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메뉴

권호 목록

경력단절여성의 직업정보인지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정보격차요인을 중심으로
성경옥((사)한국EAP협회) pp.443-467 https://doi.org/10.18205/kpa.2015.20.4.00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경력단절여성의 직업정보인지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무엇인지 확인하여 경력단절여성의 재취업에 중요한 직업정보인지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는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선행연구에서 개인 간 정보격차를 일으키는 것으로 나타난 다양한 요인들(정보추구욕구, 정보처리전략, 사회적 네트워크, 인터넷 정보능력)이 직업정보인지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지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경력단절여성 375명으로, 여성취업지원관련 기관 11곳을 통해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직업정보인지도와 정보격차요인 측정을 위해 정보격차이론과 선행연구를 토대로 연구자가 구성한 질문지로, 요인분석을 통해 구성타당도를 검증하고 문항내적합치도로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정보격차요인이 직업정보인지도를 설명하는 양은 30.3%였고, 회귀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F=33.500, p<.001). 개별 정보격차요인의 영향력은 인터넷 정보능력(β=.309, p<.001)이 직업정보인지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정보처리전략(β=.179, p<.01), 정보추구욕구(β=.146, p<.01), 제도적 네트워크(β=.102, p<.05)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개인적 네트워크는 직업정보인지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인구통계학적 특성 및 취업배경 변인에 따른 정보격차요인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연령, 학력, 소득, 경력기간, 취업준비기간에 따라 집단 간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경력단절여성의 직업정보인지도를 효과적으로 증진시키기 위한 기초자료와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고, 경력단절여성 간 직업 정보격차를 줄이기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aims at confirming the factors that affect the cognitive level of occupational information of women whose careers have been interrupted and getting the implications for the way to improve their cognitive level of occupational information that is important to reemployment. This study examine whether various factors that precedent studies show can cause individual information gap such as desire for information seeking, information processing strategy, social network, internet information literacy have a signigicant influence on the cognitive level of occupational information. Research subjects are 375 career-interrupted women and participated through 11 institutes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for women. Research tool is questionnaires that measure the cognitive level of occupational information and information gap factors. Researcher constructed them in reference of information gap theories and previous studies. Construct validity and reliability of research tool were verified each by factor analysis and interitem consistenc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data analysis, the cognitive level of occupational information was 30.3% explained by the information gap factors. The regression model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F=33.500, p<.001). In terms of the influence of individual information gap factors, the cognitive level of occupational information was most affected by internet information literacy(β=.309, p<.001), followed by information processing strategy(β=.179, p<.01), desire for information seeking(β=.146, p<.01) and institutional network(β=.102, p<.05). On the other hand, individual network don'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ognitive level of occupational information. And by analyzing difference of information gap factors from demographic characteristic and employment background variables, it showed difference according to age, level of education, income, period of work experience and preparation period for employment. As a result, it provided practical implication to enhance cognitive level of occupational information by career-interrupted women and suggested implication to reduce the occupational information gap among career-interrupted women.

아들러의 개인 심리학 이론을 적용한 화병 사례 연구: 화병, 우울, 심리적 안녕감의 변화
김은하(아주대학교) pp.469-495 https://doi.org/10.18205/kpa.2015.20.4.002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화병을 진단받는 5명의 여성 내담자에게 아들러의 개인심리학 이론을 적용하여 개인상담을 실시하고, 그 과정과 결과를 분석하였다. 상담은 아들러 상담의 4단계를 토대로 총 15회(회당 60분)에 걸쳐 진행하였다. 사전사후에 화병, 우울, 심리적 안녕감을 측정하였고, 매 회기 내용을 녹취·분석하였다. 사전사후 점수를 비교한 결과, 모든 내담자들의 화병과 우울증상 완화, 심리적 안녕감 향상이 나타났다. 본 연구는 아들러 이론을 적용하여 화병의 원인과 상담과정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고, 화병 증상을 완화하는데 아들러 이론의 활용가능성을 탐색했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Abstract

In this clinical study, 5 female clients who had been previously diagnosed with Hwabyung participated in Adlerian-based individual counseling. A total of 15 counseling sessions (each 60 minutes) was conducted according to four stages of Adlerian counseling. Pre- and Post-assessment revealed that all of the clients showed decreased Hwabyung and depressive symptoms as well as increased psychological well-being. We discussed how Adlerian theory of Individual Psychology could be applied to conceptualize Hwabyung and presented the actual counseling process with 5 female clients experiencing Hwabyung.

외로움과 SNS중독경향성의 관계: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 여대생을 중심으로 -
서원진(Univ. of Western Ontario) ; 김미리혜(덕성여자대학교) ; 김정호(덕성여자대학교) ; 채드E(덕성여자대학교) ; 조인성(덕성여자대학교) pp.497-511 https://doi.org/10.18205/kpa.2015.20.4.00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여대생을 대상으로 외로움이 SNS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외로움과 SNS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서울 소재의 한 대학교에 재학 중인 여대생 35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341부의 자료를 분석하였다(평균나이 20.52세, 표준편차 1.85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외로움은 SNS중독경향성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고, 자기효능감과는 유의한 부적 상관을 나타냈으며, 자기효능감과 SNS중독경향성 간에 유의한 부적 상관이 나타났다. 매개효과 검증 결과, 자기효능감은 여대생의 외로움과 SNS중독경향성과의 관계를 완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여대생의 외로움에 따르는 SNS중독경향성에 있어 그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자기효능감에 대한 평가와 개입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oneliness and social media addiction. The study was based on 341 undergraduate female students (mean age=20.52 years, SD=1.85) at a university in Seoul, Korea who completed the Revised UCLA Loneliness Scale, Self-Efficacy Scale, and SNS Addiction Tendency Scale. Based on the correlational analyses, results revealed that loneliness was negatively related with self-efficacy and positively related with social media addiction tendency. Self-efficacy was also negatively correlated with social media addiction tendenc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es revealed that self-efficacy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loneliness and social media addiction tendency. These result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evaluating self-efficacy when studying social media addiction, as well as addressing the effects that loneliness may have on self-efficacy in order to lower the risk for social media addiction. Study limitations are also discussed.

어머니의 기질과 우울 그리고 양육태도와 자녀 성격과의 관계
김명숙(한신대학교) ; 오현숙(한신대학교) pp.513-529 https://doi.org/10.18205/kpa.2015.20.4.004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어머니의 기질과 우울이 양육태도를 매개로 자녀 성격에 미치는 영향을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전국 7개 지역의 123명의 남녀 초등학생(남=60, 여=63)과 이들의 어머니가 연구대상으로서 기질 및 성격검사 성인용과 아동용, 부모의 수용거부통제척도, 한국판 Beck 우울척도를 통해 조사되었다. 연구결과로는 분석의 기초자료인 변인들 간 상관관계에서 어머니의 위험회피 기질은 자신의 우울과 유의하게 정적인 상관이 있었고 인내력 기질과 우울은 유의하게 부적 상관이 있었다. 사회적민감성을 제외한 어머니의 모든 기질 특성에서 즉, 자극추구 기질은 부정적 양육태도인 적대감/공격성, 냉담/무시, 거부와 정적인 상관이 있었고, 위험회피 기질은 온정/애정과는 부적인 상관을, 부정적 양육태도와는 정적인 상관을 보였다. 사회적 민감성을 제외한 어머니의 모든 기질 특성인 자극추구와 위험회피는 자녀의 성격과 부적으로 상관이 있었고, 인내력은 정적으로 자녀의 성격과 상관이 있었다. 어머니의 우울은 양육태도 중 통제를 제외한 전 영역에서 유의하게, 즉 온정/애정과는 부적인 그리고 나머지 부정적 양육태도와는 정적인 상관을 나타냈다. 사회적 민감성을 제외한 어머니의 모든 기질 특성인 자극추구와 위험회피 기질은 자녀의 자율성과 연대감 성격과 정적인 상관을, 인내력 기질은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어머니의 양육태도는 자녀의 자율성 및 연대감 성격과 모두 유의한 상관을 나타냈는데 온정/애정의 태도와는 정적인 상관을 그리고 부정적 양육태도인 적대감/공격성, 냉담/무시, 거부 그리고 통제와는 부적 상관이 있었다. 다음, 어머니의 기질과 우울이 양육태도를 매개로 자녀 성격에 영향을 미친다는 본 연구의 가설은 어머니의 양육태도는 자녀성격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어머니의 기질은 자녀 성격에 간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타당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이 논의 되었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s of mother’s temperament and depression on a child’s character development, which is mediated by parenting attitude. One hundred and twenty three elementary students (boys=60, girls=63) and their mothers in seven different regions in Korea filled out questionnaires including TCI-RS, JTCI 7-11, PARQ/Control (Parental Acceptance-Rejection Questionnaire/Control), and Beck’s Depression Inventory (BDI). Mother's Harm Avoidance (HA) temperament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Depression, but Persistence (P) temperament had a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with Depression. Among mother’s temperament traits except Reward Dependence (RD), Novelty Seeking (NS) temperament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aggression/hostility, indifference/negligence, and undifferentiated rejection of negative parenting attitude. HA temperament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warmth/affection. It also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other negative parenting attitude. Mothers’ temperament, NS and HA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child’s character, and P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it. In terms of parenting attitude except for control, mother's depression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warmth/affection, and it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other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Among mother’s temperament traits except for RD, NS and HA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child’s Self-Directedness (SD) and Cooperativeness (C). In addition, P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SD and C of a child’s character. Mother’s Parenting Attitude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child's SD and C character. It also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warmth/affection attitude and negative correlation with every negative parenting attitude (i.e., aggression/hostility, indifference/negligence and control). In short, Mother’s Temperament and Depression mediated by parenting attitude affects child’s character. In addition, Mother’s Parenting Attitude had a direct effect on child’s character significantly, and mother’s temperamen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hild’s character indirectly.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중산층 중년 기혼여성의 건강 스트레스와 우울, 불안과의 관계에서 자아정체감의 조절효과 검증
송은미(신촌세브란스) ; 이승연(이화여자대학교) pp.531-549 https://doi.org/10.18205/kpa.2015.20.4.00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중년 기혼여성을 대상으로 그들이 경험하는 일상생활 스트레스 정도, 우울, 불안 수준에 대해 알아보아 현 시대를 살고 있는 중년 기혼여성들의 적응 정도를 살펴보고, 자아정체감이 일상생활 스트레스가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부적 영향을 완화시킬 수 있는지 알아봄으로써 중년 기혼여성들이 경험하는 문제들을 해결하는데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충남 지방에 거주하는 40-59세 중년 기혼여성 294명을 대상으로 차이 분석, 상관분석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일상생활 스트레스, 우울 및 불안 수준은 비교적 낮고 자아정체감은 양호한 수준으로 나타나, 본 연구에 참여한 중년 기혼여성들은 위기감을 크게 느끼지 않는 상태일 수 있음을 추론해 볼 수 있다. 일상생활 스트레스와 자아정체감, 자아정체감과 우울 및 불안에는 부적 상관관계, 일상생활 스트레스와 우울, 불안 간에는 정적 상관관계가 확인되었다. 특히 일상생활 스트레스 중 건강 스트레스와 자아정체감이 우울 및 불안에 영향을 미쳤는데, 우울에는 건강 스트레스, 자아정체감 순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불안에는 자아정체감, 건강 스트레스 순으로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우울과 불안에 대해 건강 스트레스와 자아정체감의 상호작용이 모두 유의하였으나, 보다 구체적인 상호작용 패턴을 분석했을 때, 건강 스트레스의 유의한 효과는 자아정체감이 낮을 경우에만 의미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이 논의되었다.

Abstract

This study set out to examine the daily life stress, depression, and anxiety levels of married middle-aged women and thus their adjustment to contemporary life. The study also aimed to investigate whether ego-identity could mitigate the negative effects of daily life stress on psychological adjustment and provide data needed to solve the issues experienced by married middle-aged women. For those purposes, the study conducted difference,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with 294 married middle-aged women of 40-59 in Seoul, Gyeonggi Province, and Chungnam Province. The findings were summarized as follows: their daily life stress, depression, and anxiety levels were relatively low with a good level of ego-identity, which leads to an inference that the married middle-aged women that participated in the present study did not have a big sense of crisis. There were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daily stress and ego-identity and between ego-identity and depression and anxiety and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daily stress and depression and anxiety. Health stress of daily stress and ego-identity especially had impacts on depression and anxiety. Health stress and ego-identity had significant effects on depress in the order, and ego-identity and health stress had significant effects on anxiety in the order. Finally, both health stress and ego-identity had significant interactions with depression and anxiety. When more specific interactive patterns were analyzed, the effects of health stress were significant only when their ego-identity was low. Based on those findings, the study discussed its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맞벌이 여성 근로자의 일자리 중단에 대한 영향요인 검증: 비연속시간 생존분석의 적용
유성경(이화여자대학교) ; 김은석(이화여자대학교) pp.551-569 https://doi.org/10.18205/kpa.2015.20.4.006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한국 맞벌이 여성의 일과 가족의 양립 경험이 일자리 중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탐색하기 위해 일-가족 갈등, 가족-일 갈등, 일-가족 향상, 가족-일 향상 수준이 직장을 그만둘 가능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여성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하는 여성가족패널조사 2007년부터 2012년까지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조사 첫 해에 새로운 직장에 다니기 시작하였다고 응답한 20대에서 40대까지의 여성 임금 근로자를 분석대상으로 삼았으며, 그 중 성실하게 응답한 259명의 자료에 대해 비연속시간 생존분석을 실시하였다. 일자리 중단 실태에 대한 분석 결과, 입사 초기일수록 직장을 그만둘 가능성이 높았으며 시간이 흐름에 따라 점차 이러한 위험성이 감소하는 추세가 나타났다. 독립변수의 영향력을 검증한 결과에서는 변인들 중 일-가족 향상만이 직장을 그만둘 가능성에 영향을 주어, 일-가족 향상의 수준이 높을수록 매년 직장을 그만둘 가능성이 유의미하게 낮아짐을 확인하였다. 그 밖에 일-가족 갈등, 가족-일 갈등, 가족-일 향상은 직장을 그만둘 가능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주요 시사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안점을 논의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was designed to gain more insigh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conciliation of work and family and dual-earner women's resignation from job.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work-to-family conflict, family-to-work conflict, work-to-family enhancement, family-to-work enhancement on possibility to resign from a job. The panel data from the 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and Families in 2007, 2008, 2010, and 2012 were used. Participants were 259 female paid workers in their 20s-40s, who started their current job at the first year of survey. The discrete-time survival analysis was conducted. The likelihood of resignation from job gradually decreases over time. Concerning the change around the third year, piecewise functions were considered. The result suggested that only the work-to-family enhancement had an effect on possibility to resign from job. The lower the work-to-family enhancement people experienced, the greater the increase in the yearly likelihood of resignation was. Work-to-family conflict, family-to-work conflict, family-to-work enhancement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possibility to resign from job. Finally, on the basis of the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addressed.

여자 대학생의 일상 스트레스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및 부모-자녀 의사소통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어유경(연세대학교) ; 박수현(연세대학교) ; 정안숙(유타대학교 아시아캠퍼스) pp.571-589 https://doi.org/10.18205/kpa.2015.20.4.00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여자 대학생들의 일상 스트레스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특히 사회적 지지가 갖는 매개효과와 이 과정에서 스트레스 및 부모-자녀 의사소통의 상호작용 효과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하여 여자 대학생 82명을 대상으로 일상 스트레스 척도, 간이정신검사지, 부모-자녀 의사소통 질문지, 사회적 지지척도를 사용하여 각 변인들을 측정하였다. 자료의 분석을 위해 일차적으로 상관 분석, ANOVA, 회귀분석을 통해 각 변인들 간의 관계 및 인구통계학적 집단에 따른 차이를 검증하였고, 회귀분석과 경로분석을 통해 매개효과와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여자 대학생들의 스트레스는 정신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는데 이 과정에서 사회적 지지의 부분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또한 여자 대학생들과 아버지의 개방적인 의사소통과 스트레스 간 상호작용이 사회적 지지를 매개하여 정신건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여자 대학생들에게 아버지와의 개방적 의사소통이 중요함이 밝혀졌는데 이는 과거에 비해 최근에 여자 자녀와 아버지와의 관계에서 아버지의 역할이 중시되고 아버지들도 여자 자녀와의 상호작용을 비교적 덜 불편해하는 경향성을 반영한 결과로 보인다. 또한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여자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상담 및 개입 장면에서 아버지와의 개방적 의사소통을 위한 제언의 필요성이 시사된다.

Abstract

This research examined the effects of stress on mental health of female college students, and in particular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and the role of parent-offspring communication on this mediating path. The data regarding daily stress, mental health, social support, and parent-offspring communication style were collected from 82 female college students with Daily Hassles Scale, Symptom Checklist-90-Revised, Social Support Scale,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Inventory. Correlational analysis, ANOVA, regression and path analysi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and to test the hypotheses. Results indicated that female college students’ stress had negative effect on their overall mental health, and social support mediated this effect. Also the interaction between stress and open-communication with father in particular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ath to mental health via the mediating role of social support. This finding reflects the tendency that Korean fathers recently feel less uncomfortable to interact with their daughters, which is different with the traditional perspective. Especially, the results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support female college students for improving open-communication with fathers to alleviate the effect of daily stress on their mental health.

성별에 따른 예비교사의 성역할 인식 및 역할기대차이 분석
이자명(명지대학교) ; 두경희(호서대학교) pp.591-613 https://doi.org/10.18205/kpa.2015.20.4.008
초록보기
초록

최근 여성들의 사회진출이 활발해지면서, 다중역할을 수행하는 여성들도 많아지고 이로 인해 성역할인식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본 연구는 아이들의 교육을 담당할 예비교사들이 어떠한 성역할 인식과 역할기대를 지니고 있는지 확인하고자 사범대에 소속되어 있거나 교직과목을 수강하고 있는 교사지망학생 295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예상되는 가사분담비율과 진로장벽 전체 및 진로장벽 하위요인 중 진로장벽에서 남녀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분석되었다. 반면, 맞벌이 여부, 맞벌이 태도, 성역할태도, 다중역할계획 전체, 진로장벽 중 취업고정관념에서는 남녀의 인식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성역할기대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여학생이 역할기대 전체 및 하위역할기대에 있어서 모두 남학생보다 기대정도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예비교사의 성별에 따라, 다중역할계획 몰입과 진로장벽의 취업고정관념이 높을수록, 다중역할계획에서 개입 수준이 낮을수록 배우자에 대한 성역할 기대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 결론 및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해 논하였다.

Abstract

As women's social activities and multiple roles increase, the importance of education about gender role perception are growing. It is worth identifying the perception of preservice teachers because the influence of teachers is very large in education and they will teach the youth who also make a family in the future.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295 students who belong to college of education or completing a course of teach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ed: first,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preliminary teachers in the gender role perception, specially in 'expected lyrics contribution ratio', 'career barriers'. But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dual income status of parents', 'attitude about dual income status of parents', 'multiple role planning' and 'employment stereotypes of career barriers'. Second, women showed higher expectations of gender role including every lower measure. Third, the researchers tested the influence factors of gender role expectations. Finally, conclusions, implications and limita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여성상담자의 상담자 전문직 정체성 발달경험에 관한 연구
허재경(건국대학교) ; 신영주(신영주심리상담연구소) pp.615-639 https://doi.org/10.18205/kpa.2015.20.4.00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여성상담자의 상담자 전문직 정체성 발달경험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3년 이상 5년 미만의 상담경력을 가진 여성상담자 8명을 심층면담하고 질적 연구방법 중의 하나인 근거이론 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77개의 개념, 38개의 하위범주, 17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중심현상으로는 ‘상담자로서 성장하고자 하는 의지와 열정’으로 밝혀졌으며, 이를 중심으로 참여자들의 경험에 관한 패러다임 모형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여성상담자의 상담자 전문직 정체성 발달과정의 경험의 실체를 논의하였으며 나아가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의 여성상담자의 상담자 전문직 정체성 발달에 관한 실제적인 이해를 도운 점에 그 의의가 있다.

Abstract

The study examined female counselor’s counselor professional identity development experience. The grounded theory by Strauss and Corbin’s(1998) was adopted to elucidate the structure of their experiences. In-depth interviews with 8 female counselors who have counseling work experience for 3 years or more but less than five years were collected for the analysis. We deduced 77 concepts, 38 subcategories and 17 categories from the analysis and finally derived a paradigm model. The central phenomenon was ‘a passion and willingness to grow as a counselor’. We discussed the implication of the findings and suggested future research issues for counselor professional identity development.

중년기 기혼 남녀의 의사소통유형과 부부친밀감의 관계에서 자기성찰의 조절효과: 성별비교를 중심으로
이주희(동신대학교) ; 이선화(동신대학교) pp.641-657 https://doi.org/10.18205/kpa.2015.20.4.010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중년기 기혼 남녀를 대상으로 의사소통유형과 부부친밀감의 관계에서 자기성찰의 조절효과를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중년기 남녀 675명의 자료를 활용해 조절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중년기 남성과 여성의 의사소통유형과 부부친밀감의 관계에서 자기성찰의 조절효과는 다른 양상을 보였다. 구체적으로 중년기 남성의 경우에는 초이성형과 인지적 친밀감의 관계에서 타인탐색이, 산만형과 정서적 친밀감에서 타인탐색이, 비난형과 성적 친밀감에서 타인이해가 조절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중년기 여성의 경우에는 비난형과 인지적 친밀감의 관계에서 타인탐색이, 산만형과 인지적 친밀감의 관계에서 타인탐색이, 산만형과 성적 친밀감의 관계에서 자기이해가 조절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중년기 기혼 남녀의 의사소통유형과 자기성찰, 부부친밀감간의 관계를 탐색하고 그에 따른 개입전략을 살펴보았다는 데 의의가 크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moderating effect of self-examination in relationships between communication type and marital intimacy of middle-aged men and women. For this, analysis on moderating effect was conducted using data of 675 middle-aged men and women. As a result, different aspect was found from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examination in relationships between communication type and marital intimacy of middle-aged men and women. Specifically, as for middle-aged men, searching for others showed moderating effect in relationships between trans-opposite sex type and cognitive intimacy; searching for others showed moderating effect in relationships between discursive type and sexual intimacy; and, understanding of others showed moderating effect in relationships between blaming type and sexual intimacy. Meantime, as for middle-aged women, searching for others showed moderating effect in relationships between blaming type and cognitive intimacy; searching for others showed moderating effect in relationships between discursive type and cognitive intimacy; and, self-understanding showed moderating effect in relationships between discursive type and sexual intimacy. This study has a significant meaning to have investigated relationships between communication type, self-examination, and marital intimacy of middle-aged men and women and then, to have looked into an intervention strategy thereof.

심리적 거리 조절에 따른 여성의 일-가족 다중역할갈등 상황에 대한 대안 생성 차이: 해석수준이론에 기반하여
이자명(명지대학교) pp.659-673 https://doi.org/10.18205/kpa.2015.20.4.011
초록보기
초록

최근 여성의 외부활동이 증가하면서 여성의 가정 내·외 역할들 간 갈등이 일어나고, 이로 인해 여성의 경력단절 및 심리적 부담이 문제로 주목받고 있다. 이에 일-가족 다중역할 갈등 속에서 경험하는 여성의 지각을 이해하고 갈등 상황에 대한 반응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고민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여성의 일-가족 역할갈등상황에서 탄력적이고 유연한 사고를 활성화시키는 한 방법으로써 심리적 거리 조절의 효과를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해석수준이론(Construal Level Theory, CLT)에서 제안한 심리적 거리 조절 조건을 적용하여 시나리오 자극을 활용한 실험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심리적 거리가 먼 집단이 가까운 집단에 비해 다중역할갈등상황에서 대안 생성의 유창성 및 융통성에서 우세하였다. 또한 대안의 내용 분석을 통한 경향성 확인에서 또한 문제 중심 대처와 정서 대처가 높고 부적응적 대처 양식의 응답률은 낮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론 및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해 논하였다.

Abstract

Increasing of women's external activities makes their work-family multiple role conflicts, which cause career discontinuity and psychological burden on women.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women's experience in the multiple role conflicts and effective coping strategies. In this context, this research studies the effect of psychological distance as a strategy of boosting resilient and flexible thinking. For that, Construal Level Theory(CLT) has been applied to the experiment design using scenarios as stimulu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Psychologically distant group was superior in fluency and flexibility in producing alternatives. In terms of the coping style tendencies in alternatives, the psychologically distant group had a higher response rate for problem-centered coping strategies and lower rate for maladaptive coping strategies than the psychologically close group.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have been discussed.

공격성과 비행에 관한 연구 - 남녀 차이와 변화를 중심으로 -
이혜정(경기대학교) ; 김범준(경기대학교) ; 위슬아(경기대학교) pp.675-695 https://doi.org/10.18205/kpa.2015.20.4.012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장기적 종단적 연구를 통해, 청소년의 공격성과 비행의 변화를 살펴보고 공격성의 변화가 비행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공격성의 유형과 비행의 성별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중학교 2학년 2,280명과 고등학교 1학년 2,108명을 대상으로 각 학년의 공격성이 비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성별과 교급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그 결과, 공격성의 경우 중학교 2학년 보다 고등학교 1학년의 공격성향이 낮게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또한 공격성과 비행 간의 관계를 살펴보면 공격성은 비행에 정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중학교 시절 높은 공격 성향을 보인 경우 고등학교 시절 비행의 양이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종단 연구로서 중학교 2학년이 고등학교 1학년이 되었을 때 공격성의 변화량이 증가할수록 비행의 변화량 역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의 경우 중학교 2학년과 고등학교 1학년 모두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높은 공격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이 논의되었다.

Abstract

Through longitudinal approach,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transition of aggression and juvenile delinquent behavior during teenage years and the effect of aggression on juvenile delinquency. Particularly, forms of aggression and gender difference are investigated. 2,280 8th grade students and 2,108 10th grad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result showed, in terms of aggression, 10th grade students have lower aggressive tendencies compared to the 8th grade students. Correlation between aggression and Juvenile delinquency showed that not only aggression has positive effect on delinquency, but also middle school students with higher aggressive tendencies tend to show higher level of delinquent behavior as they proceed to high school education. We have found that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two domains; as the level of aggression rises, so does the frequency of delinquent behavior. In terms of gender, female students have higher aggressive tendencies compared to male students regardless of the grade level difference.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are discussed.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