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권호 목록

아토피피부염 24개월 유아의 행동문제와 어머니의 정신건강 및 양육변인 간 관계
최지은(한신대학교) ; 박진아(한신대학교) ; 이경숙(한신대학교) ; 홍수종(울산대학교) ; 장형윤(아주대학교) ; 김경원(연세대학교) ; 신윤호(차의과학대학교) ; 안강모(성균관대학교) pp.1-23 https://doi.org/10.18205/kpa.2015.20.1.00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유아의 아토피피부염 유무에 따라 유아와 어머니의 정신건강, 어머니의 양육관련 변인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 변인들이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2008년부터 실시되고 있는 질병관리본부의 아토피 천식질환 원인 규명 코호트(COCOA: Childhood Asthma and allergic Diseases Cohort Study) 연구에 참여중인 만 2세 유아와 어머니 393쌍 이었다. 연구도구는 유아의 정신건강을 측정하기 위해 유아의 발달수준(K-ASQ), 행동문제(ITSEA)를, 어머니의 정신건강을 측정하기 위하여 우울(CESD-10), 불안(STAI), 삶의 만족도(SWLS), 결혼 만족도(K-MSI), 양육관련 변인을 측정하기 위하여 양육 스트레스(K-PSI), 모-자녀관계(K-PRQ-P), 모-자녀 상호작용평가(P-CIPA)를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아토피피부염 유아가 일반 유아에 비해 주의력이 높았으며, 모와 상호작용 시 아토피피부염 유아는 일반 유아에 비해 주의를 더 잘 기울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아토피피부염 유아 어머니가 일반 유아 어머니에 비해 삶의 만족도가 낮고 결혼생활에 대한 불만족감이 높으며, 양육스트레스에서는 총 양육 스트레스와 적응, 요구, 유능감, 고립, 건강, 역할제한, 우울, 배우자 영역에서 일반 유아 어머니보다 스트레스를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토피피부염 유아의 경우 외현화 행동문제가 높을수록 어머니는 결혼생활에 대한 불만족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아의 조절문제가 높을수록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가 높고, 어머니가 유아에게 느끼는 애착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어머니가 느끼는 관계적 좌절감이 유아의 행동문제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자녀 상호작용시 어머니의 참여성 및 반응성이 높으면 유아의 조절 문제가 낮아지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atopic dermatitis of infants on mental health of mothers, parenting, and mental health of infants and their correlation. Among the people who participating in the Childhood Asthma and Allergic Diseases Cohort Study(COCOA) conducted since 2008 by th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to identify causes of atopic asthma, 393 pairs of two years old children and their mothers. Mental health of infants was measured by K-ASQ and ITSEA and mental health of mothers was measured by CESD-10 for depression, STAI for anxiety, SWLS for degree of satisfaction with life, and K-MSI for degree of satisfaction with marital life. K-PSI for parenting stress, K-PRQ-P for parent-child relationship, and P-CIPA for parent-infant interaction were also administered to measure parenting variable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nfants with atopic dermatitis showed a higher level of attention than ordinary infants. Infants with atopic dermatitis paid better attention to interaction with their mothers than ordinary infants. Mothers of infants with atopic dermatitis had a lower degree of satisfaction with life and a higher degree of dissatisfaction with marital life than mothers of ordinary infants. In terms of parenting stress, they showed higher total scores and experienced a higher level of stress in the domains of adaptability, demandingness, competence, isolation, health, role restriction, depression, and spouse than mothers of ordinary infants. Second, a higher level of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among children with atopic dermatitis led to a higher degree of dissatisfaction with marital life by their mothers. Mothers felt a higher level of parenting stress and showed a lower level of attachment to their children when their children had a higher level of regulation problems. Third,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relational frustr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behavior problems of children. A higher level of engagement and reactivity of mothers in parent-child interaction led to a lower degree of regulation problems of infants.

유자녀 직장여성의 다중역할로 인한 긍정적·부정적 효과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양현정(고려대학교) ; 이기학(연세대학교) pp.25-54 https://doi.org/10.18205/kpa.2015.20.1.002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유자녀 직장여성의 다중역할로 인한 긍정적․부정적 효과를 살펴보기 위한 측정도구를 개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준거 타당도 분석과 검사-재검사 신뢰도 분석을 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다중역할로 인한 긍정적 효과는 총 28문항으로 5개의 요인으로 구성된 척도가 제작되었다. 각 요인명과 문항구성을 살펴보면, 요인 1은 ‘일-가족 이점(7문항)’, 요인 2는 ‘다중역할 효능감(8문항)’, 요인 3은 ‘가족-일 이점(6문항)’, 요인 4는 ‘경제적 이점(4문항)’, 요인 5는 ‘가정스트레스 분리(3문항)’이었다. 다중역할로 인한 부정적 효과는 총 30문항, 5개의 요인으로 구성된 척도가 완성되었다. 5개 요인들의 요인명과 문항구성을 살펴보면, 요인 1은 ‘소진 및 과부하(7문항)’, 요인 2는 ‘가족-일 갈등(9문항)’, 요인 3은 ‘일-가족 물리적 갈등(7문항)’, 요인 4는 ‘전업주부와의 교류 갈등(4문항)’, 요인 5는 ‘일-가족 심리적 갈등(3문항)’이었다. 끝으로 타당도 분석과 검사-재검사 신뢰도 분석을 통해 척도의 타당성과 시간적 안정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척도의 의의와 한계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scale for measuring positive and negative effects of multiple roles on employed mothers. This scale was developed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the examination of existing scales and the responses of open-ended questionnaires. The optimal structure of the scale was examined using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he scale for measuring positive effects of multiple roles consisted of factor 1 of Work-to-Family Gains(7 items), factor 2 of Multiple-Role Self-Efficacy(8 items), factor 3 of Family-to-Work Gains(6 items), factor 4 of Financial Gains(4 items), and factor 5 of Separation from Family Stress(3 items). The scale for measuring negative effects consisted of factor 1 of Burnout and Overload(7 items), factor 2 of Family-to-Work Conflict(9 items), factor 3 of Work-to-Family Physical Conflict(7 items), factor 4 of Discomfort in Relationships with Homemakers(4 items), and factor 5 of Work-to-Family Psychological Conflict(3 item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nfirmed the hierarchial 2-level factor model of these scales, respectively.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scales were verified through validity analysis and test-retest reliability analysis.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se findings and recommendable topics for further study were discussed.

유자녀 직장여성의 다중역할로 인한 긍정적, 부정적 효과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양현정(고려대학교) ; 이기학(연세대학교) pp.25-54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유자녀 직장여성의 다중역할로 인한 긍정적 · 부정적 효과를 살펴보기 위한 측정도구를 개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준거 타당도 분석과 검사-재검사 신뢰도 분석을 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다중역할로 인한 긍정적 효과는 총 28문항으로 5개의 요인으로 구성된 척도가 제작되었다. 각 요인명과 문항구성을 살펴보면, 요인 1은 '일-가족 이점(7문항)', 요인 2는 '다중역할 효능감(8문항)', 요인 3은 '가족-일 이점(6문항)', 요인 4는 '경제적 이점(4문항)', 요인 5는 '가정스트레스 분리(3문항)'이었다. 다중역할로 인한 부정적 효과는 총 30문항, 5개의 요인으로 구성된 척도가 완성되었다. 5개 요인들의 요인명과 문항구성을 살펴보면, 요인 1은 '소진 및 과부하(7문항)', 요인 2는 '가족-일 갈등(9문항)', 요인 3은 '일-가족 물리적 갈등(7문항)', 요인 4는 '전업주부와의 교류 갈등(4문항)', 요인 5는 '일-가족 심리적 갈등(3문항)'이었다. 끝으로 타당도 분석과 검사-재검사 신뢰도 분석을 통해 척도의 타당성과 시간적 안정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척도의 의의와 한계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scale for measuring positive and negative effects of multiple roles on employed mothers. This scale was developed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the examination of existing scales and the responses of open-ended questionnaires. The optimal structure of the scale was examined using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he scale for measuring positive effects of multiple roles consisted of factor 1 of Work-to-Family Gains(7 items), factor 2 of Multiple-Role Self-Efficacy(8 items), factor 3 of Family-to-Work Gains(6 items), factor 4 of Financial Gains(4 items), and factor 5 of Separation from Family Stress(3 items). The scale for measuring negative effects consisted of factor 1 of Burnout and Overload(7 items), factor 2 of Family-to-Work Conflict(9 items), factor 3 of Work-to-Family Physical Conflict(7 items), factor 4 of Discomfort in Relationships with Homemakers(4 items), and factor 5 of Work-to-Family Psychological Conflict(3 item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nfirmed the hierarchial 2-level factor model of these scales, respectively.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scales were verified through validity analysis and test-retest reliability analysis.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se findings and recommendable topics for further study were discussed.

결혼만족도, 스마트폰 중독 및 외도태도가 인터넷 외도에 미치는 영향: 매개된 조절모형
최승미(광운대학교) pp.55-75 https://doi.org/10.18205/kpa.2015.20.1.00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결혼만족도와 스마트폰 중독, 외도 태도가 인터넷 외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결혼만족도와 외도 태도를 부부관계 및 개인 변인으로 설정하였으며, 인터넷 외도가 갖는 매체 특수성을 고려해 스마트폰 중독 변인을 추가하였다. 연구 모형으로 각 변인이 인터넷 외도에 미치는 영향과 결혼만족도가 외도태도를 매개하여 인터넷 외도에 미치는 영향을 가정한 매개된 조절 모형을 상정하였다. 기혼의 성인 531명(남=264명, 여=267명)을 대상으로, 인터넷 외도, 스마트폰 중독, 결혼만족도, 외도태도에 관한 자료 수집 후 연구모형의 적합도 및 외도 태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연구모형은 수집된 자료에 잘 부합하는 적합도를 보였으며, 결혼만족도는 외도태도의 완전 매개를 거쳐 인터넷 외도에 유의하게 영향을 주었고, 스마트폰 중독 역시 인터넷 외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외도태도와 스마트폰 중독의 상호작용이 인터넷 외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유의한 상호작용 효과가 관찰되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인터넷 외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들이 상호작용하며 인터넷 외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구체적 기제를 제안하였으며, 뒤이어 본 연구의 제한점 등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is paper studies the specific mechanism on the affect that marital satisfaction, smartphone addiction, and attitudes toward infidelity has on internet infidelity. Martial satisfaction, which has been known as the variable that affects infidelity, and infidelity attitude has been set up as conjugal relations and individual variable. Considering the medium characteristic of the internet infidelity, we tried to see the effect of smartphone addiction variable on internet infidelity. A mediated moderation model was introduced, which included not only the effect that each variable has on internet infidelity, but also the effect that marital satisfaction has on internet infidelity through infidelity attitude. The data on internet infidelity, smartphone addiction, marital satisfaction and attitudes toward infidelity was collected from 531 married adults (male=264, female=267). After that, mediator effect on infidelity attitude and goodness of fit test of the research model has been verified. As a result, the research model set was found to be suitable for the collected data, and marital satisfaction had significant effect on internet infidelity through full mediation. Smartphone addiction also showed direct effect on internet infidelity. Also,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the interaction between the infidelity attitude and smartphone addiction,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was shown. Based on these results, we suggested a specific mechanism on how the major variables that affect internet infidelity interact with each other, and how to predict internet infidelity. Also, we provided limits of this research and suggested future research direction.

다문화가정 방문지도사의 직무환경과 자기효능감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임수진(호남대학교) ; 이현순(호남대학교) pp.77-91 https://doi.org/10.18205/kpa.2015.20.1.004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방문지도사의 심리적 소진에 관한 것으로 이들의 심리적 소진에 영향을 주는 요인 중 직무환경과 자기효능감의 영향을 확인하였다. 전국의 다문화가정 방문지도사 197명(한국어교육 지도사 113명, 가족생활 지도사 84명)을 대상으로 설문하였다. 방문교육 지도사의 심리적 소진에 영향을 주는 인구사회학적 변인은 활동유형, 학력, 재직기간이다. 연령과 혼인유무는 영향을 주지 않았다. 예언변인인 직무환경과 자기효능감은 모두 심리적 소진에 영향을 주었다. 직무환경의 위험요소가 증가할수록 다문화가정 방문지도사들은 소진되었다. 그리고 자기효능감이 낮을수록 다문화가정 방문지도사의 심리적 소진은 증가되었다. 예측변인의 하위요인 중에서는 직무환경의 역할갈등과 업무과다가 높을수록 심리적으로 소진되었으며,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 중에서는 조절효능감이 심리적 소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다. 조절효능감이 높을수록 심리적소진은 감소되었다. 마지막으로 다문화가정 방문지도사의 직무환경과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를 확인한 결과, 유의미하지 않았다. 즉, 자기효능감의 조절 효과는 없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work environment, self-efficacy on visiting supervisor for multicultural families’s psychological burnout. The survey had been carried out for 197 visiting supervisor. The significant influencing factors on burnout were work environment and self-efficacy, The more they had work environment, the more they were burnout. The more they had self-efficacy, the less they were burnout. Specially role conflict, excessive task of work environment and self regulated efficacy of self-efficacy significantly influenced their psychological burnout. Unexpectedly visiting supervisor’s self-efficacy didn’t moderate the effects of work environment on psychological. We discuss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for researchers as well as for practitioners.

초등학생의 정서지능 유형별 학습자 특성 및 심리적 환경과의 관계 분석
정다해(경북대학교) ; 노현종(경북대학교) ; 손원숙(경북대학교) pp.93-113 https://doi.org/10.18205/kpa.2015.20.1.00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초등학생의 정서지능 유형을 분석하고, 정서지능 유형과 학습자 특성, 가정 및 교실의 심리적 환경 간의 관계를 탐색하는 것이다. 또한 각 정서지능 유형별 학습자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자기조절효능감과 수업태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표본은 D광역시에 소재한 3개 초등학교 2, 4, 6학년 총 394명이었다. 연구결과, 첫째, 초등학생의 정서지능은 크게 4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는데, 정서지능의 모든 하위 요인이 낮은 수준인 ‘저 정서지능형(12.18%)’, 정서인식, 감정이입, 정서조절은 평균 이상이지만 정서표현이 매우 낮은 수준을 보이는 ‘저 정서표현형(14.98%)’, 감정이입, 정서조절만 낮고 정서표현은 높은 수준인 ‘저 감정이입/저 정서조절형(34.01%)’, 모든 하위 요인이 높은 수준을 보이는 ‘고 정서지능형(38.83%)’ 등이다. 둘째, 정서지능 유형에 따라 학습자 특성(자기조절효능감, 수업태도)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고 정서지능형, 저 감정이입/저 정서조절형, 저 정서표현형, 저 정서지능형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셋째, 초등학생의 정서지능 유형과 가정 및 교실의 심리적 환경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가정의 영향력이 교실의 영향력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즉, 부모의 의사소통이 개방적이고, 지지 수준이 높으며, 형제 관계의 질이 좋을 경우 ‘고 정서지능형’에 속할 확률이 높아지는 반면 ‘저 정서지능형’에 속할 확률은 낮아졌다. 교실의 심리적 환경에서는 친구 지지가 높을수록 ‘저 정서표현형’보다는 ‘고 정서지능형’에 속할 확률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과 학년에 있어서는 여학생이 ‘고 정서지능형’이나 ‘저 감정이입/저 정서조절’형에 속할 확률이 높았고, 저학년일수록 ‘저 정서지능형’에 속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정서지능을 파악할 때 정서지능 전체를 수치화하는 것이 아닌 개인의 정서지능 유형별 영향요인 및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중다 정서지능 관점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between home and classroom psychological environment of elementary students and types of their emotional intelligence, and to examine students' characteristics for each emotional intelligence typ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94 2nd, 5th and 6th graders(194 boys and 200 girls) who were selected from three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D-City. For the results, four types of elementary students' emotional intelligences were identified: Low emotional intelligence(Type 1) which showed low in all subscales of emotional intelligence; Low emotional which showed only low in emotional expression; Low empathy/low emotional regulation(Type 3) which showed emotional perception and emotional expression above the average but low in empathy and emotional regulation; and High emotional intelligence (Type 4) which showed high in all subscales of emotional intelligence. Secondly, gender and grades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types of emotional intelligence. Also, high emotional intelligence showed strong self-regulation efficacy and positive attitude toward class, while low emotional intelligence demonstrated low self-regulation efficacy and bad behavior in class. Thirdly, some psychological environment provided by home and classroom had strong effects on discriminating between four types of emotional intelligence. For example, open communication with parents, parent support, and quality of relationships with siblings had strong effects on differences between high and low emotional intelligence types. In conclusion, necessity of a teaching-learning method customized for elementary students’ emotional intelligence type and learners’ characteristics is discussed.

logo