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The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

The Influence of Occupational Stress and Negative Affect on Somatization among Female Office Workers: The Mediation Effectiveness of Focusing Manners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Somatization and Occupational Stress, Negative Affect and Focusing Manners among Female Office Workers, and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 of Focusing Manners on the influence of Occupational Stress and Negative Affect on Somatization. Data were obtained from 501 Female Office Workers in Seoul, JeonNam and KyoungNam region. The main results are firstly, all Occupational Stressors except Job Demand and Negative Affect a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Somatization. Regarding Experiential attention & appreciations and Experiential awareness,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with Somatization but a negative correlation with Keeping appropriate distance. The results of analysis on the correlation among the study variables, Job Demand & Occupational Climate among Occupational Stressors have positive correlations with Experiential Awareness. Also,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Negative Affect and Experiential attention & appreciations and Experiential Awareness of Focusing Manner. However, Occupational Stressors and Negative Affect have negative correlations with Experimental acceptance & action taking and Keeping appropriate distance. Secondly, Focusing Manners partially mediates in four models: Experiential awareness has a mediating effect partially between Job Demand & Occupational Climate. Also, Keeping appropriate distance partially mediates on the influence of all Occupations stressors except insufficient job control on Somatization. For Negative Affect, Experiential attention & appreciations and Experiential awareness partially mediated on the influences of Somatization.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limitation and directions for the future study were discussed.

keywords
Female Office Worker, Occupational Stress, Negative Affect, Focusing Manners, Somatization, 사무직 여성, 직무스트레스, 부정적 정서, 포커싱적 태도, 신체화

Reference

1.

강상현 (2003). 사이코드라마가 대학생의 감정표현불능증, 신체화 증상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전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

고경봉, 박중규, 김찬형 (2000). 스트레스반응 척도의 개발. 신경정신학회, 39(4), 707-719.

3.

김광일, 김재환, 원호택 (1984). 간이정신진단검사 실시요강. 중앙적성출판사.

4.

김문석 (1992).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가설 검증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김숙경 (2004). 전문직 여성의 직무스트레스와 건강상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6.

김정은 (2009). 마음챙김명상이 만성두통에 미치는 효과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정호 (2004). 마음챙김이란 무엇인가: 마음챙김의 임상적 및 일상적 적용을 위한 제언.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9(2), 325-345.

8.

박재우, 김지혜 (2001). 직무스트레스, 자존감, 완벽주의가 직장인의 불안증상 및 신체화 증상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0(4), 697-710.

9.

박정희 (2010). 상담자의 스트레스, 소진(Burnout) 관계에서 포커싱의 효과.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0.

박정희, 주은선 (2012). 상담자의 스트레스, 소진(Burnout) 관계에서 포커싱의 효과. 사회과학연구(덕성여자대학교 사회과학 연구소), 18, 19-43.

11.

방윤경 (2006). 신체화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정서요인과 인지요인의 이론적 과정모델.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2.

서영석 (2010). 상담심리 연구에서 매개효과와 조졀효과 검증: 개념적 구분 및 자료분석시 고려 사항.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2(4), 1147-1168.

13.

송언섭, 주은선 (2010). 대학생의 포커싱 태도에 따른 스트레스 대처 행동 차이. 인간이해 2010, 31(4), 329-347

14.

송효양 (2011). 해군간부의 자아탄력성과 포커싱태도가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미치는 영향: 포커싱적 태도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신아영 (2008). 정서 마음챙김이 정서인식의 명확성과 인지적 정서조절, 신체증상, 스트레스 및 웰빙에 미치는 효과-여대생을 중심으로.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신현균 (1998). 신체화 집단의 신체감각에 대한 해석, 추론 및 기억편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7.

신현균 (2000). 부정적 정서, 감정표현불능증, 신체감각 증폭지각 및 신체적 귀인이 신체화에 미치는 영향: 매개모델의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9(1), 17-32.

18.

신현균 (2000). 신체형 장애. 학지사.

19.

신현균 (2002). 청소년의 학업부담감, 부정적 정서, 감정표현불능증 및 지각된 부모양육행동과 신체화 증상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1(1), 171-187.

20.

심정선 (2010). 민간 경비원의 직무스트레스, 정신건강 및 대처방식 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23(4), 733-754

21.

오혜정 (2008). 직무스트레스와 감정 표현 불능증이 신체화 증상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2.

이기련, 이영호 (2003). 신체형 장애 환자들의 질병행동 특성.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2(1), 57-70

23.

이경재, 김주자 (2008). 여성사무직 근로자들의 결혼상태와 직무만족도. 한국역학회지, 3(2), 198-205.

24.

이동수 (1999). 직무스트레스 평가를 위한 측정도구 개발 및 표준화 연구. 한림대학교 박사학위청구논문.

25.

이선미 (2010). 청소년의 부정적 정서와 신체화 증상의 관계: 신체감각 증폭지각 및 신체적 귀인의 매개효과. 성신여자대학교 석사논문.

26.

이유정 (1994). 성격특질이 기분의 수준 및 변화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7.

이재선, 조아미 (2006). 청소년의 유머감각과 유머스타일이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건강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 연구, 13(6), 79- 100.

28.

임승락, 김지혜, 이동수, 김이영 (2000). 여성의 직무스트레스, 대처자원과 정신건강. 신경정신의학, 39(6), 999-1009.

29.

임여준 (2012). 청소년의 애착이 분노표현에 미치는 영향: 포커싱적 태도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0.

장세진, 고상백, 강동묵, 김성이, 강명근, 이철갑 외 (2005). 한국인 직무 스트레스 측정도구의 개발 및 표준화. 대한산업의학회지, 17(4), 297-317.

31.

장세진, 최홍열, 우종민, 차봉석, 박종구, 천용희, 정호근, 고상백 (2004). 직무스트레스, 심박동수 변이 및 대사증후군. 대한산업의학회지, 16(1), 70-81.

32.

조광희, 조영채, 이동배 (2007). 사무직 공무원의 스트레스수준 및 관련요인.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19(1), 26-37.

33.

주은선 (2002). 포커싱 체험 상담의 이해와 적용. 상담학 연구, 3(2), 517-527.

34.

주은선, 신설애, 김병선, 김주영 (2011). 한국판 포커싱적 태도 척도의 수정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0(4), 1111-1128.

35.

주은선 (2011). 포커싱 체험심리치료. 학지사.

36.

최선우, 주은선 (2013). 포커싱 집단치료가 여대생의 신체화증상, 부정적 정서 및 감정표현불능증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2(4), 777-802.

37.

최영신 (2010). 여성사무직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38.

허찬영, 박재옥 (2008).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이 직무스트레스 결과에 미치는 영향. 인적자원관리연구, 15(2), 197-224.

39.

한진숙 (2004). 마음챙김이 과민성대장증후군의 환자들의 증상과 심리적 특성에 미치는 효과연구.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0.

홍경자, 탁영한, 강현숙, 김금순, 박호란, 곽월희 외 (2001). 전문직 여성의 직무스트레스, 직업만족도, 건강. 대한간호학회지, 32(4), 570-579.

41.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1182.

42.

Beiser, M. (1974). Components and correlates of mental well-being.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15, 320-327.

43.

Bradburn, N. M. (1969). The Structure of psychological well-being. Chicago: Aldine.

44.

Bridges, R. N., & Goldberg, D. P. (1985). Somatic presentation of DSM-III psychiatric disorders in primary care.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29, 563-569.

45.

Elliott, R., Watson, J. C., Goldman, R. N., & Greenberg, L. S. (2004). Learning Emotion-Focused Therapy. Washington DC: APA.

46.

Fukumori, H., & Morikawa, Y. (2003). 青年期における「フォーカシング的態度」と精神的健康との関連-体験過程尊重尺度作成の試み. 心理臨床学研究第, 20(6), 580-587.

47.

Gendlin, E. (1978). Focusing. New York: Bantam Books.

48.

Gray, A. J. (1982). The neuropsychology of anxiety. A inquiry into the functions of the septohippocampal system.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49.

Harding, S. D. (1982). Psychological well-being in Great Britan. An evaluation of the Bradburn Affect Balance Scale. Personal and Individual Differences. 3, 167-175.

50.

Hiroyuki, K. (2009). 日常生活におけるフォーカシング的態度の構造についての一考察. The Japanese Journal of Humanistic Psychology, 27(1), 69-80.

51.

Kawakami, N., & Haratani, T. (1999). Epidemiology of job stress and health in Japan: Review of current evidence and future direction. Ind Health, 37, 174-186.

52.

Kirmayer, L. J. (1984). Culture, Affect and Somatization-Part 2. Transcultural Psychiatric Research Review, 21, 159-188.

53.

Kirmayer, L. J., Young, A., & Robbins, J. M. (1994). Symptom attribution in cultural perspective. Psychosomatic Medicine, 39, 584-595

54.

Kurt Kroenke, MD. (2007). Efficacy of treatment for Somatoform Disorders: A Review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Psychosomatic Medicine, 69, 881-888.

55.

Lazarus, R. (1991). Emotion and Adaptation.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56.

MacKinnon, D, P. (2000). Contrasts in multiple mediator models. In J. S. Rose, L. Chassin, C. C. Presson, & S. J. Sherman (Eds.), Multivariate applications in substance use research: New methods for new questions (pp.141-160). Mahwah, NJ: Erlbaum.

57.

Matthews, S., Hertzman, C., Ostry, A., & Power, C. (1998). Gender, work roles and psychosocial work characteristics as determinants of Health. Social Sci & Med, 46, 1417-1424.

58.

Meleis, A. I., & Stevens, P. E. (1992). Women in clerical jobs: Spousal role satisfaction, stress, and coping. Women & Health, 18(1), 1-9.

59.

Mika Sawano (2009). A study of factors relating to stress reduction. Kansai University Master's Thesis.

60.

Nakagaki, M. (2007). Research for Focusing Attitudes in Daily Life-Discussion on the Relation between FMS and CMI or EXP. Kobe College Graduate School Master's Thesis.

61.

Noda, E. (1997). フォ―カシングの「間」と企業内ストレスマネージメント.池見陽編、フォ―カシングへの誘いー個人的成長と臨床に生かす. 心の実感 サイエンス社. 第2章2節.

62.

Pederson, E., L., & Vogel, D. L. (2007). Male gender role conflict and willingness to seek counseling: Testing a mediation model on college-aged men.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54, 373-384

63.

Robbins, J. M., & Kirmayer, L. J. (1991a). Attribution of Common Somatic Symtoms. Psychological Medicine, 21, 1029-1045.

64.

Saarin, C. M. (1998). Emotional development: Action, Communication, and Understanding. In W. Damon, & N. Eisenberg (Eds.). In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Social, emotional and personality development, 237-309. New York, NY: Wiley.

65.

Schuler, R. S. (1980). Definition and Conceptualization of Stress in Organizations.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Performance, 25, 184-215.

66.

Tellegen, A. (1985). Structure of mood and personality and their relevance to assessing anxiety with and emphasis on self-report. Hillsdale, NJ: Erlbaum.

67.

Tokar, D. M., Withrow, J. R., Hall, R. H., & Moradi, B. (2003). Psychological separation, attachment security, vocational self-concept crystallization, and carre indecision: A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50, 3-19.

68.

Watson, D., Clark, L. A., Tellegen, A. (1988).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Brief Measures of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The PANAS Scal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4, 1063-1070.

69.

Watson, D., & Pennebaker, J. W. (1989). Health complaints, stress, and distress: Exploring the central role of negative affectivity. Psychological Review, 96, 234-254.

70.

Wiebe, D. J. (1994). Behavioral self-regulation in adolescents with type I diabetes: Negative Affectivity and blood glucose symptom perception.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62(6), 1204-1212.

The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