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권호 목록

청소년 음주행동 영향요인의 성별 비교
김원경(고려사이버대학교) pp.191-210 https://doi.org/10.18205/kpa.2014.19.3.001
초록보기
초록

청소년 음주행동에 대한 영향요인을 탐색하고 남녀 청소년의 음주행동을 비교 분석하기 위하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한 2010 청소년 건강실태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의 청소년 2,827명의 음주행동 관련요인을 분석하였다. 청소년 음주행동 관련요인으로 개인·심리적 요인(스트레스, 우울, 불안, 충동성, 자존감, 자기효능감, 신체만족도, 건강지각)과 사회·환경적 요인(부모양육행동, 물질적 지원, 사회적지지, 사회참여, 가족유대, 선생님유대, 친구유대)의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하고, 청소년의 남녀 성별에 따라 음주행동 예언변인과 그 상대적 영향력이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청소년의 음주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스트레스, 우울, 충동성, 사회적지지, 사회참여, 신체만족도, 자존감으로 나타났으며, 남녀 청소년 간 영향 요인 상에 차이를 보였다. 남자청소년은 스트레스, 우울 다음으로 선생님과의 유대가 음주행동을 예언하는데 유의미한 영향력을 지닌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자청소년은 스트레스, 우울, 충동성 외에 신체만족도가 음주행동 예언에 유의미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남자청소년은 가족과의 유대 요인이 음주행동 영향요인으로 유의미하였으나 여자청소년에게는 가족유대 요인은 음주행동의 예언에 유의미한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청소년의 음주행동 관련요인으로서 스트레스의 영향력을 논의하고 남녀 청소년의 음주행동 관련 요인 상의 차이를 보인 결과에 대해 청소년 음주행동에 대한 개인·심리적 요인과 사회·환경적 요인이 성별에 따라 서로 다르게 기능한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어 이들 요인에 대한 중요성을 논의하였다. 청소년 음주행동 예방 및 비행에 대한 프로그램 개발 및 대책 수립을 위한 본 연구 결과의 적용 가능성과 함의를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predictors of drinking behavior among male and female youth in Korea using 2010 Korean Youth Health data. Participants were a total of 2,827 students from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 Korea. Data were analyzed with bivariate correlations and multiple regression to investigate the relevant predictors of drinking behavior with such variables as psychological factors (depression, anxiety, impulsivity, self-esteem, self-efficacy, satisfaction with body image, and stress), and ecological factors (parenting, material support, family relations, social support, social participation, peer relations, and relations to teachers). Results indicated that the predictors of drinking behavior among Korean youth were stress, depression, impulsivity, social support, and self-esteem. Relations to teachers and family relation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redictors of drinking behavior in male youth, while satisfaction with body image was the significant predictor of drinking behavior in female youth. The findings suggest future studies including a list of other influencing factors such as parents’ attitude toward drinking, peers’ habits of drinking, socio-economic status, and grade on health behavior. Implications for the practice and prevetion programs of alcohol use were discussed.

인간생태체계 모형(Human Ecosystem Model)을 바탕으로 한 진로적응성과 가족환경 요인들 간의 관계모형 검증: 남녀 대학생의 차이를 중심으로
송보라(연세대학교) ; 이기학(연세대학교) pp.211-232 https://doi.org/10.18205/kpa.2014.19.3.002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적응성이 가족환경 내에서 어떠한 경로로 발달하는지 밝혀내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다양한 가족환경 변인들을 인간생태체계 모형에 근거하여 구조화한 뒤 모형검증을 통해 이론모형의 적합성을 확인하고, 성별에 따른 관계모형과 경로계수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수도권 소재 4년제 대학생 399명(남172명, 여227명)을 대상으로 자기성장주도성, 진로미래, 부·모자율성지지, 기능적 가족 의사소통, 가족응집성, 가족적응성, 부모 간의 갈등, 사회경제적 지위를 측정하는 문항들로 구성된 설문을 실시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21.0과 AMOS 18.0을 사용하여 이루어졌으며, 구조방정식 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분석 결과, 외체계 수준이 높을수록 중간체계 수준이 높아지며, 중간체계 수준이 높을수록 미시체계 수준이 높아지고, 미시체계의 수준이 높을수록 개인의 진로적응성 수준이 높아지는 완전매개 모형이 우수한 적합도와 유의한 경로계수를 바탕으로 확정되었다. 아울러, 성별에 따른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여학생과 남학생으로 집단을 구분한 뒤 모형 검증을 실시한 결과, 남학생과는 달리 여학생 집단에서는 외체계의 영향력이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들이 시사 하는바와 함께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 그리고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current sutdy was conducted to observe the development path of university students' career adaptability in family environment. Based on the human ecosystem model, various family environment variables were structuralized, its validity confirmed through model validation, then differences in path coefficient and relation structure by gender difference were observed.399 university students in a 4-year program within the metropolitan area (172 males, 227 females) answered questions on personal growth initiative, career future, parental support on autonomy, functional family communication, family cohesiveness, family adaptability, inter-parental conflict, socioeconomic status. All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21.0 and AMOS 18.0. The result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confirmed a full mediation model based on a significant path coefficient and validity; high macrosystem level results higher mesosystem level; higher mesosystem level results higher microsystem level; and higher microsystem level results higher career adaptability level. Furthermore, model validation was conducted by separating the data by gender to observe any gender differences. The results showed that in female students, the influence of exosystem was not significant, whereas it was with male students. The current study interpreted the results, and provided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it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성인의 원하지 않는 성행동 응낙과 애착이 이성관계만족에 미치는 영향
안지인(고려대학교) ; 고영건(고려대학교) pp.233-251 https://doi.org/10.18205/kpa.2014.19.3.00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의 원하지 않는 성행동 응낙과 애착이 이성관계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이성교제 중인 20세 이상의 연인 69쌍(138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한 후, 설문에 모두 응답한 연인 62쌍(124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성관계애착척도, 한국판 결혼만족도 검사(Korean Marital Satisfaction Inventory; K-MSI)를 미혼남녀에게 적합하게 수정한 이성관계만족도 척도, 원하지 않는 성행동 응낙 설문지(Consensual Unwanted Sex Scale)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의 원하지 않는 성행동 응낙은 관계만족도와 부적인 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여성의 애착불안이 높을수록 원하지 않는 성행동 응낙을 더 많이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여성의 원하지 않는 성행동 응낙은 연인 내 관계만족도 차이에 직접효과를 나타냈으며, 여성의 애착불안은 원하지 않는 성행동 응낙을 통해 연인 내 관계만족도 차이에 간접효과를 나타냈다. 넷째, 여성의 원하지 않는 성행동 응낙은 자신의 관계만족도에 유의미한 자기효과를 나타냈으나 상대방효과를 보이지는 않았다. 끝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 및 앞으로의 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s of consensual unwanted sex and attachment on satisfaction with romantic relationship. A survey was conducted on 69 adult couples (138 persons) who are aged 20 and over and currently in a relationship, and the data from 62 couples (62 men, 62 women) who completed the self-report scales was utilized. The subjects were asked to answer questionnaires including the Experience of Close Relationship Scales (ECRS), the Scale of Satisfaction with Romantic Relationship, and the Consensual Unwanted Sex Scale. The result are as follows; First, women's consensual unwanted sex i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ir relationship satisfaction. Second, women are more likely to consent to unwanted sex as their attachment anxiety increases. Third, women's consensual unwanted sex has a direct effect on satisfaction with relationship and their attachment anxiety has an indirect influence on satisfaction through the consent of unwanted sex. Fourth, women's consensual unwanted sex shows a significant effect on women's relationship satisfaction whereas it does not exhibit a significant effect on the relationship satisfaction of their partners. The implications an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discussed.

여고생이 지각한 어머니와 교사의 자율성지지와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 학습동기와 학습전략의 매개효과
손원숙(경북대학교) ; 배주현(경북대학교) pp.253-272 https://doi.org/10.18205/kpa.2014.19.3.004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여고생이 지각한 어머니와 교사의 자율성지지, 학습동기, 학습전략 및 학업성취도 간의 구조적 관계를 탐색하고, 어머니와 교사의 자율성지지 및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에서 학습동기 및 학습전략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S지역에 위치 한 여자고등학교 1학년 총 398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변인 측정을 위하여 자기보고식 형태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선행연구 및 이론에 근거하여 변인 간 관계에 대한 3개의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구조방정식모형 적용을 통하여 본 연구 자료에 가장 부합하는 모형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첫째, 지각된 어머니의 자율성지지는 자녀의 내재적 동기에는 정적인, 외적조절 동기에는 부적인 효과를 보였으나, 교사의 자율성 지지는 학생의 내재적 동기에만 정적인 효과를 보였다. 또한 지각된 교사의 자율성지지는 인지적 학습전략에 정적인 직접효과를 보였으나, 어머니의 자율성 지지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여고생의 학습동기는 인지적 학습전략에 모두 직접효과를 보였는데, 내재적 동기와는 정적인, 외적조절 동기와는 부적효과를 나타냈다. 한편 학습동기와 학업성취도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직접효과는 없었다. 셋째, 지각된 어머니의 자율성 지지는 자녀의 내재적 동기-인지적 학습전략, 외적조절 동기-인지적 학습전략을 통하여 학업성취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반면 지각된 교사의 자율성지지는 학생의 내재적 동기-인지적 학습전략, 또는 인지적 학습전략만을 통하여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주었다. 여고생의 학습동기 중 특히 외적조절 동기를 통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간접효과의 크기가 내재적 동기를 통한 경로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고등학생의 학업성취도 향상을 위한 가정과 학교 장면에서의 교육적 시사점을 논의하고, 인지적 성취뿐 아니라 정의적 성취를 포함한 보다 일반적인 성취 모형(achievement model) 탐색을 위한 후속 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tructural relationships of perceived mothers' or teachers' autonomy support, learning motivation and learning strategy with academic achievement. Specifically, we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s of learning motivation and strategy between perceived mothers' or teachers' autonomy support and academic achievement.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398 female students(10th graders) sampled from one high school located in S city. B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 compared three research models hypothesized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theories. The results showed that mothers' autonomy support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students' intrinsic or extrinsic motivation in either positive or negative ways, while teachers' autonomy support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ly on students' extrinsic motivation in addition to students' learning strategy. Second, students' learning motivation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ir learning strategy in that their intrinsic motivation had positive effects while their extrinsic motivation had negative effects. Third, mothers' autonomy support had significant indirect effects on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mediating by both learning motivation and learning strategy. On the other hand, teachers' autonomy support had significant indirect effects on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mediating by both extrinsic motivation and learning strategy or only by learning strategy. The size of indirect effects related to students' extrinsic motivation was relatively larger than that of their intrinsic motivation. Results suggest the importance of mothers’ and teachers' autonomy support, students's motivation and strategy in improving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Finally, the necessity of developing a general achievement model including non-cognitive achievement in addition to cognitive achievement was discussed.

재미 기러기엄마의 경험과 성장: 관계문화적 상담의 관점에서
조인효(숭실대학교) ; 심은정(숭실대학교) pp.273-299 https://doi.org/10.18205/kpa.2014.19.3.00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기러기엄마의 경험과 심리사회적 성장을 관계문화적 상담의 관점에서 분석하고 상담적 개입의 함의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관계문화적 이론은 사회문화적 맥락을 고려하면서 여성의 관계성을 성장이라는 측면에서 이해하는 틀을 제공했다. 본 연구를 위해 미국 캘리포니아 한인사회 근교에 거주하는 14명의 기독인 기러기엄마들을 심층 인터뷰하고, NVivo 10을 활용하여 자료를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기러기엄마의 심리사회적 성장을 저해하는 도전적 요인과, 성장을 도와주는 긍정적 자원이라는 차원이라는 2개의 차원이 추출되었다. 도전적 요인 차원에는 3개의 범주, 10개의 하위범주, 그리고 24개의 개념이 추출되었다. 도전적 요인의 개인내적 요인으로 비자발적 선택, 역할유능감 저하, 관계 위축감이, 가족적 요인으로 부부갈등, 모자 갈등, 부자 갈등이, 그리고 사회구조적 요인으로 한인사회의 편견, 신분유지의 필요성, 미국내 차별, 물리적 거리가 있었다. 긍정적 자원 차원에는 3개의 범주, 10개의 하위범주, 21개의 개념이 추출되었다. 긍정적 자원의 개인내적 요인으로 역할 유연성 등의 성격특성과 종교성이, 가족적 요인으로 부부요인, 자녀의 적응적 생활, 부모-자녀간 원만한 관계, 시집과의 분리가, 그리고 사회구조적 요인으로 통신의 발달, 한인사회의 접근성, 교육환경의 혜택, 신분유지의 필요성이 있었다. 기러기 엄마들은 기러기 생활 속에서 많은 도전거리를 만나지만 이를 자기공감과 상호관계를 촉진하는 방향으로 극복하면 자아성장을 이루어갈 수 있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관계문화 상담적 개입의 함의를 논의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psychosocial needs and growth of Korean Kirogi mothers, and provide clinical implications from the relational-cultural therapy perspectiv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on 14 Christian Kirogi mothers who were staying in Los Angeles (LA), California. Data was transcribed, and coded utilizing an analysis program called NVivo 10. Two dimensions, challenges and positive sources. emerged through the analysis process. These two domains were each saturated into three sub-domains: intrapersonal factors, family factors, and socio-structural factors. The results demonstrated how Kirogi mothers faced and coped with life difficulties in relationships and sociocultural environment. When they face difficulties, they were able to experience growth through self-empathy and mutual empathy in growth-fostering relationships. Additionally, their relationship with God helps them grow further. Finally, effective and practical strategies for clinical interventions were discussed.

영성과 포커싱적 태도가 중년 여성의 웰빙에 미치는 영향
정덕신(덕성여자대학교) ; 배성만(덕성여자대학교) ; 주은선(덕성여자대학교) pp.301-314 https://doi.org/10.18205/kpa.2014.19.3.006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영성과 포커싱적 태도가 중년 여성의 웰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과 강원도에 거주하는 40세 이상 60세 이하의 중년여성 399명에게 정신적 웰빙 척도(웰빙), 영적 안녕감 척도(영성), 포커싱적 태도 척도를 실시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영성과 포커싱적 태도가 웰빙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기 위해 단계적 중다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영성과 포커싱적 태도가 웰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성이 포커싱적 태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웰빙에 미치는 영향이 컸으며, 두 변인은 웰빙의 46.4%를 설명했다. 세부적인 분석을 통해 영성과 포커싱 태도의 하위 요인들이 웰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실존적 영성’이 중년여성의 웰빙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 포커싱적 태도의 하위요인인 ‘체험 지각하기’, ‘체험과정 주의·음미하기’, ‘체험과정 수용·행동하기’가 웰빙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초월적 영성’과 ‘적절한 거리두기’는 분석에서 제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영성과 포커싱적 태도가 중년 여성의 웰빙에 미치는 의의와 임상적 적용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monstrate how well-being of middle-aged women was affected by spiritual mind and focusing manner. To do so, several researches in relation to a Korean version of the Mental Health Continuum-short form(Well-being), Spiritual Well-being Scale(spirituality) and Korean Focusing Manner Scale(Focusing Manner) were carried out to a total number of 399 women aged between 40 and 60 living in Seoul and Kangwon in South Korea. As a result, it was proved by an examination on the mental influence of spirituality and focusing manner from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at spiritual mind and focusing manner had a significant effect on mental well-being. It was found that spirituality had relatively a greater impact to mental well-being than focusing manner and spirituality explained 46.4% of mental well-being. In addition, a technical analysis was undertaken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mental wellness on sub-factors from spirituality and focusing manner, concluding that middle-aged women was most greatly affected by ‘existential spirituality’ in terms of mental well-being. Apart from that, sub-factors from focusing manner, such as ‘experiential awareness’, ‘experiential attention and appreciations’ and ‘experiential acceptance and action taking’ had a minor influence, whereas, neither ‘transcendental spirit’ nor ‘keeping appropriate distance’ were selected from the scale model. In conclusion, the research was based on the discussion of the influence of spirituality and focusing manner on middle-aged women and the applied clinical study.

남녀대학생의 동남아계 외국인 노동자에 대한 다문화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계획된 행동이론의 수정모형에 기초하여
김금미(성균관대학교) ; 안상수(한국여성정책연구원) pp.315-338 https://doi.org/10.18205/kpa.2014.19.3.00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남녀대학생의 동남아계 외국인 노동자에 대한 수용행동을 향상시키는데 중요한 변인을 확인하고자 실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성별과 접촉에 따른 수용행동 관련 변인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이어서 계획된 행동이론에서 제안하는 변인들, 즉 태도, 주관적 규범, 계획된 행동 통제, 행동 의도 및 행동 변인과, 사회정체성이론으로부터 한국인집단정체성, 그리고 대상에 대한 태도인 고정관념과 편견(정서)이 수용행동을 설명하는 정도를 알아보았다. 또한 고정관념에서 수용적 태도, 행동의도, 및 행동으로 향하는 경로를 편견(정서)이 매개하는지 확인하였다. 그 결과, 성별에 따라 한국인집단정체성과 주관적 규범에서 차이가 있었고, 접촉에 따라서는 수용행동, 지각된 행동통제와 연민 정서에서 차이가 있었다. 제시된 모델로 동남아계 외국인 노동자에 대한 수용행동의도의 57%, 수용행동의 54%가 설명되었다. 또한 고정관념에서 수용행동의도와 수용행동을 각각 설명하는데 정서가 부분매개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동남아계 외국인 노동자에 대한 수용적 태도, 수용행동의도, 수용행동을 구별하여 영향 미치는 변인들을 밝히고, 동남아계 외국인 근로자에 대한 다문화 수용성 관련 변인들에서 성별과 접촉에 따른 차이를 밝히며 그들에 대한 고정관념과 수용행동의 관계에서 정서의 영향을 밝힌 점에서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한계 및 앞으로 연구 과제를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conform the effect of attitude, subjective norm, and perceived behavior control in explaining receptive behavior intention as well as receptive behavior towards the Migrant Workers from Southeast Asia, and to investigate the comparative role of Korean social identity, stereotype and prejudice(i.e. attitude about object) in the prediction of receptive behavior towards the Migrant Workers from Southeast Asia, and to study the mediating role of emotion(prejudice) in effects of stereotype on receptive attitued, receptive behavior intention, and receptive behavior towards the Migrant Workers from Southeast Asia. A sample of 516 undergraduate participated in the survey. The results from regression analyses indicated that the receptive intention was explained 57% by proposed model, while receptive behavior was explained 54% by this model. Furthermore, tests of the mediation model demonstrate that emotion(prejudice) as a partial mediator in the linkage between stereotype and receptive behavior towards the Migrant Workers from Southeast Asia.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as well as the future directions of this area were discussed.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