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여성주의적 관점을 적용한 현실치료: 배우자 외도 사례를 중심으로

Reality Therapy applied Feminist Perspective: Focusing on the affair Spouse practice

초록

현실치료와 여성주의 상담은 가정 폭력, 성 학대, 및 부부 문제와 같은 다양한 젠더 이슈를 가진 내담자에게 적용되어 왔다. 하지만 두 치료 접근은 각각 상이한 치료적 목표를 추구하는데, 현실치료는 내담자의 변화와 적응을 강조하고 여성주의 상담은 개인의 고통을 유발하고 유지시키는 사회 구조와 제도의 변화를 추구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현실치료와 여성주의 관점의 이론적 절충과 통합을 추구하고 배우자 외도 사례에 대한 치료적 접근을 시도하는 것이었다. 초기에 내담자는 배우자 외도에 대해 남편을 비난하고 남편의 외도가 자신의 매력이 없어서라고 생각했으며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증상과 우울, 분노, 수치심과 같은 부정적인 정서를 호소하였다. 이러한 내담자에게 12회기의 여성주의 관점을 적용한 현실치료가 수행되었다. 치료 후, 그리고 3개월 추수 상담에서 내담자는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과 부정적 정서에서 유의한 감소를 보여주었다. 저자들은 여성주의 관점을 적용한 현실치료가 내담자의 문제와 고통에 대한 그들의 자각과 통찰을 확장시키고 심리치료의 한계점을 보완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치료적 접근과 연구를 위한 미래의 방향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keywords
Feminist, Reality Therapy, Spousal infidelity, Theoretical integration, 여성주의, 현실치료, 배우자, 외도, 이론적 통합

Abstract

Reality therapy and feminist intervention has been applied to clients with various gender issues such as domestic violence, sexual abuse, and marital problems. Both therapies have different therapeutic goals, respectively. Reality therapy emphasizes change of the client, but feminist intervention pursuits change of social structure and institution which trigger and maintain individuals’ suffering.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seek theoretical compromise and integration of reality therapy and feminist perspective, and to try therapeutic approach to spousal infidelity case. The client initially blamed her husband for spousal infidelity, attributed his infidelity to her own unattractiveness and complained symptoms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PTSD) and negative emotions such as depression, anger and shame. The 12 sessions of reality therapy with feminist perspective were conducted for the client. The client showed significant decreases in PTSD symptoms and negative emotions at post-treatment and 3-month follow-up. The authors are able to confirm that reality therapy with feminist perspective can extend clients’ awareness and insight on their problems and sufferings and complement the limitations of psychotherapy. Future direction for therapeutic approach and research was discussed.

keywords
Feminist, Reality Therapy, Spousal infidelity, Theoretical integration, 여성주의, 현실치료, 배우자, 외도, 이론적 통합

참고문헌

1.

권진숙, 전석균 (2001). 가정폭력 가해자를 위한 집단프로그램 개입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44, 36-63.

2.

김민예숙, 김혜경, 배인숙, 이문자, 이미혜 (2005). 왜 여성주의 상담인가: 역사, 실제, 방법론. 서울: 한울아카데미.

3.

김인자 (1997). 현실요법과 선택이론. 한국심리상담연구소.

4.

남보라 (2008). 한국판 외상 후 스트레스 진단 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고려대학교석사학위 논문.

5.

박 경 (2003). 여성정신건강과 여성주의 치료의 방향. 한국여성학, 19, 215-244.

6.

송승훈 (2007). 한국판 외상 후 성장 척도. 충남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7.

유경희, 김기중 (2004). 여성주의 집단상담이이혼(별거)여성의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9, 103-119.

8.

이양자, 정남운 (2008). 외상후 성장에 대한 연구 개관: 적응과의 관계 및 치료적 적용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3, 1-23.

9.

이은주 (2005). 현실요법 집단미술치료가 가정폭력 피해여성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 향상에미치는 효과. 영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0.

이주연 (2015). 국내 여성주의 상담 연구 동향.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이지연 (2004). 여성주의 상담의 적용실제와방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6, 773-791.

12.

임선영, 권석만 (2013). 역경후 성장에 영향을미치는 인지적 처리방략과 신념체계의 특성: 관계상실 경험자를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32, 567-588.

13.

장연집 (2000). 여성주의 상담 및 심리치료. 여성연구논총, 11, 5-25.

14.

장희숙 (2005). 폭력 감소를 위한 인지행동/여성주의 집단상담의 효과. 한국가족복지학, 16, 161-186.

15.

조명실 (2012). 한국의 현실치료 연구 동향. 현실치료연구, 1, 17-30.

16.

최선령 (2001). 한국 아내학대자의 학대행동감소를 위한 인지행동모델 적용에 관한연구. 한국가족복지학, 7, 275-311.

17.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1994). 정신장애의 진단 및 통계 편람 제4판: DSM-Ⅳ. 서울: 하나의학사.

18.

Allen, J. O. (2010). 트라우마의 치유 (권정혜, 김정범, 조용래, 최혜경, 최윤경, 권호인 공역). 서울: 학지사.

19.

Ballou, M. B. (1984). Thoughts on reality therapy from a feminist. Journal of Reality Therapy, 4, 28-32.

20.

Calhoun, L. G., & Tedeschi, R. G. (1999). Facilitating posttraumatic growth. Mahwah, NJ:Lawrence Erlbaum Associates.

21.

Caplan, P. J. (1995). They say your're crazy: How the world's most powerful psychiatrists decide who's normal. Reading, MA: Addison-Wesley.

22.

Chesler, P. (1972). Women and madness. New York:Doubleday.

23.

Corey, G. (2013). 심리상담과 치료의 이론과 실제(조현춘 외 공역). 서울: 박영사.

24.

Cummings, A. L. (1999). Assessing the process and outcome of short-term feminist therapy. In J. Worell(Chair), Measuring process and outcomes in feminist therapy. Symposium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APA, Boston, MA.

25.

Enns, C. Z. (2009). 여성주의와 상담: 기원, 주제, 다양성(김민예숙, 손연주 공역). 서울:한울아카데미.

26.

Francis, C. (1999). The new opportunity school for women. Berea, KY: Author.

27.

Glasser, N. (1998). 마음의 병을 고친 사람들 이야기(조성희 외 공역). 서울: 마음과 마음.

28.

Gondolph, E. W. (1998). Assessing woman battering in mental health services. Thousand Oaks: Sage.

29.

Howatt, W. A. (2003). Choice theory: A core addiction recovery tool. International Journal of Reality Therapy, 22, 12-15.

30.

Jacobson, N. S., & Christensen, A. (1996). Studying the effectiveness of psychotherapy:How well can clinical trials do the job? American Psychologist, 51, 1031-1040.

31.

Johnson, D. M. (2001). Exploring women's empowerment and resilience: Beyond symptom reduc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Kentucky, Lexington.

32.

Jordan, J. V. (2010). Relational-cultural therapy. Washington, DC: APA.

33.

Lewis, J., & Carlson, J. (2003). Reality therapy for addictions with Robert Wubboling. New York, NY: Prentice Hall, Video Edition.

34.

Linnenberg, D. M. (2006). Thoughts on reality therapy from a pro-feminist perspective. International Journal of Reality Therapy, 26, 23-26.

35.

Maercker, A., & Zoellner, T. (2004). The Janus face of self-perceived growth: Toward two-component model of posttraumatic growth. Psychological Inquiry, 15, 41-48.

36.

Powers, W. (1973). Behavior: The control of perception. Hawthorne. New York: Aldine Press.

37.

Prenzlau, S. (2006). Using reality therapy to reduce PTSD-related symptoms. International Journal of Reality Therapy, 2, 23-29.

38.

Robinson, D. (1994). Therapy with women: Empirical validation of a clinical expertis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Kentucky, Lexington.

39.

Sharf, R. (2014). 심리치료와 상담이론: 개념 및사례 (천성문 외 공역). 서울: 센게이지러닝코리아(주).

40.

Sherman, L. W., & Cohen, E. G. (1989). The impact of research on legal policy: The minneapolis domestic violence experiment. Law and Society Review, 23, 117-144.

41.

Sumalla, E. C., Ochoa, C., & Blanco, I. (2009). Posttraumatic growth in cancer: Reality or illusion? Clinical Psychology Review, 29, 24-33.

42.

Tedeschi, R. G., & Calhoun, L. G. (1995). Trauma and transformation: Growing in the aftermath of suffering. Thousand Oak, CA: SAGE.

43.

Tedeschi, R. G., & Calhoun, L. G. (1996). The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 Measuring the positive legacy of trauma. Journal of Traumatic Stress, 9, 455-472.

44.

Toner, B. (1999). The gender-role socialization scale. In J. Worell(Chair), Measuring outcomes in short and longterms feminist therapy. Symposium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Boston, MA.

45.

Turnage, B. F., Jacinto, G. A., & Kirven, J. (2003). Realty therapy, domestic violence survivors, and self-forgiveness. International Journal of Reality Therapy, 2, 24-27.

46.

Worell, J., & Chandler, R. (1996). The personal progress scale. Unpublished manuscript. University of Kentucky, Lexington.

47.

Worell, J., & Johnson, D. (2001). Therapy with women: Feminist frameworks. In R. K. Unger, Handbook of the psychology of women and gender(pp. 317-329). New York: Wiley &Sons.

48.

Worell, J., & Remer, P. (2004). 여성주의 상담의이론과 실제(김민예숙, 김문순 역). 서울:한울.

49.

Worell, J., Cahadler, R. K., Johnson, D. M., & Blount, A. (2001). Beyond symptom reduction:Process and extended outcomes of feminist therapy. Submitted for Publication.

50.

Wyche, K. E., & Rice, J. K. (1997). Reminist therapy: From dialogue to tenets. In J. Worell, & N. G. Jonhnson(Eds.), Shaping the future of feminist psychology: Education, research, and practice. (pp. 57-71). Washington, DC:APA.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