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권호 목록

50대 만학도 여성의 생애사 연구: 삶의 영역, 전환점과 적응을 중심으로
김정민(상명대학교) ; 최연실(상명대학교) pp.1-29 https://doi.org/10.18205/kpa.2014.19.1.00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만학도 여성들의 생애사 연구를 통해 그들의 환경적 특성과 만학의 의미, 그리고 그들의 삶의 변화 과정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현재 전문대학 사회복지학과에 다니는 50대 만학도 여성들 7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 과정에서는 Mandelbaum이 제시한 삶의 영역, 전환점, 적응의 3가지 개념 틀에 따라 공통의 범주와 개념이 도출되었다. 연구결과, 추출된 범주들은 삶의 영역에서는 ‘원가족’, ‘결혼 후 가족’, ‘학교’, 전환점에서는 ‘진학 좌절’, ‘취업’, ‘결혼’, ‘학부모됨’, ‘중년기 위기’, ‘학교 입학’, 적응에서는 ‘상황에 대한 수용’, ‘자신의 기대 충족’, ‘가족관계의 변화’, ‘새로운 정체감의 형성’, ‘미래에 대한 전망’ 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만학도 여성들이 대학공부를 통해 자존감이 높아지고 자아정체성을 찾았으며 가족관계가 더욱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그동안 사회적 존재가 드러나지 않았던 50대 만학도 여성들의 생애 경험을 추적하여 그들의 문제를 가시화함으로써 늦은 나이의 학습활동이 자아실현을 이룰 수 있게 할 뿐 아니라 연장된 노년기를 보다 건강하고 의미 있게 보낼 수 있는 긍정적인 방안이 될 수 있음을 밝혔다는 데 의의가 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life history study was to analyz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meanings of studying in old age, and change processes in lives for women who started studying late. To achieve this purpose of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seven women in 50s who started studying, majoring in social welfare in s college. In the process of data analysis, common categories and sub-concepts were extracted according to Mandelbaum’s three conceptual frameworks: life dimensions, turning points, and adaptation. In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extracted categories were ‘family of origin’, ‘family of procreation’, and ‘school’ in life dimension, ‘frustration to further studying in advanced levels’, ‘getting jobs’, ‘marriage’, ‘parenthood for school’, ‘mid-life crisis’ and ‘entering middle and higher schooling’ in turning points, and ‘acception to their own circumstances’, ‘meeting their own expectations’, ‘the change of family relationships’, ‘making of a new identity’ and ‘vision of future’ in adaptation. Especially, in this study, some results to show enhance of self-esteem, construction of self-identity and improvement of family relationships though the experiences of studying in college among women who started studying late were emerged. By tracing the women’s life experiences and visualizing their issues, this study has some helpful implications: Late learning activities in their age were able to give opportunities to be a positive way to spend the extended ole ages more healthily and meaningfully as well as opportunities to achieve their self-actualization.

사무직 여성의 직무스트레스와 부정적 정서가 신체화에 미치는 영향: 포커싱적 태도의 매개효과
강지연(덕성여자대학교) ; 주은선(덕성여자대학교) pp.31-54 https://doi.org/10.18205/kpa.2014.19.1.002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사무직 여성을 대상으로 직무스트레스, 부정적 정서, 포커싱적 태도, 신체화의 관계를 알아보고,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과 부정적 정서가 신체화에 미치는 영향에서 포커싱적 태도 하위요인의 매개효과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전남, 경북지역에서 근무하는 사무직 여성 501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직무스트레스, 부정적 정서, 포커싱적 태도, 신체화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첫째, 직무자율성 결여를 제외한 모든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과 부정적 정서는 신체화와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포커싱적 태도 하위요인 중 체험과정 주의와 음미하기, 체험 지각하기는 신체화와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보였고, 적절한 거리두기는 신체화와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 중 직무요구, 직장문화는 체험 지각하기와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부정적 정서는 체험과정 주의와 음미하기 및 체험 지각하기와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반면에, 모든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과 부정적 정서는 체험과정 수용과 행동하기, 적절한 거리두기와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직무스트레스가 신체화에 미치는 영향에서 포커싱적 태도가 매개하는지 알아본 결과, 직무요구, 직장문화가 신체화에 미치는 영향에서 체험 지각하기가 부분매개효과를 보였다. 직무자율성 결여를 제외한 모든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에서 적절한 거리두기가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냈다. 부정적 정서가 신체화에 미치는 영향에서 체험과정 주의와 음미하기, 체험 지각하기가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끝으로, 연구 결과의 의의, 제한점과 제언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Somatization and Occupational Stress, Negative Affect and Focusing Manners among Female Office Workers, and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 of Focusing Manners on the influence of Occupational Stress and Negative Affect on Somatization. Data were obtained from 501 Female Office Workers in Seoul, JeonNam and KyoungNam region. The main results are firstly, all Occupational Stressors except Job Demand and Negative Affect a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Somatization. Regarding Experiential attention & appreciations and Experiential awareness,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with Somatization but a negative correlation with Keeping appropriate distance. The results of analysis on the correlation among the study variables, Job Demand & Occupational Climate among Occupational Stressors have positive correlations with Experiential Awareness. Also,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Negative Affect and Experiential attention & appreciations and Experiential Awareness of Focusing Manner. However, Occupational Stressors and Negative Affect have negative correlations with Experimental acceptance & action taking and Keeping appropriate distance. Secondly, Focusing Manners partially mediates in four models: Experiential awareness has a mediating effect partially between Job Demand & Occupational Climate. Also, Keeping appropriate distance partially mediates on the influence of all Occupations stressors except insufficient job control on Somatization. For Negative Affect, Experiential attention & appreciations and Experiential awareness partially mediated on the influences of Somatization.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limitation and directions for the future study were discussed.

0-3세 영유아 어머니의 인터넷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어머니의 정신건강, 양육스트레스, 모-자녀관계 및 자녀의 기질과 행동문제
박진아(한신대학교) ; 이경숙(한신대학교) ; 전연진(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pp.55-70 https://doi.org/10.18205/kpa.2014.19.1.00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0-3세 영유아 어머니의 정신건강, 양육스트레스, 모-자녀관계 및 자녀의 기질과 행동문제가 어머니의 인터넷 중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전국 5개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0-3세 영유아 자녀를 둔 어머니 811명이었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0-3세 영유아 어머니의 인터넷 중독 실태를 살펴본 결과, 전문치료기관에서 집중치료가 요구되는 고위험 사용자는 1명(0.1%), 정신건강 관련 전문상담이 요구되는 잠재적 위험사용자 A군은 9명(1.1%), 효율적인 인터넷 사용 시간 및 자기관리가 요구되는 잠재적 위험사용자 B군은 109명(13.4%)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터넷 중독군 어머니는 정상군 어머니에 비해 정신적으로 더 우울하고, 불안하며, 자녀에 대한 양육스트레스를 더 높게 경험하고, 자녀와 사이에서는 관계적 좌절감을 더 많이 느끼고 있었다. 셋째, 인터넷 중독군 어머니의 자녀는 정상군 어머니 자녀에 비해 기질적으로는 더 까다롭고 더디며, 순하지 않은 반면, 충동적이고 공격적인 외현화 행동문제, 불안과 분리불안이 높은 내면화 행동문제, 그리고 부정적인 정서와 조절이 잘 되지 않는 행동문제를 더 많이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0-3세 영유아 어머니의 우울과 양육스트레스는 어머니의 인터넷 중독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examining the effects of mothers' mental health, parenting stress, mother-child relationship, children's temperament, and behavior problem on the internet addiction of young children's mothers. Subjects were 811 mothers having young children aged 3 or under.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how internet addiction patterns of young children's mothers, 0.1% of participants were classified the high risk internet user group needed the intensive treatment at the specialized agency. 1.1% of the participants were classified as type A among latent risk user group needed the professional counselling on their mental health, and 13.4% were classified as type B among latent risk user group needed. for effective time management. Second, mothers in the internet addiction group showed more depression and anxiety, experienced higher parenting stress, and felt more relational frustration between mother and child than ones in normal group. Third, young children of internet addicted mothers showed more difficult or slow to warm-up temperament and more externalizing and in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than ones in the normal group. Finally, mothers' depression and parenting stress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n mothers' internet addiction.

어두운 성격요인에 대한 응답왜곡 연구: 성별, 응답상황, 검사형식을 중심으로
김시나((주)굿임팩트) ; 김명소(호서대학교) ; 한영석(호서대학교) pp.71-91 https://doi.org/10.18205/kpa.2014.19.1.004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이탈(derailment)과 관련된 어두운 성격을 측정할 수 있는 진단도구를 바탕으로 응답상황(정직/왜곡), 검사형식(Normative/Ipsative), 성별(남자/여자)에 따라 응답왜곡(faking) 특성이 달라지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응답자들에게 선발 상황이라고 생각하고 응답왜곡을 지시 받았을 경우 자기진단 상황보다 응답왜곡을 어느 정도 더 하는지, 이러한 응답상황에 따른 왜곡차이는 일반적인 리커트(Likert) 척도를 사용하는 Normative(규범적 비교) 검사형식과 강제선택형 척도를 사용하는 Ipsative(개인내 비교) 검사형식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성별로 응답왜곡 정도가 다른지 알아보기 위해 삼원변량분석(three-way ANOVA) 혼합설계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응답상황과 성별의 주효과가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호작용의 경우, 기대한 바와 같이 응답상황과 검사형식의 이원상호작용효과는 유의했다. 그러나, 응답상황ㆍ검사형식ㆍ성별의 삼원상호작용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즉, 응답자의 성별과 상관없이 선발상황에서는 Normative 검사형식에 비해서 Ipsative 검사형식을 사용할 때 응답왜곡을 줄일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과 함께 앞으로 추후 연구과제로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response situation(honest /faking), type of personality measures(Normative/Ipsative), and gender(male/female) on the dark side of personality related to derailment factors. The normative form of dark side of personality measures consists of 120 items, while the ipsative is composed of 40 sets of items with 3 alternatives. 414 college students completed both normative and ipsative version of the personality inventory related to derailment factors either honestly or in a fake-good condition. The results of three-way ANOVA with hybrid design demonstrated the significant main effect for response situation and gender. In the case of the interaction, the significant two-way interaction of response situation and type of personality measures was supported.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three-way interaction of response situation, types of personality measures and gender, indicating the two-way interaction of response situation and type of personality measures was consistent across gender. This shows the ipsative type can reduce the faking behavior in the context of personnel selection compared to the normative in males as well as females.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provided based on the findings.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