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access
메뉴This study is an exploratory study examining how somatization symptom of middle-aged women changes by searching experience of middle-aged women with somatization tendency who participated in the focusing application education program. Through it, the study desires to examine a focusing adaptability about decrease of somatization symptom of middle-aged women and to suggest a basic data for development of a program that helps them. To achieve it, this study publicly recruited participants from various organizations in the suburbs of Seoul, so conducted total 12-hour focusing application education program targeting middle-aged women with somatization tendency whose somatization criterion of The Symptom Check List(SCL-90-R) is more than 19 points during 2 days, and finally, 10 women participated in the study. This study conducted an individual interview targeting participants, so data was analyzed by using a study method of Giorgi among phenomenological method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10 focal meanings were deducted from 31 themes. The focal meanings are 1. States of mind realizing somatization symptoms, 2. Problem-solution, 3. Motive of program participation, 4. Experiencing that I am connected with others, 5. Experiencing acceptance and respect for myself, 6. Possibility of healthy distance, 7. A strange stay and a vague division between thinking and feeling, 8. Fear about self-openness, 9. Possibility of staying at inconvenience, and 10. Improvement of confidence. Lastly, the study examined detailed characteristics of the focusing application education program, and suggested a method to revitalize a focusing and the future study direction.
강지연, 주은선 (2014). 사무직 여성의 직무스트레스와 부정적 정서가 신체화에 미치는영 향: 포커싱적 태도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여성), 19(1), 31-54.
김광일, 김재환, 원호택 (1984). 간이정신진단검사 실시요강. 서울: 중앙적성출판사.
김명권 (1987). 심리치료에서의 경험의 전개-Focusing과 명상, 경상대학교학생생활연구소보, 13, 35-42.
김명자 (1998). 중년기 발달. 서울: 교문사.
김재원 (2012). 포커싱적 태도가 노인의 주관적건강상태와 노인 우울의 관계에 미치는 매개효과 검증. 덕성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박영옥 역 (1997). 마돈나의 이중적 의미. 고양시: 인간사랑.
박정희, 주은선 (2012). 상담자의 스트레스, 소진(Burnout) 관계에서 포커싱(Focusing)의 효과. 사회과학연구(덕성여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18, 19-43.
박혜준, 이승연 (2009). 질적연구방법으로서의 면담(Irving Seidman, 2006). 서울: 학지사
신현균 (2000). 신체형 장애. 서울: 학지사.
안기민 역 (2013). 포커싱의 힘(Ann Weiser Cornell, 1996). 서울: 하나의학사.
왕인순, 조옥경, 안경숙 (2007). 신체자각을 통한 심리치유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여성요가 수련자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12-1, 219-239.
이선옥 (2012). 상담자의 자기효능감과 포커싱적태도가 역전이 관리능력에 미치는 영향: 포커싱적 태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덕성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수경 역 (2012). 어린이와 함께하는 포커싱 심리치료(Marta Stapert 외, 2003). 서울:학지사.
임정원 (1999). 중년여성의 신체화 증상에 영향을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스트레스 경험, 지각, 대처 방식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정덕신, 배성만, 주은선 (2014). 영성과 포커싱적 태도가 중년여성의 웰빙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여성), 19(3), 301-314.
조복희, 정옥분, 유가효 (1989). ‘인간발달’ 발달심리적 접근. 서울: 교문사.
조혜영, 김윤용, 권용주, 조성훈, 황의완 (2009). 음악치료를 적용하여 호전된 신체형 장애여환 치험 1례. 동의신경정신과 학회지, 20(3), 261-271.
주은선 (2011). 포커싱 체험 심리치료 내마음의지혜와 선물. 서울: 학지사.
주은선 역 (2012). 인간중심 상담의 임상적 적용(Dave Mearns 외, 2007). 서울: 학지사.
주은선, 김주영 (2012). 노인우울 포커싱 집단프로그램 효과에 관한 탐색적 연구: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32(2), 611-629.
주은선, 김주영, 신설애 (2014). 한국적 포커싱체험 미술치료 작업에 관한 탐색적 연구:상담자 대상의 포커스그룹인터뷰를 중심으로. 예술심리치료연구, 10(3), 223-251.
주은선, 장세은 (2012). 포커싱(Focusing)활용 집단상담이 여대생의 사회불안에 미치는 효과. 인간이해, 33(2), 139-157.
주은선, 최선우 (2013). 포커싱 집단치료가 여대상의 신체화 증상, 부정적 정서 및 감정표현 불능증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32(4), 777-802.
Cornell, A. W., & McGavin, B. (2005). The radical acceptance of everything: living a focusing life. Berkeley, California: Calluna Press.
Elliott, R., Watson, J. C., Goldman, R. N., & Greeberg, L. S. (2004). Learning Emotion-Focused Thrapy. Washington DC: APA.
Femald, P. S. (2000). Carl Rogers; body-centered counselor. Journal of Counseling and Development, 78, 172-179.
Giorgi, A. (1985). Phenomenology and Psychological Research. PA; Duquesne University Press. (신경림, 장연집, 박인숙, 김미영, 정승은 공역(2004). 현상학과 심리학 연구. 서울: 현문사.)
Zinker, J. (1977). Creative Process in Gestalt Therapy. New York : Vintage Boo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