‘성장(thriving)’이란 무엇인가를 알아봄으로써 성폭력 피해를 경험한 여성들에게 있어서 ‘성장’ 경험의 의미를 구체적으로 기술하여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은 20대에서 40대의 여성으로 일정기간 상담이나 프로그램 참여를 한 사람으로서 눈덩이표집방식으로 선정하였다. 자료 분석은 현상학의 반 매넌(van Manen)의 방법을 적용하여, 연구참여자의 경험의 의미에 집중하고 경험한 그대로의 탐구와 해석학적 현상학적 반성 및 글쓰기를 하였다. 연구과정 중에 수집된 다양한 자료를 분석 및 해석할 때도 현상학적 연구자의 자세를 유지하며 성폭력 피해에 있어서 성장 경험의 의미를 드러내고자 하였다. 그 결과 6개의 상위 주제와 19개의 하위 주제로 도출되었다. 6개의 상위 주제는 <치유의 변주곡 연주하기>, <외상의 기억으로부터 자유로워지기>, <자경(自敬)하기>, <타인, 세상과 온전하게 소통하기>, <원하는 생애사 건축하기>, <또다른 성장을 향해 나아가기>로 나타났다. 성폭력에 있어서 외상을 통한 ‘성장’에 관련된 질적연구가 초기단계인 상황에서 외상을 통한 ‘성장’의 경험을 자세하게 기술하여 어떤 측면에서 역량이 강화되고 삶을 더 성숙하게 살게 되었으며, 남아있는 과제가 무엇인지를 구체적으로 볼 수 있었다. 또, 상담 장면에서도 내담자의 증상에 함몰되지 않고 내담자가 갖고 있는 회복탄력성(resilience)을 믿으며 상담에서 앞으로 나아가야할 목표, 방향성을 찾을 수 있는 계기를 마련했다.

Abstract

The research aims to explore the meanings of thriving experiences after sexual violence with detailed descriptions. The research participants are six women who are in their 20th to 40th. They participated counseling or special programs for sexual violence victims for certain periods. The data has been collected from December 2011 to May 2014. During the period, I had one or three times of in-depth interviews with each participant. The access for the research participants was through snow balling, the personal acquaintances of mine, or introductions by my acquaintances. In my analysis, the six overarching themes and nineteen specific themes have come up with from the interviews. The higher themes are <playing the variations of healing>, <free from the traumatic memories>, <self-respect>, <communication wholly with others and the world>, <construct the life histories as one hope>, <to move forward for thriving experiences>. The significance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positive and thriving experiences after sexual abuse within the psychological framework. Heretofore, the qualitative research on the thriving experiences after sexual abuse is at the early stage of discussions and research both nationally and internationally. In addition, the research provides the opportunity for counselors to believe in the resilience of clients, not to be diverted by the symptoms of clients, rather firmly seeking the goals and directions of counseling in the consultation scenes.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as follows: Participants of this study are those who have contemplated for a long time about their sexual abuse experiences and participated social activism which provided them the opportunities to empower themselves. If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those who only have taken psychological counseling, the results would reveal different aspects of experiences.

성폭력 피해 여성들의 '성장(thriving)' 경험의 의미
공춘옥(숙명여자대학교) ; 김봉환(숙명여자대학교) pp.409-43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성폭력 피해를 경험한 여성들에게 '성장(thriving)'이란 무엇인가를 알아봄으로써 성폭력 피해를 경험한 여성들에게 있어서 '성장' 경험의 의미를 구체적으로 기술하여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은 20대에서 40대의 여성으로 일정기간 상담이나 프로그램 참여를 한 사람으로서 눈덩이표집방식으로 선정하였다. 자료 분석은 현상학의 반 매넌(van Manen)의 방법을 적용하여, 연구참여자의 경험의 의미에 집중하고 경험한 그대로의 탐구와 해석학적 현상학적 반성 및 글쓰기를 하였다. 연구과정 중에 수집된 다양한 자료를 분석 및 해석할 때도 현상학적 연구자의 자세를 유지하며 성폭력 피해에 있어서 성장 경험의 의미를 드러내고자 하였다. 그 결과 6개의 상위 주제와 19개의 하위 주제로 도출되었다. 6개의 상위 주제는 <치유의 변주곡 연주하기>, <외상의 기억으로부터 자유로워지기>, <자경(自敬)하기>, <타인, 세상과 온전하게 소통하기>, <원하는 생애사 건축하기>, <또다른 성장을 향해 나아가기>로 나타났다. 성폭력에 있어서 외상을 통한 '성장'에 관련된 질적연구가 초기단계인 상황에서 외상을 통한 '성장'의 경험을 자세하게 기술하여 어떤 측면에서 역량이 강화되고 삶을 더 성숙하게 살게 되었으며, 남아있는 과제가 무엇인지를 구체적으로 볼 수 있었다. 또, 상담 장면에서도 내담자의 증상에 함몰되지 않고 내담자가 갖고 있는 회복탄력성(resilience)을 믿으며 상담에서 앞으로 나아가야할 목표, 방향성을 찾을 수 있는 계기를 마련했다.

Abstract

The research aims to explore the meanings of thriving experiences after sexual violence with detailed descriptions. The research participants are six women who are in their 20th to 40th. They participated counseling or special programs for sexual violence victims for certain periods. The data has been collected from December 2011 to May 2014. During the period, I had one or three times of in-depth interviews with each participant. The access for the research participants was through snow balling, the personal acquaintances of mine, or introductions by my acquaintances. In my analysis, the six overarching themes and nineteen specific themes have come up with from the interviews. The higher themes are <playing the variations of healing>, <free from the traumatic memories>, <self-respect>, <communication wholly with others and the world>, <construct the life histories as one hope>, <to move forward for thriving experiences>. The significance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positive and thriving experiences after sexual abuse within the psychological framework. Heretofore, the qualitative research on the thriving experiences after sexual abuse is at the early stage of discussions and research both nationally and internationally. In addition, the research provides the opportunity for counselors to believe in the resilience of clients, not to be diverted by the symptoms of clients, rather firmly seeking the goals and directions of counseling in the consultation scenes.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as follows: Participants of this study are those who have contemplated for a long time about their sexual abuse experiences and participated social activism which provided them the opportunities to empower themselves. If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those who only have taken psychological counseling, the results would reveal different aspects of experiences.

여대생의 가정폭력경험이 데이트폭력 피해에 미치는 영향: 명시적·암묵적 성 고정관념의 매개효과 검증
최윤경(국립법무병원) ; 송원영(건양대학교) pp.433-446 https://doi.org/10.18205/kpa.2014.19.4.00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가정폭력경험과 데이트 폭력 피해경험이 명시적·암묵적 성 고정관념과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지 살펴보고, 매개 효과를 확인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중부권의 대학교에 재학 중인 52명의 여대생을 대상으로 실시되었고, 가정폭력경험과 데이트 폭력 피해 경험, 성 고정관념에 대한 태도에 대한 자기보고식 질문지 작성 및 프로그램을 시행하였다. 자기보고식 평가도구는 성 고정관념 척도, 가정폭력 피해경험 척도, 갈등 관리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암묵적 성 고정관념은 Greenwald 등(1998)이 고안한 암묵적 연합검사(Implicit Associate Test, IAT)를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각 변인들 간의 상관분석과 가정폭력경험 유무에 따른 명시적·암묵적 성 고정관념의 차이, 가정폭력경험과 데이트폭력 피해경험에 대해 성 고정관념이 매개하는지 알아보고자 매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가정폭력경험과 암묵적 성 고정관념, 데이트폭력 피해경험은 정적상관을 이루고 있었다. 가정폭력경험 유무에 따라 암묵적 성 고정관념의 차이를 보였으나 암묵적 성 고정관념이 가정폭력경험과 데이트 폭력 피해경험과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연구에 대한 제안 등을 논의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will provide the correlation of dating violence with: family violence, implicit and explicit gender stereotypes, and define mediated effect on each process related. The participants were 52 college students who had the experience of dating relationship. The psychological tests used in this research included the following: CTS(The Revised Conflict Tactic Scale), ABI(Abusive Behavior Inventory), Explicit gender stereotype. Implicit gender stereotype that has become very popular in psychology recently is the Implicit Association Test(IAT; Greenwald, McGhee, & Schwartz, 1998). The data were analyzed with Pearson’s correlation, independent t-test, mediated regression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family violence and implicit gender stereotype, dating violence. Family violence victim group between family violence non victim group suggests that difference significantly by IAT. Implicit gender stereotype had full influence on dating violence. The implications an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